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 교육청 영재교육원 중학생들의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A Study of Recognition for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Programs of Middle School Students being educated at Local Centers for the Gifted

  • 투고 : 2009.09.20
  • 심사 : 2010.04.14
  • 발행 : 2010.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교육청이 설치하여 운영하는 영재교육원 5곳에서 과학 영재 교육을 받고 있는 16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학습 환경, 참여 태도,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영향의 네가지 요소와 개선점에 관하여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리커트 척도형 설문과 서술형 설문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네 가지 요소에 대한 리커트 척도형 설문 응답을 분석 한 결과 전체 평균은 3.70이었다. 이 중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영향을 받은 것에 대하여 가장 만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내용, 참여 태도, 학습 환경 요소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술형 설문을 분석한 결과 학교 학습에 도움이 되는 이유로 학생들은 예습과 복습이 이루어진다는 점, 심화된 지식을 학습하여 학교 학습 이해의 폭을 넓힌다는 점, 문제 해결과정과 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학교 학습에 적용한다는 점 등을 언급하였으며 학교 학습과 관련 없는 내용을 한다는 점, 높은 수준의 학습이 오히려 학교 학습을 방해한다는 점, 학교 학습 시간을 방해한다는 점 등을 학교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로 서술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생의 활동을 실험이나 만들기 등의 직접적인 탐구활동과 같은 학생 주도활동 유형으로 서술 하였으며, 수업 중 교사의 활동을 보충 설명이나 수업 전반에 대한 안내등과 같이 학생의 활동을 돕는 보조 활동 유형으로 서술하여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 주도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즐겁게 참여한 이유로 학교에서 해보지 못한 다양한 활동,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나 자유로운 수업분위기, 새롭고 흥미로운 주제를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 영재교육의 개선점은 실험기구나 책상 등의 시설물 교체, 컴퓨터 교체와 같이 환경과 관련된 것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수업시수, 교육 프로그램, 편의 제공과 관련된 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We have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for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program of middle school students being educated at the local center for the gifted.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s items for contents of the program, learning environments, participation attitude, effects of the program and improvements, and consists of it5-point Likert items and related descriptive items. 161 students at the local centers for the gifte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total score was 3.70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score of effects of the program was highest, learning environments was the lowest. Most of the students referred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s help their schoolwork because of schoolwork preparations & review, learning the process of the solving problem and principle. On the contrary, difficult contents and long lesson hours interrupted their schoolwork.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programs are mainly composed of students' self-activities and the role of teachers is subsidiary. The programs have a good effect on them to increase interest in science and creative thinking. It is necessary that the program be improved in lesson hours, contents of the program, school facilities, and full servic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미숙 (2009). 시도교육청과 대학의 영재교육기관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RR2008-34 , 서울, 한국 교육개발원.
  2. 김미숙 (2007). 수요자 집단 및 성과지표별 영재 교육 만족도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6(2), 165-188
  3. 김양분, 유한구, 남궁지영, 김정아, 김주아 (2005). 2005 교육 수요자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교 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5-20.
  4. 김양분, 유한구, 남궁지영 (2003). 2003 인천시 교육 수요자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 연구 CR 2003-33.
  5. 김양분, 박효정, 김현진 (2002). 경기도 지역 학생.학부모 교육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2-48.
  6. 김종백 (2006). 과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한국영재교육학회, 5(2), 19-32.
  7.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인식 및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 연구, 23(3), 159-185.
  8. 박수경 (2005).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 생인식 및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 한국과학교 육학회지, 26(1), 30-40.
  9. 백성혜, 원정애 (2007).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3(2), 195-208.
  10. 서정화, 강경석, 김성렬, 임연기 (2001). 2001년 도 학생.학부모 교육 만족도 조사. 교육정책연구 2001-10.
  11. 서형두, 정완호 (1993). 초등학교 과학영재 선발 준거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13(2), 172-186
