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Past Success on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Burnout, and Engagement

과거성공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아효능감, 소진, 몰입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0.01.11
  • Accepted : 2010.02.12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raditionally, self-efficacy, burnout and engagement are defined as work related states of mind, and formally speaking, students are not employees. But, we assume that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student core activities can be considered work. Therefore, based on SCT(social cognitive theory), we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prediction of student burnout and engagement, and also the mediation of burnout and engagement betwee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GPA). There is no research to date wether there would be mediating role of these variables between past success and performance. These effects were analysed in the context of mediating role of the variables in a university in a sample of 438 students. This study utilized a convenience sample drawn from various major scholar area.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were consist with a full mediation model in which academic past success predicts self-efficacy, which in turn, predicts student burnout and engagement. Also our proposed model showed that burnout and engagement are partial or full mediating variables betwee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Our study's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engagement fully accoun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nd burnout partially explained the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aligns with the general theorizing supported by JD-R model and SCT(social cognitive theory). More specifically, it builds on the JD-R literature as it tests one of the proposed mechanis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work engagement. Implications of study are discussed, together with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과거성공이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정에서 자아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고 자아효능감이 소진을 감소시키고 몰입을 증가시킴으로써 성과에 매개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려고 하였다. 이론적 연구들을 토대로 매개역할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438명의 학생들을 상대로 설문지와 성적을 근거로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이론적인 구조방정식의 제안모형을 만들어 대안모형과 비교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구조방정식 이외에도 Sobel test와 경로계수 비교를 위한 Equality test, 쌍대모수비교법 등이 동원되었다. 그 결과 자아효능감이 과거성공과 소진/몰입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사실과 동시에 자아효능감도 성과에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소진과 몰입을 통한 경로를 거친다는 사실도 입증되었다. 특히 자아효능감은 소진의 감소보다는 몰입의 증가라는 긍정적 측면의 역할이 더 강하다는 것도 입증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결과는 그간 부분적으로 연구되어 온 변수간의 상호관계를 하나의 연결모델로 도출했다는 점과 직무요구-자원(JD-R)모형과 자원보존(COR)모형에서 직무자원의 종업원 well-being에 대한 영향 중 부정적 소진의 감소보다 긍정적 몰입의 증가에 의한 영향이 더 크다는 긍정심리학의 주장을 재 입증하는데 공헌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