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교통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225,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Design of Distributed Hierarchical Routing Plan Method for 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을 위한 분산 계층 경로탐색 기법 설계)

  • Back, Yeong-Tae;Kim, Sang-Oh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2
    • /
    • pp.147-154
    • /
    • 2010
  • This paper suggests new route plan cost calculation and cost-effective route plan algorithm and architecture for the new city traffic information system when it is operated nationwide. New algorithm and architecture estimates cost with traffic speeds which is supported for all different lanes, stratifies logical layer which process different levels' traffic information with diverse traffic patterns and provides different traffic information in the few levels. Also suggested new algorithm supports drivers' customized traffic information through both-way communications and plans routes effectively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drivers' start position and destination and different levels which start and end position located. It proposes additional research items and requirement for integration between different cities' traffic information system which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vested and led.

Dynamic Distributed Hierarchical Routing Plan Method for UTIS and DSRC systems (UTIS, DSRC 통합 동적 분산 계층 경로탐색 기법)

  • Baek, Yeong-Tae;Lee, Se-Hoon;Kim, Sa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7-50
    • /
    • 2010
  • 본 논문은 현재 경찰청 및 각 지자체의 주도하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새롭게 보급되고 있는 도시 교통 정보 시스템 (UTIS)과 국토해양부 및 한국 도로 공사 등을 중심으로 한 DSRC 기반의 교통 정보 시스템을 모두 활용하는 시스템 및 효율적인 경로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도시 교통 정보 시스템은 무선랜과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기존 단방향 방식인 TPEG의 주요 도로 위주의 제한된 교통 정보 단점을 극복하고 많은 지선를 포함한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단지 도심 내에서만 운전하는 것이 아니고 고속도로 등을 통해서 장거리 운전도 하기 때문에 고속도로 상의 DSRC 기반의 서비스도 동일 단말에서 지원해야 하나의 단말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두 개의 다른 통신 모듈의 통합된 단말 시스템을 제안하고 기존에 제안된 UTIS 기반의 분산 경로 탐색 방식을 DSRC 기반의 고속도로 교통 정보를 활용해서 새로운 경로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향후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연구와 현재 다른 주체들의 주도로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제도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한다.

  • PDF

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Project (도시교통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 Jang, Dai-Hyun;Rhee, Yang-Won;Py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89-90
    • /
    • 2013
  •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은 점점 가속화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 알맞은 신속, 안전, 쾌적한 차세대 교통체계를 구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경기도 광주시 도시지역 광역교통정보 기반확충사업은 광주시 전역을 대상으로 '11년 6월 착수하였다. '12년 4월 SK C&C 컨소시엄이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광주시는 본 사업을 통해 24시간 교통흐름 및 돌발 상황에 효과적인 대응 수단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량 분산 등의 효과를 가져왔다.

  • PDF

지능형 도시교통관리 체계(ATMS)의 시스템 구성 및 제공 서비스

  • 이영인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4 no.2
    • /
    • pp.41-49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전자, 통신, 제어, 컴퓨터공학 등의 첨단기술을 교통공학에 응용하여 기존의 도로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첨단 교통체계(ITS)연구의 기반시스템인 지능형 교통관리체계(ATMS)의 시스템 구성 및 제공서비스를 개관하였다. 연구범위는 ATMS의 개념 및 정의,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 및 기본구상, 그리고 제공서비스의 종류를 살펴보았다. 향후 지능형 교통관리체계는 대도시 교통 소통을 완화시키는 방안으로서 도시가로에 영향을 미치는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주행안내시스템, 대중교통 및 화물운송 체계 등과 연계되는 종합교통체계 구축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Traffic Information System on Urban Streets (도시부 가로의 교통정보시스템의 운영효과)

  • Lee Chungwon;Kim Dae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 no.1
    • /
    • pp.33-40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Namsan 1st tunnel traffic information system, which is providing the real time queue length status and incidence information inside of the Namsan 1st tunnel, 1600meters long in the Seoul metropolitan CBD. This information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because of notifying drivers to pay a toll for the tunnel path, the congestion information in adv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an evident improvement on the tunnel path and its bypass without any conspicious adverse impact. Furthermore, survey analysis found that motorists placed a high value on the provided information. During peak time, the system turned out to help motorists to relax their hasty minds. As well, several performance indices showed the reduction of congestion and travel time variation on both of the tunnel path and its bypass, in spite of no traffic information on the bypass.

