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ng the Levels of Port Services by the Average Waiting Cost of Ships

선박당 평균대기비용에 의한 항만의 서비스 수준 평가

  • Received : 2009.10.24
  • Accepted : 2009.11.23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estimates the port waiting cost of international trade ports in Korea by an opportunity cost approach. In the next step, we present a method to assess the levels of port services by the average waiting cost of ship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first step. Because the port waiting cost reflects the social cost, it is difficult to use as a service indicator even though it is the decision support information for a particular port facility expansion. The percentages of waiting ships and time also are insufficient indicators to reflect only the quantitative aspects by the time. However, the average waiting cost of ships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service indicator to reflect waiting time and the loss of economic value simultaneously. It is also very useful information for a shipper and a carrier to select a port. Based on the average waiting cost of ships in 2007, it is analyzed in order of lowest service ports sequentially such as Pyeongtaek-Dangjin, Pohang, Donghae, and Samcheonpo. It is different from the sequential order of ports by the port waiting cost such as Pohang, Incheon, Gwangyang, Pyeongtak-Dangjin, and Ulsan. The port waiting cost is to a port authority as a key indicator what the average waiting cost of ships is to a port user as a useful indicator to evaluate the levels of port services.

본 연구는 1단계로 우리나라 무역항의 대기비용을 장기기회비용관점에서 산정하였다. 2단계로 이를 활용한 선박당 평균 대기비용을 활용하여 항만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항만대기비용은 사회적 비용을 반영하기 때문에 특정 항만의 시설확충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지원 정보이지만 서비스지표로는 활용되기 어렵다. 또한 대기척수비율이나 대기시간비율도 시간기준의 양적 측면만을 반영한 불충분한 지표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선박당 평균대기비용은 대기시간과 선박 및 화물의 경제적 가치 손실을 동시에 반영하는 항만 서비스수준의 평가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화주나 선사가 항만을 선택하는 과정에서도 매우 유용한 정보이다. 2007년 선박당 대기비용 기준으로 서비스 수준이 낮은 항만은 평택당진, 포항, 동해, 삼천포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항만 대기비용 관점의 포항, 인천, 광양, 평택당진, 울산 순서와는 다른 것이다. 항만 대기비용이 항만 관리자에게 중요한 지표라면 선박당 대기비용은 항만 이용자의 관점에서 항만별 서비스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교통시설 투자평가지침, 2007.
  2. 국토해양부, 2007 국토해양통계연보, 2008.
  3. 국토해양부, 2008년도 물류항만업무편람, 2008.
  4. 김창곤, "컨테이너 터미널의 서비스 수준 평가지표에 대한 고찰," 해양정책연구, 제15권, 제1호, 2002, pp. 39-57.
  5. 김학소 외,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2.
  6. 이영혁.김세영, 우리나라 수출입화물의 수송체증비용 추정, 해운산업연구원, 1991.
  7. 장영태.김성귀, "선박체항시간의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학회지, 제16권, 1993, pp. 229-259
  8. 장영태.성숙경, "우리나라 항만에서의 체선.체화 시간비용 재추정,"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6권, 제4호, 2002, pp. 383-390.
  9.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항만통계요람, 각호.
  10. Appleton, D., "Counting the Costs of Congestion," TOC Europe, 14 June, Antwerp, 2005.
  11. Clarkson, World Shipyard Monitor, 각호.
  12. Drewry Shipping Consultants, Ltd.(DSC), Ship Operating Costs - Annual Review and Forecast 2006/07, 2007.
  13. Goss, R. O. & M. C. Mann, "The Cost of Ship's Time," Advances in Maritime Econo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14. Jasson, J. O. and D. Shneerson, Port Economics, MIT Press, 1982.
  15. United Nations, Berth Throughput, 1973.
  16. United Nations, Port Development, 1985.
  17. 국토해양부,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www.spidc.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