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the Inclusive Leader on Group Interactions in Science Inquiry Experiments

과학실험수업에서 포용적 리더가 모둠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09.09.25
  • Accepted : 2010.01.12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e inclusive leader on group interactions in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group interactions. For this purpose, the students' verbal interaction patterns in groups with inclusive leader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groups with normal leaders and the inclusive leaders' influence on the progress of group interactions was analyzed extensively. This study focused on interactions of four small groups of seventh graders, with two having inclusive leaders and two having normal leaders. Students were involved in seven science classes for three weeks and students' interactions in each class were observed and recorded using video/audio. The data recorded was transcribed.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patterns showed that the small group with the inclusive leader had a more positive atmosphere and highly structured interaction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teractions of small groups with inclusive leaders were sustained for longer times, since the inclusive leaders initiated and expanded interactions. The inclusive leaders behaved with consideration of the feelings of other members in sharing their roles or facing critical situations. In addition, although they sometimes gave pressured other members to get them to participate, the pressure did not discourage their interaction as opposed to the emotional pressure that normal leaders would exert. The inclusive leaders were pleased with small-group interactions and activities. They considered the feelings of the other members and respected others' opinions. Such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leaders preserved a positive atmosphere and produced more high-level interactions. Thus, the groups that inclusive leaders had influenced had a pleasant and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haracteristics of the inclusive leader and the organization of groupings were drawn.

이 연구는 모둠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실험수업에서 포용적 리더가 모둠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포용적 리더의 존재 여부에 따른 모둠의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를 비교하였고, 포용적 리더가 모둠의 상호작용 전개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중학교 1학년 한 학급에서 16명으로 네 모둠을 구성한 후, 상태변화와 열에너지 단원에서 7차시 동안 모둠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수업을 실시하였다. 포용적 리더가 있는 두 모둠과 보통의 리더가 있는 두 모둠, 총 네 모둠의 상호작용을 녹음/녹화하며 관찰하였고, 녹음/녹화 자료는 전사되었다.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를 분석한 결과, 포용적 리더가 있는 모둠에서 상호작용 횟수가 많았으며 논의를 정교화시키는 상위수준의 상호작용과 정의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더 많이 일어났다. 모둠의 상호작용 과정을 분석한 결과, 포용적 리더들은 상호작용을 개시, 확장시키며 모둠의 상호작용을 오랫동안 유지시켰고, 역할 분배와 모둠의 위기 상황에서 모둠원들의 감정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행동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 모둠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동료를 압박하기도 했지만 보통의 리더가 행한 감정적 압박과 달리 모둠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이로써 포용적 리더는 상호작용과 활동을 통해 학습하기를 좋아하고 모둠원의 감정을 고려하고 존중하는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포용적 리더의 특성이 수업 초기의 긍정적인 분위기를 계속 유지하게 하였고 상위수준의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나게 하여 모둠이 즐겁고 의미 있는 학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는 과학실험수업에서 포용적 리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모둠 구성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2001). 학습전략에 따른 소집단 토론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297-288.
  2. 강순민(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교육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http://cutis.mest. go.kr/
  4. 구양삼(2007). 토론을 강조한 MBL 실험수업에서 리더 유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조연, 신애경, 박국태, 최병순(200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대한화학회지, 45(5), 470-480.
  6. 김지영, 성숙경, 강성주, 박종윤, 최병순(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57-767.
  7. 김현경, 최병순(2009). 과학고 토론수업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과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359-372.
  8. 서혜애, 오필석, 홍재식 옮김(2000). 국가과학교육 기준-미국의 과학교육 개혁-. 서울: 교육과학사.
  9. 성숙경(2005).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성숙경, 최병순(2007). 이질모둠이 수행한 과학탐구실험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70-880.
  11. 성숙경, 최병순(2008). 동질모둠이 수행한 과학탐구실험에서 실험 진행에 따른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75-88.
  12. 이현영, 장상실, 성숙경, 강성주, 최병순(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60-670
  13. 임희준, 박수연, 노태희(1999).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367-376.
  14. 최병순, 허명(1987).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고학교과내용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19-32.
  15. 최영준, 최병순, 이원식(1985). 중.고등학생들의 논리적사고력 형성에 관한 연구 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1), 1985, 1-9.
  16. Alexopoulou, E., & Driver, R. (1996). Small-Group Discussion in Physics: Peer Interaction Modes in Pairs and Fou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0), 1099-111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2)33:10<1099::AID-TEA4>3.0.CO;2-N
  17. Anderson, T., Howe, C., Soden, R., Holliday, J., & Low, J. (2001). Peer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further education students, Instructional Science, 29, 1-32. https://doi.org/10.1023/A:1026471702353
  18. Barron, B. (2000). Achieving coordination i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group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 403-436.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0904_2
  19. Bond, M.H., & Ng, I.W. (2004). The depth of groups'personnality resources: Impacts on group processes and group performance.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7, 285-300. https://doi.org/10.1111/j.1467-839X.2004.00149.x
  20. Chang, H. P., & Lederman, N. G. (1994). The effects of levels of cooperation with in physical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67-181.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7
  21. Chinn, C.A., & Malhotra, B.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 A theor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 Science Education, 86, 175-218. https://doi.org/10.1002/sce.10001
  22. Fearheiley, M.L. (2000). Barries to learning science: The role of emotion in the conceptual change proces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RST, New Orleans, LA.
  23. Hofstein, A. (2004). Providing high school chemistry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learning skills in an inquiry-type laboratory: a cas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47-62. https://doi.org/10.1080/0950069032000070342
  24. Richmond, G., & Striley, J. (1996). Making meaning in classrooms : Social processes in small-group discourse and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8), 839-858.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0)33:8<839::AID-TEA2>3.0.CO;2-X
  25. Rivas, M. G. (1999). Student-student negotiation: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ng understand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RST, Boston, MA.
  26. Oliveira, A. W., & Sadler, T. D. (2008). Interactive Patterns and Conceptual Convergence During Student Collaborations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5), 634-658. https://doi.org/10.1002/tea.20211
  27. Tudge, R. H., & Winterhoff, P. A. (1993). Vygotsky, Piaget, and Bandura: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ocial world and cognitive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6, 61-81. https://doi.org/10.1159/000277297

Cited by

  1.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활동에서 리더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모둠 내 언어적 상호 작용 분석 vol.32,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760
  2. 중등 과학교육에서 소집단을 활용한 교수학습 연구 분석 및 '소집단 연구' 방법론 고찰 vol.45, pp.3,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3.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