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 수준

Search Result 3,95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서비스사이언스를 기반으로한 서비스 수준과 서비스 혁신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

  • Kim, Yong-Jin;Nam, Gi-Chan;Im, Myeong-Seong;Nam, Jeong-Tae;Bae, Yeong-Woo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635-646
    • /
    • 2008
  • 시장 경제의 패러다임이 전통적인 제품 지배논리에서 서비스 지배 논리로 전환됨에 따라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가 바로 서비스 사이언스이다. 서비스 사이언스는 서비스를 포괄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새로운 학문분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제시된 서비스 사이언스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현재의 서비스와 기술수준, 및 서비스 혁신간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기존의 연구들은 현재의 서비스 및 기술 수준과 서비스 혁신 노력의 관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아왔다. 하지만 경로 의존성 (path dependency) 및 혁신자의 딜레마 (innovator's dilemma)를 고려할 때, 현재의 서비스 및 기술 수준과 혁신의 관계는 서비스 혁신의 연구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 사이언스 분석방법론을 기반으로 서비스 수준의 차이에 따라 서비스 혁신 활동수준에서도 차이가 있는지, 서비스 혁신 활동 수준에 따라 서비스 활동 수준에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 분석해 보고자 하며, 또한 기술 수준이 서비스 활동 수준 및 서비스 혁신활동 수준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서비스 활동 수준에 따라 서비스 혁신 활동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반대로 서비스 혁신 활동 수준에 따른 서비스 활동 수준의 차이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수준의 차이와 서비스 활동 수준 및 서비스 혁신 활동 수준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Level and Service Innovation based on Service Science (서비스사이언스를 기반으로한 서비스 수준과 서비스 혁신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

  • Kim, Yong-Jin;Yim, Myung-S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6
    • /
    • pp.73-90
    • /
    • 2013
  • Our basic objective in this paper is to identify a relationship among services, technology level, and service innovation activities using service science approach. The empirical tests are two-fold: first, to find out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service innovations, depending on the service levels and vice versa; seco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level and service activities and between technology level and service innovat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1) Service innovation activit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service activities. (2) Service activit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service innovation activities. (3) Differences between technology level and service activities and between technology level and service innovation activities do not exist.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both research and practice.

An Empirical study on Effect of Service Level Management as Enterprise Quality Management Tool for IT Service Provider (IT서비스 제공자의 전사적 품질 관리 도구로써 서비스수준 관리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Kim, Soo-Ju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85-90
    • /
    • 2005
  • IT서비스 관리에 대한 국내 시장은 전문 SI기업들의 IT아웃소싱 사업 모델을 대상으로 한다. 국내 SI기업들은 전격적으로 IT아웃소싱을 선택하고 SLA를 체결한 그룹 관계사들을 대상으로 IT서비스를 제공해왔기에, 상대적으로 해외 open market에 비해 SLA 적용 효과에 대한 해석과 설명의 노력을 간과했다. 본 연구에서는 12개 고객 기업 사례를 바탕으로, S기업의 4개년간 서비스수준 관리 이력을 분석함으로써 IT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품질 제고에 기여한 서비스수준 관리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첫째로 서비스수준 관리 항목별 목표수준 설정의 효과, 둘째, 서비스 유형별 Target-time 설정의 효과, 셋째, 고객 기업의 사업 영향도에 따른 중요도 구분의 효과, 넷째, 제재와 보상의 적용을 통한 서비스수준 관리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고객 기업과 SLA 체결을 통한 IT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수준 관리 효과를 수치적 결과로 입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후속 연구과제는 IT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수준 관리를 통한 서비스 품질 제고 효과가 IT아웃소싱의 비용 절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 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composition and role of SLA(Service Level Agreement) -based on Incheon Airport (서비스수준협약의 구성요소 및 역할에 관한 연구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 Ye, Jeong-Beom;Park, Gwang-Hui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5a
    • /
    • pp.281-286
    • /
    • 2016
  • 국 내외 기업들이 새로운 경영기법으로 도입하고 있는 아웃소싱은 비용절감, 핵심 업무에 대한 집중, 생산성 제고 등의 장점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 역시 공기업 경영혁신과 내부요인 등으로 인해에 개항과 함께 아웃소싱을 도입하였으며, 2014년 3월 현재에는 43개 분야에 아웃소싱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아웃소싱 도입이 확산 되면서 성공적인 아웃소싱 관리에 대해 모색하게 되었고, 인천국제공항 역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주로 IT 분야에서 적용하고 있는 서비스수준협약(Sercive Level Agreement, SLA)을 전 분야에 걸쳐 도입하게 된다. 인천국제공항은 서비스수준협약을 통해 서비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요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지속적인 서비스 품질수준을 유지하고자 도입한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서비스수준협약이 IT 분야에만 집중되어 있어 아직까지는 비(非) IT 분야의 서비스수준협약 시행은 초기 단계이며 서비스수준협약 측정지표 선정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인천공항에서 운영 중인 서비스수준협약을 유사용역 그룹별로 구분하여 구성요소와 역할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서비스수준협약 측정지표가 공항운영 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수준협약 측정지표의 명확성, 적정성, 업무 통제 가능성은 과업운영의 효율성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인천공항에서 운영 중인 서비스수준협약 평가 결과에 대한 인식이 과업 운영의 효율성에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행 서비스수준협약 평가 결과에 따라 과업의 문제점이 반영되는지 여부와 과업운영의 효율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PDF

