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례분석을 통한 효율적 상향수압(Up-Lift Pressure) 처리공법 적용방안에 관한연구 - ◯◯ 상업지역 현장사례 중심으로 -

A Case study and Analysis on the Up-Lift Pressure Treatment Evaluation of Underground Installations for their Efficient Adoption

  • 발행 : 2009.08.20

초록

최근의 건축활동은 초고층화 대형화 복잡화 되고 있으며 도심지내에 근접 시공되어 짐에 따라 건축물의 지상층 높이증가와 더불어 지가의 앙등, 토지이용의 극대화로 지하구조물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지하층의 면적 및 층수가 증가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지하굴착심도가 깊어지고 있으며 토지 이용의 효율극대화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해안매립지등 매립지반에서의 건축활동이 급증하는 추세로 연약지반에 대한 대책과 아울러 지하수위에 대한 영향을 신중하게 검토해야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지하굴착 후 시공되는 건축물은 지층의성상과 토질, 수압 등에 대한 고려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슬라브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지하수위와의 수두압차에 의한 정수학적 압력(Hydrostatic Pressure), 즉 부력(Uplift Water Pressure)이 건물저면에 작용하게 되므로, 이러한 부력(浮力)합리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설계 및 시공법의 개발과 이를 적용하기 위한 노력은 지하층공사에 있어서 안전, 공기, 비용, 건축의질 측면에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지하층 공사는 부력 처리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며 기존의 공법 중 대상 프로젝트의 합리적인 수행을 위한 설계초기단계에서의 지반에 대한 사전조사와 면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바탕으로 O O 건설현장 실 사례를 중심으로 현장은 한강에 인접한 지리적 요인에 의해 지하수위가 한강의 수위와 연계되어 있는바 최초 계획되었던 Rock anchor System 대신 Drain mat System을 적용하여 유입되는 지하수를 유도, 배수함으로써 지하수위에 따른 상향수압을 통제할 수 있는 최적공법 선정을 통해 직접공사비 406,702,000원 및 Life Cycle Cost 차원에서 검토한 결과 건물수명 50년 기준 절감액 운용수익률 년 4% 절감의 효과로 이는 건설초기단계에서의 과다설계에 따른 투입 공사비의 과다책정, 공기의 증가 등에 따른 채산성 문제를 합리적으로 제어하여 건설공사의 원가절감을 위한 성공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Building construction trends have been changed dramatically in terms of size and mass. With the need to maximize land usag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This affects not only the entire construction duration and cost, but also subsequent construction activities, such as work to increase underground facilities and in reclamation land area construction. These types of site conditions require soft ground reinforcement and the proper uplift water pressure treatment. In general, two kinds of methods have been used for uplift water pressure treatment systems.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problems arising as the result of a lack of research and analysis on underground construction techniques, and a reliance on experiments over actual survey and analysis of site conditions. This paper focused on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selection procedure, by analyzing drawings and proposing a kind of modeling for a reasonable procedure. The results were applied to OO project as a sample construction case to be verified in this research. The initial plan in the case project was the Rock Anchor System. However, as there were terrible miscalculations of basic site conditions that had an extraordinary influence on the underground water level, such as the site's proximity to the Han-river,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plan to include apermanent drainage system. This achieved a direct construction cost reduction \ 406,702,000 and a maximum sayings of 4% of operational cost, based on the 50-year building Life Cycle Cost.

키워드

참고문헌

  1. 건국 스타시티 건립지, pp.80-86, 2009.4
  2. 김상규, 홍병만, 침투해석 프로그램의 활용과 사례연구, 2007
  3. 박옥교,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 2007
  4. 이정영, 지하구조체 설계 및 시공시 상향수압처리방법에 대한 대안별 비교, 시지엔지니어링(주), 2007
  5. 지하구조물 시공 및 감독기술, 시지엔지니어링, 2005
  6. 특수공법 시공 보고서, 삼부토건(주), 2003
  7. Das. B.M. Principles of Foundation Engineering, 2004
  8. Davis, Discussion notes on ground water control for the construction of deep basement,1992.9
  9. Joseph E. Boweles, Foundation Analysis and Design 4th edition, Mcgrawhill

피인용 문헌

  1. Applicability examinations of induced drainage system for reduction of uplift pressure in underpass structures: Numerical study vol.15, pp.2, 2013, https://doi.org/10.9711/KTAJ.2013.15.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