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atus and Improvement Proposal of the Direct Payment Program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경관보전직불제사업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 김미영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김광남 (공공정책연구소SNP 연구실)
  • Received : 2009.10.25
  • Accepted : 2009.12.18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valuate the direct payment program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deduce facts to improve. This research is composed with a survey on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farmers joined this program, and used monitering in selected 41 zones. According to the surveys, this program showed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effects: village harmony, visitors increase, village income. However, It's contribute in short term objectives, but has not yet reach the ultimate goal such as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visitors and village income. We found some problems in the monitering, on the agreement with farmers, range of village activities, operating AgriX program, etc. Finally, we suggest some proposals ; 1) to redefine the aims and range for the program, 2) to clarify a village action program, 3) to strength the admission procedure, 4) to designate district based on landscape resources survey.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상, & 윤태연. (2004). 논농업의 경관가치평가, 농업경제연구, 45(2), 235-261.
  2. 김광임, 박용하, 최재용, 박재근, & 박소현. (2005). 농촌의 경관가치 평가와 관리방안: 심리적.경제적 가치와 환경정책.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 김종철. (2007). 농촌경관개선 종합대책. 농촌자원과 생활, 봄호. 68-77.
  4. 농림수산식품부. (2005a). 농촌경관 전문가 Workshop 자료집.
  5. 농림수산식품부. (2005b). 농림사업지침서.
  6. 농림수산식품부. (2006). 농림사업지침서.
  7. 농림수산식품부. (2007a). 농림사업지침서.
  8. 농림수산식품부. (2007b). 경관보전직불제 시행을 위한 경관작물 재배관리 매뉴얼-유채, 메밀, 자운영.
  9. 농림수산식품부. (2008a). 농어촌경관계획수립 추진방안 세미나.
  10. 농림수산식품부. (2008b). 농어촌경관계획수립 및 경관관리 업무편람.
  11. 농림수산식품부. (2008c). 농림사업지침서.
  12. 농림수산식품부. (2009). 농림사업지침서.
  13. 박동규, 김창길, 임송수, 송미령, 김배성, & 박경철. (2004). 중장기 직접지불제 확충 방안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4. 성주인. (2005). 농촌의 경관가치 평가와 관리방안: 관리실태와 정책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 성주인, & 박주영. (2007). 농촌경관 관리 및 지원 시범사업에 대한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 송미령, & 박경철. (2005). 농촌경관 보전을 위한 정책동향과 시사점, 농촌경제, 28(3), 121-137.
  17. 안동만. (2005). 어메니티 창조를 위한 농촌경관 관리. 농촌자원과 생활. 특집: 지역개발과 어메니티 자원, 65-71.
  18. 안동만, 신수안, 채혜성, 이지영, 이관용, 최옥현, et al. (2008). 농촌경관 보전 정책 수립을 위한 관리기준 및 운용에 대한 연구: 경관보전직불제 대상확대를 중심으로. 수원: 농촌진흥청.
  19. 엄대호 심완보, 윤진옥, 이충선, 홍찬선, & 유상오. (2004). 농촌경관보전직불제 시범사업 시행방안 연구. 안산: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20. 엄대호 윤진옥, 양선주, 임승빈, 이동근, & 주신하. (2006). 농촌경관의 보전.형성.관리를 위한 종합대책 수립방안 연구, 안산: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21. 임형백 & 이성우. (2004). 농촌사회의 경관 기능 유지에 대한 가치평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3), 25-48.
  22. 윤진옥, 홍찬선, 엄대호, 박윤호, 최분규, 정기호 et al.(2005). 어메니티 증진을 위한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방안. 안산: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23. 장효선.김은순.엄대호. (2007). 경관보전직불제 시범사업의 시행사례 분석 및 개선방안: 봉화군, 청원군, 홍성군 사례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3(4). 69-77.
  24. 정철모. (2005). 경관농업지구의 활성화를 위한 경관보전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7(3). 191-210.
  25. 주신하. (2008). 농촌경관의 보전.형성.관리를 위한 정책제안 연구. 농촌계획. 14(4). 77-86.
  26. 채혜성, & 안동만. (2008). 농촌경관 보전을 위한 보조금 지원제도 연구: 영국의 환경관리제(Environmental Stewardship)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4(2). 65-75.
  27. 채혜성, 신수안, 이지영, 이관용, 최옥현, 조정윤, et al.(2006). 경관보전직불제 시범사업 시행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농촌계획 12(4). 115-123.
  28. 홍찬선. (2004). 경관가치 평가기법 및 활용방안 연구. 농공기술 9월호. 20-21.
  29. 農林水産省. (2009). 景観.自然環境保全形成支援事業のうち農村景観.自然環境保全再生パイロット事業公募要領.
  30. Dobbs, T. L., & Pretty J. N. (2004). Agri-Environmental Stewardship Schemes and Multifunctionality,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26(2). 220-237. https://doi.org/10.1111/j.1467-9353.2004.00172.x
  31. Natural England. (2008). Natural England framework for Science, Research and Evidence, Natural England Research Report 011.
  32. Natural England. (2009a). Evaluation of management plan options in Environmental Stewardship. Natural England Commissioned Report 007.
  33. Natural England. (2009b). Look after your uplands with Environmental Stewardship.
  34. Natural England. (2008). Entry Level Stewardship Handbook. Second edition- October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