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of Computer Program for Slope Hazards Prediction using Decision Tree Model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 예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송영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조용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서용석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 안상로 (한국시설안전공단 네트워크연구단)
  • Received : 2008.12.29
  • Accepted : 2009.03.02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field investigation and soil testing to slope hazards occurrence section and non-occurrence section in crystalline rocks like gneiss, granite, and so on, a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by the use of a decision tree model.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selected prediction model is composed of the slope angle,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nd the void ratio in the order. The computer program, SHAPP ver. 1.0 for prediction of slope hazards around an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using GIS technique and the developed model. To prove the developed prediction model and the computer program, the field data surveyed from Jumunjin, Gangneung city were compared with the prediction result in the same site. As the result of comparison, the real occurrence location of slope hazards was similar to the predicted section. Through the continuous study, the accuracy about prediction result of slope hazards will be upgraded and the computer program will be commonly used in practical.

본 연구에서는 화강암, 편마암 등 결정질암 지역에서의 급경사지재해 발생지역 및 미발생지역에 대한 현장조사자료 및 토질시험자료를 토대로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선정된 급경사지재해 예측모델의 분리기준은 최상위부터 사면경사, 투수계수 및 간극비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GIS기법을 이용한 국가 주요시설물 주변 급경사지 재해 예측프로그램 SHAPP ver 1.0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예측모델 및 예측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하여 강릉시 주문진읍 일대의 현장조사결과와 대상현장에 대한 예측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실제 급경사지 재해가 발생된 구간과 급경사지재해 예측구간이 유사하게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급경사지재해 예측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고, 이를 실용화하여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영, 채병곤, 김경수, 기원서, 조용찬, 최영섭, 이사로, 이봉주(2000)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연구, 과학기술부, 한국자원연구소, KR-00-(T)-09, p. 642.
  2. 김원영, 채병곤, 김경수, 조용찬, 최영섭, 이춘오, 이철우, 김구영, 김정환, 김준모(2003)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연구, 과학기술부, KR-03-(T)-03, p. 339.
  3. 김정찬, 고희재, 이승렬, 이창범, 최성자, 박기화(2001) 1:250,000 강릉-속초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 76.
  4. 김종규, 사공명, 이준석, 이용주(2006) 의사결정트리 기법을 이용한 터널 보조공법 선정방안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4C호, pp. 255-264.
  5. 송영석, 채병곤(2008)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편마암지역에서의 급경사지재해 예측기법 개발, 지질공학, 제18권 제1호, pp. 45-54.
  6. 송영석, 채병곤, 조용찬, 김경수, 이춘오(2008) GIS기반 급경사지 재해위험 취약지구 선정기법 연구(2차년도), 국토해양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 114.
  7. 장윤경, 유병섭, 이동욱, 조숙경, 배해영(2006) 공간 데이터의 분포를 고려한 공간 엔트로피 기반의 의사결정 트리 기법, 정보처리학회논문지, 한국정보처리학회, 제13-B호, 제7권, pp. 643-652. https://doi.org/10.3745/KIPSTB.2006.13B.7.643
  8. 조용찬(2006) 화강암지역 산사태의 특성과 예측 -강릉지역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p. 152.
  9. 최기헌(1995) 데이터 마이닝: 개념 및 기법, 자유아카데미.
  10. 홍원표, 김원영, 송영석, 임석규(2004) 인공신경망모델을 이용한 산사태 예측,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20권 제4호, pp. 67-75.
  11. Biggs, D., de Ville, B., and Ville, E. (1991) A method of choosing multiway partitions for classification and decision tree.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ol. 18, pp. 46-62.
  12. Brand, E.W. (1981) Some thoughts on rainfall-induced slope failures, Proceedings of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Foundation Engineering, Stockholm, The Netherlands, pp. 373-376.
  13. Das, B.M. (1990)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PWS-KENT, Boston.
  14. Jin, M.S., Gleadow, A.J.W., and Lovering, J.F. (1984) Fission track dating of apatite from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e in South Korea. Jour.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0, pp. 257-265.
  15. Kass, G. (1980) An exploratory technique for investigating large quantities of categorical data, Applies Statistics.
  16. Olivier, M., Bell, F.G., and Jemy, C.A. (1994) The effect of rainfall on slope failure, with examples from the Greater Durban area. Proceedings of 7th int. Congress on IAEG, Vol. 3, pp. 1629-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