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적정입도차량대수 산정을 위한 자동차 총량제에 대한 사회적 수용력 측정

The Measurement of Social Carrying Capacity on the Total Amount of Vehicles for Estimation of the Appropriate Number of Vehicles in U-do Island

  • 투고 : 2009.07.17
  • 심사 : 2009.08.10
  • 발행 : 2009.09.30

초록

자동차 총량제에 대한 사회적 수용력 측정을 위해서는 특정 공간 지역의 이용자들이 느끼는 만족도 또는 용인 가능한 수준을 파악해야 한다. 이 때 신뢰할 수 있는 사회적 수용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응답자의 전략적 편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응답자의 진실된 선호를 유도하기 위한 질문법으로 개발된 양분선택형 질문법을, 구체적으로 이중 경계 양분선택형 질문법을 적용하여 우도 주민들의 자동차 총량제에 대한 사회적 수용력 측정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사례 지역인 제주특별자치도의 우도를 대상으로 수용 가능한 차동차용량, 즉 사회적 수용력을 측정한 결과, 주민 10%가 만족하는 수준의 적정 차량대수는 390대, 90%가 만족하는 수준의 적정 차량대수는 132대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치적 의사결정 기준을 적용하여 우도지역의 사회적 수용력을 주민 50% 이상이 만족하는 수준인 227대로 설정하였다. 이는 정치적 의사결정시, 즉 주민 투표의 50% 이상이 찬성할 수 있는 수치를 의미한다.

The either satisfaction levels or limits of tolerance levels felt by the users in the certain space/region should be examined for measuring social capacity on the total amount of vehicles. The reliability of measuring social carrying capacity depends primarily on decreasing the strategic responding biases. To induce the honest responses to preferences, Dichotomous Choice which is specifically known as the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was adopted in this research to suggest the measurement methodology of social carrying capacity on the total amount of vehicles in U-do island. The empirical test was carried out the U-do island,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number of vehicles satisfied by the 10% of residents was 390 and the satisfactory vehicle number was decreased to 132 extended to 90% of residents. This research, based on the political decision making criteria, set up the social carrying capacity in U-do island. The vehicle number satisfied by 50% of residents was 227, which meant the same number of residents turn to be supporter in case of political ac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2008) 지방지속가능발전업무매뉴얼.
  2. 권영선, 이경재, 송근준(1988) 치악산 국립공원 야영장 이용자의 심리적 수용능력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한국조경학회, 제16권 제1호.
  3. 김선희(2005) 관광지의 적정 수용력 산정과 관리 방안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40권 제3호.
  4. 김진선, 정성태(2003) 공간 집약적 관광지에서 사회적 수용력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한국조경학회, 제31권 제2호.
  5. 김창수, 김의근(1995) 관광지의 적정수용력 측정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ourism System and Quality Management, Vol. 1, No. 2/3/4.
  6. 신원섭, 권헌교, 한상열(2007) 국립공원 탐방집중도 분석 및 사회.심리적 수용력 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한국산림휴양학회, 제11권 2호.
  7. 엄붕훈(1992) 공원잔디공간의 레크레이션 수용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한국조경학회, 제20권 제3호.
  8. 정회성, 변병설(2003) 환경정책의 이해, 법문사.
  9. 조현길(1988) 산악형 국립공원 야영장의 수용력 추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10. 한효민, 홍경완(2006) 지역축제의 사회적 수용력과 대응행동에 관한 연구-부천 국제학생 애니메이션페스티벌(PISAF 2004) 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0권 제1호.
  11. Bohart, C. V.(1968) Good recration design helps prevant site deterioration,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 Vol. 1, No. 2, pp. 21-22.
  12. Hanemann, W. M., Loomis, J. B. and Kaninnen, B. J. (1991) Statistical efficiency of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73, pp. 1255-1263. https://doi.org/10.2307/1242453
  13. Manning, R. E. and Ciali, C. P. (1980) Recreation density and user satisfaction: A further exploration of the satisfaction model.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 12, No. 4.
  14. Manning, R. E. (1999) Studies in outdoor recreation: Search and Research for Satisfaction. Oregon State University Press.
  15. Munn, R. E. (1989)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F. Archibugi and P. Nijkamp (eds). Economy and Ecology: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49-72.
  16.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994) Natural Resource Damage Assessments: Proposed Rules, Jan. 7, Part, Federal Register, 15 CFR Part 990, Department of Commerce, pp. 1139-1184.
  17. O'Reilly, A, M. (1986) Tourism Carrying Capacity, Tourism management, Dec..
  18. Orr, H. R. (1971) Design and layout of recreation facilities, The Forest Recreation Symposium Proceedings, USDA Forest Service, pp. 23-27.
  19. Penfold, J. W., Cain, S. A., Estep, R. A., Evans, B., Nash, R., Schwartz, D., and Young, P. (1972) Preservation of national park value, Washington, DC: National Conservation Foundation.
  20. R. E. Munn(1989)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F. Achibugi and P. Nijkamp. (eds). Economy and Ecology, Towards Sustainable Developmnet. Dordredch; Kluwer Academic Publishers: 49-72.
  21. Shelby B., Herberldin T.A. (1984) A conceptual framework for carrying capacity dermination, Leisure Sciences, Vol. 6, No. 4.
  22. Shelby B., Vaske, J. J., and Harris, R. (1988) User standards for ecological impact at wilderness campsites, Jouranl of Leisure Research 20.
  23. Stankey, G. H. (1973) Visitors Perception of Wilderness Recreation Carrying Capacity, International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USDA Forest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