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f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Comprehension of Theory-laden Scientific Observation

과학적 관찰의 이론의존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이해 조사

  • Received : 2009.11.06
  • Accepted : 2010.01.19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Scientific observa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fundamental aspects in scientific inquiry. However, more detailed discussions and practical guides for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tific observation have not been conducted. Therefore, based on literature reviews, we described the nature of theory-laden scientific observation as 11 detailed statements. Using theses statements, we investigated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of each statement. According to results, certain aspects of theory-laden scientific observation were determined as important aspects to be considered for science teachers' in-service programs or for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과학적 관찰은 과학적 탐구활동에서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중요성에 비해 과학적 관찰에 대한 보다 세분된 논의와 교사 및 학생의 이해를 위한 방안 제안이 구체적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관찰의 이론의존성에 대한문헌 연구를 통해 세부적으로 관찰의 이론의존성을 11개 유형으로 나누어 진술하였다. 11개 진술문에 대해 학생과 교사의 이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구체적으로 관찰의 이론의존성의 어떤 측면에 대해서 교사의 연수와 학생지도에 특별히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과학의 본성 이해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나 학생용 학습 활동지 개발에 근거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호한 외(2005). 일상심리학의 이해. 서울: (주) 시그마프레스.
  2. 김현택 외(2003). 현대 심리학 이해. 서울: 학지사.
  3. 하병권(2000).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과학과 수학교육 논문집, 26, 13-30
  4. 송명성(2008).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관찰 유형에 대한 연구. 전주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신정주(2005). 초등학교 관찰수업의 과정과 관찰유형 분석.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6. 안효상, 김성준(1991). 관찰관점 분석 지도를 통한 관찰능력 신장. 진주교육대학 과학교육연구, 17, 61-76.
  7. Anderson, R. (1995).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4th ed. W. H. Freeman & Company. 이영애 역(2000). 인지심리학과 그 응용.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8. Chalmers, A. F. (1982).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an assessment of the nature and status of science and its methods(2 edition).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신일 철, 신중섭 역(1985). 현대의 과학철학. 서울: 서광사.
  9. Driver, R. (1983). The pupil as scientist?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10. Hanson, N. R. (1958).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 of science.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송진웅, 조숙경 역(2007). 과학적 발견의 패턴. 사이언스 북스.
  11. Haslam, F., & Gunstone, R. (1996). Observation in Science Classes: Students' Beliefs about Its Nature and Purpose.
  12. Hodson, D. (1986). Nature of scientific observation. School Science Review. 68, 17-29.
  13. Hodson, D. (1996). Rethinking the role and status of observation in science education. European Education. 28(3), 37-58. https://doi.org/10.2753/EUE1056-4934280337
  14. Gerrig, J., & Zimbardo, G. (2008). Psycology and life, 18th ed. Pearson Education. 박권생 등 역(2009). 심리학과 삶, 18판. 서울: (주)시그마프레스.
  15. Gillies, D. (1993). Philosophy of sci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Four central Themes. Oxford: Black Well Publisher.
  16. Goldstein, E. B. (1996). Sensation & Perception. 4th ed. Brooks/Cole. 정찬섭 등 역 (1999). 감각과 지각. 서울 : 시그마프레스.
  17. Lakatos, I., & Musgrave, A. (1970). Criticism and the Growth of knowle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조승옥, 김동식 역 (1987). 현대과학철학 논쟁: 비판과 과학지식의 성장. 서울: 민음사.
  18. Martin, M. (1981). Science and education. Heinemann Educational Books. pp. 103-301.
  19. Park, Jongwon., & Kim, Ikgyun. (2004). Classification of Students' Observational Statements in Science. in R.Nata (Ed.), Progress in Education, Vol.13. (pp.139-154) NY: Nova Science Publishers, Inc
  20. Popper, K. (1959).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New York: Harper and Row. 박우석 역(1994). 과학적 발견의 논리. 고려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