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vealed Aspect of ‘youth’ in Modern Novel

현대소설에 나타난 ‘젊음’의 발현 양상

  • Published : 20090000

Abstract

In this article, we looked into the revelation of and that provideseternal issues of the novel beyond the boundary of times, countriesand gender. The Portray of Youth by MURAKAMI HARUKI ismeaningful in its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him and his times bypursing the long journey into human internal side and true heart forlove. Portray of Youth by Lee Mun-yeol made shape of keenthinking and sufferings about what to do in life and what to want inthe age of poverty and insecurity politically and socially. Throughwhich, he made reconciliation with the overground society he denied,making new interpretation of re-born process as a member of thesociety. Meanwhile, Sex and the City by Candace Bushnell giveslively definition on business and love, marriage and success to youngwomen full of self-love and independence living in Manhattan, NewYork. The novel features all core elements of popular culture sensationsince 1990s and that is why it is criticized as being adult version offairy tale Cinderella at the same time. Style by Baek Young-okcontains frank confession about what popular culture means anddominates our daily life style, thinking and values especially to youngwomen in their age of twenties through thirties, as well as humorousand witty criticism at the same time in the cheerful style. The fourth novels above mentioned gave the conclusion that as youth is somehowimmature but ongoing process toward more perfect life and itsconclusion, it will accompany a lot of trial and error, and that is whyit is passionate transient period of our precious life.

본 논문에서는 현대소설에서 형상화된 ‘젊음’의 발현 양상을 무라카미 하루키의『상실의 시대(노르웨이의 숲)』와 이문열의『젊은 날의 초상』, 캔디스 부쉬넬의『Sex And The City』와 백영옥의『스타일』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젊음은 정신적·육체적으로 정점에 달한 시기이기에 모든 예술가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러한 젊음이 소설의 제재로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아름다운 젊음이 가지고 있는 실상과 허상에 대하여 세계의 많은 작가들이 실험하고자 하는 욕망이 배태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물론 이에는 작가 자신의 젊음을 뒤돌아보는 일종의 자기성찰적 측면도 개입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젊음의 발현 양상에 대한 비교문학적 성격을 지닌 본 논문에서는 각 나라와 시대의 정체성과 무질서, 가치관의 혼돈과 사랑의 의미를 6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젊음으로 상징되는 여러 징후들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젊음이라는 표상이 국경을 초월하여 어떤 보편성을 가지며 동시에 차별적인 개성으로 드러나는지 조망한 것이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젊음은 내면으로의 긴 여행과 사랑의 진정성을 찾음으로써 자신과 자신이 속해 있는 시대의 정체성을 확립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이문열은 젊음을 통해 자신이 생을 통해 진정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한 치열한 사유와 고통을 입사식의 형식으로 보여주었다. 캔디스 부쉬넬은 한 개인의 삶의 주인공은 자신이라는 투철한 자기애와 독립심으로 똘똘 뭉친 젊은 여성들의 일과 사랑, 결혼이 상징하는 의미와 성공에 대해서 발랄하게 정의하고 있으며, 백영옥의 소설은 대중문화가 20-30으로 대표되는 젊은 여성들의 사고와 가치관을 어떻게 지배하고 있는지 솔직하게 고백하고 있고 동시에 유머러스하며 재치 있는 비판이 가미된 경쾌한 소설이라고 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