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and Ecology-Oriented City Marketing: A Case Study of Gangneung City

문화.생태를 이용한 도시마케팅 사례 연구

  • Heo, Chung-Uk (Dept. of Tourism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papers aims to focus on the city marketing as the green growth policy strategies using a case study of Gangneung City, Republic of Korea. In the case study it was verified the fields of urban growth including ecology, culture, alternative and recycled energy, green transportation system.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ity government had regenerated the coastal pine forest through removing unlicensed buildings which were squatted down in decades. Secondly, the city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value of culture that possessed various types of cultural asserts. Thirdly, it is possible to use and produce the ocean energy with the tidal power plant, wind power plant and green deep water because Gangneung City has the ocean-oriented image and is located the coastal region. Lastly, the city government has been utilizing the LED traffic light using solar heat and is going to apply the green car like an electric car. This paper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he alternatives of the green growth-oriented policy through city marketing using the concept of culture and ecology. The city government will strive after an advanced triple bottom line with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cultural diversity and economic effectiveness in the near future.

이 연구는 2009년 대한민국의 저탄소 녹색시범도시로 선정된 강릉시의 녹색성장정책 사업의 사례를 조사하여 도시성장정책의 생태사업, 문화사업, 신재생에너지사업, 녹색교통사업 등 4개 부문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강릉시의 생태적 복원사업으로 위대한 친환경 생태복원사업은 경포해안의 불량숙박업소 철거와 이 구역에 해안송림을 재생시킨 사업이다. 둘째, 강릉시의 세계적인 문화자원은 녹색기술과 환경보전 중심의 녹색성장 정책에 대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자각시키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강릉시는 해안을 연접하고 있고 해양이미지가 강하므로 향후 해양에너지로서 조력, 풍력, 심층수 등 다양한 사업접근이 가능하다. 넷째, 녹색교통사업으로 친환경 전력 활용, 그린카 이용 등의 사업이 추진 및 예정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강릉시의 녹색성장정책은 EcoCulture와 매우 부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릉시의 대다수 정책중 생태사업과 문화사업이 복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것을 사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강릉시와 유사한 전국의 중소도시들이 지향해야 할 저탄소 녹색도시 정책이 생태와 문화가 결합하여 시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각 도시정부는 생태적 지속성, 문화적 다양성, 경제적 유효성을 확보하도록 매진해야만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