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색성장

Search Result 83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the Roadmap of Water and Green Growth (물과 녹색성장을 위한 로드맵 구축)

  • Lim, Kwang-Suop;Chae, Hyo-Sok;Lim, Jeong-Yeol;Shin, Yee-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4-454
    • /
    • 2011
  • 녹색성장은 최근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세계물위원회(World Water Council, WWC)의 경우 2012년 마르세유에서 개최되는 제6차 세계물포럼(World Water Forum, WWF)에서 물문제 해결을 위한 신개념 패러다임으로서 '녹색성장(Green Growth)'을 채택하기 위한 협력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녹색성장을 국가 슬로건으로 선정하고 글로벌 녹색성장연구소(Global Green Growth, GGGI)를 설립하는 등 녹색성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는 물의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녹색성장을 물 분야에 확산시킬 수 있는 적절한 기회로 보인다. 녹색성장은 물 관련 환경서비스가 환경오염 없는 경제성장을 이룩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당위성에서 파생된 최근에 만들어진 개념으로서, 물 분야의 경우 녹색경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으며 이후 지속적인 인구증가, 물 소비패턴의 변화, 에너지비용 증가, 기후 변화 등으로 물 분야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물 관리는 경제발전, 재해로부터 보호, 인간의 건강 및 생태계와 삶의 질을 위하여 필수적이기에 녹색성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올바른 물 관리가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화 구체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녹색성장을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의 패러다임으로 구축하기 위해 수자원분야에서의 녹색성장방법론을 정립하고, 선진국과 개도국 정부들의 균형 있는 참여를 통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세계물위원회 등 국제기구와 공동으로 연계시킨다면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물관리는 국가의 경제발전, 재해로부터 생명과 재산의 보호, 인간의 건강 및 생태계 다양성 및 건전성 유지와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환경보존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녹색성장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도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올바른 물 관리가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고 구체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과 녹색성장'의 이론적 배경, 필요성, 개념정립, 벤치마킹 사례, 국제사회에서의 녹색성장과 관련한 논의 기구 및 흐름 등의 이해를 기초로 녹색성장을 통한 경제성장의 상호작용과 선순환구조를 체계화시키기 위한 균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수자원 및 하천관리 분야에서의 WGG구현을 위한 정책제안 및 실행방안이 담긴 중장기 로드맵을 구축하여 물을 통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Special News - ESCO협회, 녹색교육기관 인증 받고 ESCO교육의 산실이 되다

  • Seo, Hui-Jeong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76
    • /
    • pp.74-75
    • /
    • 2012
  •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는 미래 국가성장동력인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효율적으로 전파하고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전국 공무원훈련기관, 공공교육훈련기관, 민간교육훈련기관을 대상으로 '2012년 녹색교육기관'을 공모했다.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안) 제 2조 2호에 따르면, 녹색성장이라는 의미는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기후변화와 환경훼손을 줄이고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는 등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성장'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녹색성장기관은 이러한 기본법을 바탕으로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한 다양한 에너지관련 정책 및 이슈를 넓은 범위로 전파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보다 친숙하게 접하게 하자는 취지에서 지난 2010년 교육기관 지정을 시작하였으며, 2010년 48개, 2011년 16개, 2012년 11개 총 75개 기관이 녹색교육기관으로 지정 받아 활발한 교육활동을 벌이고 있다.

  • PDF

Science Technology - 녹색생활에서 시작하는 세계의 녹색성장

  • Kim, Hyeong-Ja
    • TTA Journal
    • /
    • s.126
    • /
    • pp.20-21
    • /
    • 2009
  • 전 세계적으로 '녹색성장'이 최대 화두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우리 정부도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정기조로 내세우고 봇물 터트리듯 '녹색정책'을 내놓고 있다. 지구촌 곳곳에서 하도 녹색성장을 외치니 그것이 굉장한 기술 개발이 아니면 이룰 수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물론 녹색기술이 먼저인 것도 있겠지만, 기술보다 더 중요한 건 '녹색생활'이다. 평범하지만 의미 있는 녹색생활이야 말로 녹색성장으로 가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선진국을 봐도 에너지 재활용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며 녹색생활부터 실천해 나가고 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지구촌은 어떤 정책과 아이디어로 녹색 세상을 만들어가고 있을까?

