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네트워크분석법(ANP)을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평가항목 개발

A Development of Criteria for Evaluating School Zone by Utilizing Analytic Network Process

  • 정광섭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김태호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원제무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투고 : 2009.01.07
  • 심사 : 2009.01.28
  • 발행 : 2009.03.31

초록

어린이보호구역 우선순위 선정을 종합적이고 합리적으로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 설문, 네트워크분석법(ANP)을 통해 새로운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측면(이용자측면 시설측면 운영 및 관리측면 교육 및 제도관련 측면)에 대한 지표를 포함하여 종합적인 평가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복잡하고 종합적인 의사결정과정을 반영하기 위해 네트워크분석법(ANP)을 적용하였다. ANP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제1수준의 가중치 분석결과 시설측면 이용자측면이 전체 가중치의 약 65%를 차지함으로써 어린이보호구역의 주체인 이용자와 어린이들을 보호하거나 방해할 수 있는 시설측면에 대한 부분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2수준의 가중치 분석결과, 제1수준과 유사한 형태의 측정지표들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설관리 통학로 주변 환경 안전시설 감속시설이 약 7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학로 주변의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 및 감속시설과 함께 통학로주변의 광고물 정비와 같은 주변 환경을 정비하거나 개선해 주는 것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 제시된 종합적인 평가지표들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향후 어린이보호구역 지정시 다양한 계층 및 요인을 반영하여 보다 합리적인 어린이보호구역 지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hoose the Criteria by conducting survey questionnaire of expertise, ANP analysis, and reviewing literature to samples of School Zone in a synthetic and reasonable way. It draws the estimating factors including a variety of existing aspects (user, facility,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education and institution) from the analyses and applies ANP to reflec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first level of weights presents proportion of 'facility' and 'user' takes 65% of total weights. It implies that the facility protects children from obstacles is the top priority of the settings. second, the second level of weights present similar importance with the first level. Facility management, road to school, surroundings, safety facility, decelerating facility hold approximately 72% of overall levels. This indicates that improving and repairing surroundings, and safety and decelerating facility are the first priority to consider. These estimating indicators will be properly utilized to rationally appoint prevention zone with reflecting various factors and social class.

키워드

참고문헌

  1. 금기정(1999)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의 교통안전 특성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9권 제3-1호.
  2. 김태호(2008) 지속가능한 보행환경을 위한 보행자 서비스 질 평가지표개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3.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1996) 교통사고 통계분석.
  4.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0) 교통사고 통계분석.
  5.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3) 교통사고 통계분석.
  6.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5) OECD회원국교통사고 비교.
  7.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6) 교통사고 통계분석.
  8.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2008) 어린이 보호구역 유형화 및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9. 석종수(2004) 인천광역시 어린이보호구역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10. 엄상미(2003)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실태분석에 따른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밭대학교.
  11. 이성근(2006) 어린이보호구역 관련법의 개정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12. 이순우(2004) 어린이보호구역의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13. Saaty, T.L. (2001) Decision Making with Dependence and Feedback :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RWS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