Service Level Management of IT Outsourcing Using Statistical Approach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IT 아웃소싱 서비스 수준관리)

  • Yang, Dong-Gu;Kim, Ki-Yoon;Na, Kwan-Si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59-67
    • /
    • 2005
  • IT 아웃소싱에서 서비스수준협약(Service Level Agreement)은 필수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합리적인 서비스수준관리(Service Level Management)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합리적인 서비스 수준관리(SLM)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정보기술 아웃소싱 서비스 수준을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서비스수준협약(SLA)이 IT 아웃소싱 분야에서 널리 확산된 반면에 그 관리방법은 기초적인 수준이다. 본 연구는 합리적인 서비스수준관리 (SLM)를 위해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서비스 목표수준을 설정하고,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서비스 수준평가방안을 제시한다.

  • PDF

IT Service Level Management Using Statistical Method: A Case of H Company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정보기술 서비스 수준관리: H 기업 사례)

  • Yang, Dong-Gu;Kim, Ki-Yoon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8 no.2
    • /
    • pp.211-234
    • /
    • 2006
  • The purpose of IT Service Level Management(SLM) has recently shifted from being a simple financial contract(SLA contract itself) towards a system(SLA management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the customer's expectations and the provider's servic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present the systematic SLM using statistical method. We discuss the service level according to two points of view: statistical method and service level management. First, we go into more detail on the objective service level using statistical method. Second, we give an overview of total service level assessment method. The proposed framework enables to measure total service level as IT outsourcing performance quantitatively from the aspect of business strategy.

Difference of Consumer Attitude based on Level of Product Information and Service Quality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른 소비자 태도 차이에 관한 연구)

  • Chang, Hwal-Sik;Zhao, Ping-Cong;Park, Kwang-Oh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3
    • /
    • pp.127-147
    • /
    • 2010
  •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기업들은 세계적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니기 위해 전자상거래를 이용하여 상품판매, 서비스 제공, 고객과 소통하고자 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TAM 모형을 통한 상호관계나 선행관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좀 더 확장한 모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품정보와 서비스 제공수준은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연구가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른 소비자 태도 차이를 조망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에 연구가 미약하였던 상품정보제공수준 및 서비스제공수준과 기존에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와 구전의도간의 상호인과관계를 조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라 소비자 태도 차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라 소비자들이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 구전효과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변수들간에 상호인과관계와 선행관계가 존재하였다.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 제공수준은 인지된 가치와 인지된 위험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인지된 가치는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 구전효과에, 인지된 위험은 구매의도와 구전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항로표지 서비스수준의 결정에 관한 연구

  • Jeon, Min-Su;Kim, Gi-D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53-154
    • /
    • 2012
  • 우리나라가 항로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이후로 다양한 해양환경의 변화, 관련 기술 발전등을 통하여 항로표지의 서비스 또한 다양화되고 고도화 되어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항해자에 대한 항로표지 서비스는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수준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수준에 관한 객관적인 지표가 존재하지 않아 효율성이 낮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역에 적합한 항로표지 서비스수준의 마련에 대하여 연구하고 서비스수준의 유지 및 관리방안에 대하여 제시한다. 이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인 항로표지의 관리 및 항로표지 서비스 이용자에게 명확한 기대서비스수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fining Level of Service for Railroad System and Analysis of it's Effects on System Planning (철도의 서비스수준의 정의와 시스템 계획에 미치는 영향 분석)

  • Suh, D. Sun-Duck;Shin,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8.06a
    • /
    • pp.1594-1611
    • /
    • 2008
  • Level of Service(LOS) is classified A through F in highway system (KHCM), usually using LOS C in express way and D in national road. (LOS C denotes 75% of capacity) Meanwhile in Railroad System, there is no clearly defined LOS, and the daily demand in infra-structure planning has been used. It is very important that LOS provides consequently a consensus of opinion between users and operators because there is a close relation between user demand and level of services. Considering this, there should exist clearly defined Level of Services in Railroad System Planning so that demand can be predicted precisely.

  • PDF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IT Services Apply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정량적 분석 기법을 적용한 IT 서비스 품질 개선 모형 개발)

  • Seo, Sung-Woong;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202-205
    • /
    • 2011
  •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간 이해관계를 유지하고, 제공되는 IT 서비스의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서 서비스 수준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무형의 IT 서비스는 정성적인 방법으로 평가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존재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사용자가 동의할 수 있는 정량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개선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를 살펴보고 서비스 수준 관리 체계를 정립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서비스 품질 개선 모형은 크게 4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첫 번째 우선관리지표를 선정하기 위해 AHP기법을 활용하였고, 두 번째 통계적 관리기법인 관리도를 이용하여 서비스 기대수준을 정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측정되는 서비스 수준의 이상 유무 또는 이상 징후를 발견할 수 있는 관리도 사용방법을 설명하였다. 마지막 네 번째는 이상 원인을 해결한 후 서비스 기대수준을 재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향후 연구 결과를 실제 조직에 적용시켜 검증함으로써 완성도를 높여 나감은 물론, 원인 분석 및 해결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