  • PDF

Column 1 - 녹색산업 거품인가 차세대성장동력인가 - 녹색성장을 준비하는 시나리오

  • Yang, Seung-Hyo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0
    • /
    • pp.26-29
    • /
    • 2009
  • 녹색성장은 저탄소 및 녹색산업화에 기반을 두고 경제성장력을 증대시키는 신성장 개념이다. $CO_2$ 발생량을 줄이고, 녹색기술, 친환경적 비즈니스를 신시장을 창출함으로써 경제성장의 원동력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이때 녹색산업이 투자 가치면에서 얼마큼 큰 부가가치를 발생할지는 예상하기 어렵지만, 단단한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투자해나간다면 미래 성장원동력으로 자리할 것이다.

  • PDF

포장과 법률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05
    • /
    • pp.91-109
    • /
    • 2010
  • 정부는 지난 달 6일 국무회와해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정(안)을 의결하였다. 이번 시행령은 작년 12월 29일 국회를 통과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것으로 총 7개장, 44개 조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번 시행형 제정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법령상의 체계를 정비하였다는 것뿐만 아니라, 법에서 규정한 각종 지원제도와 지난해 발표한 중기 감축목표의 이행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실행모드에 진입한 녹색성장이 더 큰 탄력을 받을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주요 내용과 함께 시행령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Alternatives for Establishing a Green-Logistics System in Gwangyang Port (광양항의 녹색물류구축 방안)

  • Kim, Hyun-Duk;Sin, Yong-Jo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6 no.2
    • /
    • pp.36-48
    • /
    • 2010
  • This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y a green-logistics strategy of Gwanyang bay area. The Green growth is the new growth concept based on the low carbon and environment-friendly industry. The new paradigm on the global economy growth requests a established logistics industry to be shifted into establishing the environment-friendly green logistics system. Some findings derided from this study are follows: Frist, in order to establish a environment-friendly green growth foundation, it is necessary to attract a green industry such as solar cell, wind force, hybrid car etc. Second, a green logistics system has to be established, including a green port strategy and reducing emission of carbon.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저탄소 녹색성장'

  • Won, Hui-Ryong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6
    • /
    • pp.26-29
    • /
    • 2009
  • '저탄소 녹색성장', 우리에게는 너무나 생소한 말이지만 이미 선진국에서는 국가미래전략으로 채택하여 구체화시키는 노력을 계속해왔다. 그렇다면 '저탄소 녹색성장'은 무엇이고 각 국이 이를 미래 전략으로 채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 우리나라는 어떻게 '저탄소 녹색성장'을 펼쳐나갈 것이며, 기업과 우리 국민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짚어본다.

  • PDF

Sustainable (Green) Finance : Efficient and Effective Investment Strategies for Green Technologies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금융의 자본조달역할에 관한 연구)

  • Koo, Junghan;Son, Donghee;Jeon, Yongil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9 no.3
    • /
    • pp.659-688
    • /
    • 2010
  • Climate change induced by global warming has recently begun to inspire developed nations to introduce a new paradigm, called the sustainable (Green) growth, which entails both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attainment of sustainable growth. The sustainable (Green) growth is founded upon environmental factors that drive a new force of economic progress without deteriorating nature. Thus, the conservation of the environment under the new growth paradigm can be compatible with economic growth, although this was not feasible under conventional economic relations, called the Environmental Kutzets Curve. Sustainable (Green) finance is essential to achieving Green growth efficiently and effectively. Since the financial system for Green growth is at the early stage of implementation, the application of strategies for sustainable (Green) finance should be preceded by proper initiation and protection from the government. In order to establish a feasible strategy for financing green growth, we suggest an effective financial supporting system, taking different operational forms upon the broader stage of technological progress in each individual company.

  • PDF

녹색성장의 배경과 전망

  • Jeong, Jin-Do;An, Mun-Su
    • Journal of the KSME
    • /
    • v.49 no.11
    • /
    • pp.24-27
    • /
    • 2009
  • 기후변화 문제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그에 맞추어 녹색성장을 추진하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녹색성장의 중요성과 실천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PDF

Now ESCO 1 - 녹색성장의 새로운 이정표, $2009{\sim}2013$ 녹색성장 5개년 발표

  • Jang, Jeong-Ji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0
    • /
    • pp.18-21
    • /
    • 2009
  • 정부는 지난 7월 6일 녹색기술 및 산업, 기후변화 적응역량, 에너지 자립도 에너지 복지 등 녹색 경쟁력 전반에서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 진입을 목표로 한 녹색 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그 내용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