  • PDF

An approach for Traffic Signal Control using RFID in the u-City (u-City에서 RFID를 이용 교통신호제어에 관한 연구)

  • Seo, Gang-Do;Cho, Jin-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5 no.2
    • /
    • pp.26-36
    • /
    • 2008
  • This study proposed a traffic responsive urban traffic control system using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to get traffic information. The proposed system is a decentralized control using model predictive control. The objective of proposed system is to get traffic data using advanced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junctions' traffic rights. A simulation example is provided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An approach for Traffic Signal Control using RFID in the u-City (u-City에서 교통신호 수집을 위한 RFID이용에 관한 연구)

  • Seo, Gang-Do;Ozguner, Umit;Cho, Jin-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359-360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에는 최첨단의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을 목적으로 ubiquitous city(u-City)가 건설 중에 있다. 이들 도시에서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는 도시거주민들에게 적절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최적으로 도시교통을 제어하는 방안이다. ITS의 한 부분으로서 교통흐름에 적합한 교통신호제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많은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야 한다. 이러한 교통정보의 수집은 도시운영을 위하여 최첨단 정보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u-City에서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미래지향적인u-City의 ITS 교통제어에 적합한 새로운 시스템에 대하여 이 논문에서는 연구하였다.

  • PDF

ITS기반 도로교통 안전시스템 정착을 위한 아.태 지역의 공동 대응방안

  • Yang, Geung-Hwan;Lee, Yong-Taek
    •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 /
    • v.5 no.1
    • /
    • pp.161-171
    • /
    • 2008
  • 아시아의 도시교통사고는 빠른 인구증가와 경제성장으로 인한 자동차 보급 확대로 인해 OECD 국가에 비해 2${\sim}$3배 높은 수준으로 교통사고절감을 위한 대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ITS기반 도로교통 안전시스템의 정착을 통해서 아시아 도시의 공통된 교통안전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공동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도로사고와 ITS관계를 규명하고 사고요인을 도로상에서 제거할 수 있는 ITS기술을 소개하였다. 교통사고원인의 95%가 운전자관련인자로 나타나 운전자관련 ITS요소기술(HMI 등)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도로 안전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실용기술로는 돌발상황관리시스템, 충돌경고시스템, 비상연락시스템, 단속시스템 등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ITS기반 도로교통 안전시스템의 조기 정착을 위해서는 기존 조직 법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아시아 도시에서는 ITS 도입 초기 정부주도형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정부조직 내 ITS 전담기구 (Headquarter)를 신설하고, 도로안전 ITS관련 법령 및 ITS Master Plan에 근거한 권한과 사업, 예산을 확보해야한다. 또한 인프라 및 ITS 구축 운영과 함께 RSA(Road Safety Audit)와 같은 선진안전제도 시스템을 벤치마킹하여 국내 현실에 맞도록 접목시켜 나가야한다. 셋째, 교통관제 (광역)정보센터, 버스센터, 구간속도단속 등 혁신적인 도로안전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 확충하여 노하우를 축적해야 한다. 넷째, 아시아 도시의 공통된 교통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공동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각국의 노하우를 전파하고 공유하는 창구로 아시아 태평양지역 ITS포럼을 더욱 육성해야 하겠다.

  • PDF

Implementing Advanced Traffic Information System Using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Case Study of Daejeon) (DSRC를 이용한 첨단교통정보시스템 구축 (대전광역시 첨단교통모델도시 건설사업 사례))

  • O, Gi-Do;Park, Eun-Mi;Kim, So-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2 s.73
    • /
    • pp.165-175
    • /
    • 2004
  • 본 고는 대전광역시 첨단교통모델도시 건설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된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을 활용한 교통정보시스템 구축 사례를 소개함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부문에서의 구간정보 수집 및 가공 체계 구축은 본 대전 ITS 사업이 처음이며 더욱이 DSRC 기술을 구간정보 수집에 적용한 최초의 시도이다. 이에 시스템 구축과정에서 적지 않은 쟁점이 도출되었고,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그 해법을 찾아가며 현재 운영중인 시스템을 완공하게 되었다. 노변기지국(RSE)과 차량장치(OBE)간의 통신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필터링, 검지기 지점정보, 패턴데이터 등과의 자료합성, 평활화, 통계정보 및 패턴정보 생성 등의 과정을 거쳐 구간소통정보가 산출된다. 현재 운영중인 본 시스템은 향후 지속적으로 보완 발전시켜 나가야 하며, 이를 위해 프로브 수집체계 보완, 시스템의 성능평가, 패턴데이터의 적절한 유지관리, 알고리즘의 지속적 발전 등을 향후과제로서 제시하였다. 본 고는 ITS사업에 있어 중요 쟁점중에 한 분야인 소통정보의 가공 절차를 공유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기술개발 촉진과 향후 유사시스템 구축의 시행착오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5G City Service Data Collecting and Sharing System (5G 기반의 스마트시티 서비스 데이터 수집 및 공유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Jang, Sooyoung;Han, Mi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21-23
    • /
    • 2019
  • 5G 기반의 스마트시티 서비스 데이터 수집 및 공유 시스템은 5G 융합서비스 플랫폼의 시스템컴포넌트로 설계 및 개발된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수집 서브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서브시스템, 및 데이터 공유 서브시스템 세 서브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범용성, 확장성, 유연성 및 개방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 및 개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