  12. 서혜애, 손연아 (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 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3-23.
  13. 서혜애, 이윤호 (2003). 영재교육기관의 교수.학습실태 분석 : 중학생 대상 과학영재교육.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족 중등교육연구소, 51(2), 69-86.
  14. 손 옥 (2001). 한국과 미국의 과학영재교육센터 현황 연구 :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터의 과학영재교육 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 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 생물교육학회 34(4), 479-484.
  16. 오준영, 김상수, 강용희 (2008). 귀추 추리 전략을 통한 과학영재를 위한 창의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786-795.
  17. 이수암 (2006). 과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프로 그램의 개발-문제중심 학습법의 적용, 창의적 지식 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한국교육개발원 연수자료 TM 2006-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8. 이신동, 김종선, 송선희 (2009). 영재교육에 대한 영재 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한국교육심리학회, 1(1), 79-102.
  19. 이정규, 박춘성 (2009). 국가별 영재교육정책과 영재성에 대한 비교 연구: 일본 영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일본교육학회, 13(2), 1-18.
  20. 임길선 (2007). 과학영재성의 지속적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 구, 11(2), 1-20.
  21.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연구. 한국영재교육학회, 7(2), 161-177.
  22. 정봉주 (2005). 21세기 국가 성장동력 영재교육의 필요성. 국회사무처, 461, 37-42.
  23. 한기순 (2005). 영재와 영재교육에 대한 담론 : 영재 교육 그 안이 궁금하다?. 한국영재교육학회, 4(2), 5-29.
  24. 한기순, 양태연 (2009). C 영재교육원을 통해 살펴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효과성 분 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9(2), 137-155.
  25. 중앙교육심의회(1999). '99 학생.학부모 만족도 조사. 중앙교육심의회.
  26. 한기순, 안도희, 김명숙, 양태연 (2008). 과학영 재교육원 효과성에 관한 진단과 분석. 아시아 교육연 구, 9(4), 271-295.
  27. Drucker, P. F. (1993). Post-capitalist society . New York: Harper Collins.
  28. Gallagher, J. & Gallagher, S. A. (1994) Teaching the gifted child. Boston, Allyn & Bacon.
  29. Maker, C. J. (1982)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gifted. London, Aspen Systems Corporation, 75-77.
  30. Maker, c. & Neilson, A (1996),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Learners. Austin, TA : PRO-ED, Inc.
  31. Marcia A. B. Delcourt & Jay A. McIntire (1993). More Year 2 Updates An Investigation of Student Learning Outcomes: Results of a Program Satisfaction Survey. Retrieved from http://www.gifted.uconn.edu/nrcgt/newsletter.
  32. Rensulli, J., Smith, L, White, A, Callahan, C., & Hartman, R (1976),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Center.
  33. Rensulli, J. S. (1986)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e productivity. In R.J Sterenberg and J.E. Davidson(Eds), Conception of giftedness. Cambridge Univ. Press.
  34. Resnick, M,. Berg, R., & Einsenberg, M. (2000)) Beyond black boxes: Bring transparency and aesthetics back to scientific investigation.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 7-30.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0901_3
  35. Solomon, L. C. (2001). Findings from the 2001 survey of parents with children in arizona charter school: How parents grade their charter school. Prepared for Arizona State Board for Charter School. Retrieved from http://www.asbcs.state.az.us/PSS.asp.
  36. Toffler, A. (1990). Powershift: Knowledge, wealth and violence at the edge of the 21th century. New York: Bantam Books

피인용 문헌

  1. 과학영재성, 성별, 과목 선호도에 따른 과학학습에 대한 개념의 차이 vol.31,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4.491
  2. 영재학생들의 과학 수업에서의 세분화 경험 vol.21, pp.2,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1.21.2.531
  3. 초등 과학영재교육에서 코티칭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개념 적용 능력과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vol.32,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641
  4. 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vol.32,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751
  5. 자율학습자 모형에 기반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연구 vol.22, pp.3,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2.22.3.575
  6.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vol.58, pp.3, 2014, https://doi.org/10.5012/jkcs.2014.58.3.324
  7. 영재교육에 있어서 과제집착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부모지원, 만족도 및 성취도 간의 관계 vol.25, pp.4, 2015, https://doi.org/10.9722/jgte.2015.25.4.529
  8. IPA 기법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분석 vol.26, pp.3,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6.26.3.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