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Handles of Swords with Round Pommel Excavated from Jeollabuk-do Made in Before 6 Century

6세기 이전 제작된 전라북도 출토 소환두도의 병부(柄部) 제작기법 연구

  • Lee, Young-Beom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National Museum of Jeonju) ;
  • Seo, Jeong-Ho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영범 (국립전주박물관 보존과학실) ;
  • 서정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08.12.18
  • Accepted : 2009.01.21
  • Published : 2009.03.01

Abstract

Jeollabuk-do is bounded by the sea, and Mahan Baekje culture have been established around a wide plain. Also, in southeastern, it was closed by Gaya kingdom where iron culture was prosperous at that time, a variety of the handles of swords with round pommel is excavated at present. The handles of swords with round pommel is the best amount of excavated objects among the swords with round pommel and producted object for the time. It supposes them to become the foundation of making the decorated swords with round pommel. But, the handles of swords with round pommel that don't have a pattern in handle is indifferent to study because the production method is simple in spite of that the value of archaeological data is 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it examined changed production techniques with the change of times concerning the handles of swords with round pommel of Mahan Baekje Gaya period(before 6C) excavated from Jeollabukdo through using X-rays in order to clarify a variety of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handles of swords with round pommel correctly in accordance with a period of production and excavated place. As a result, identified production techniques using X-rays of the handles of swords with round pommel excavated around remains of Mahan Baekje Gaya period shows that production progress improved in order of all-in-one shape, hammer welding shape of the handle of round pommel, and two in body 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ge. Especially, in two in body shape, it products the handle of round pommel separately, after that it welds the handle of swords and then links the sword blade like a riveting or bottleneck and so on. Despite of improved hammer welding technique, the reason why it didn't utilize is it regards as inlay or gilt will be damaged. And it is judged by using riveting or bottleneck. Also, it appears to techniques of metal craft such as decoration of the handle, decoration of point of sword, inlay, and silver-plating in the period of appearing two in body shape. As clarifying correctly, it provides fundamental database of scientific research about a study of production techniques of handle of swords with round pommel.

전라북도는 해안을 접하고 있으며 넓은 평야지대를 중심으로 마한 백제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고 동남쪽으로는 철기 문화가 융성했었던 가야국이 접해 다양한 소환두도가 출토되는 지역이다. 대상 유물인 소환두도는 환두도 중 그 출토 수량이 가장 많고, 오랜 기간 제작된 유물로서 장식환두도 제작의 기초가 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러나 고리에 문양이 없는 소환두도는 출토 수량이나 고고학적 자료의 가치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제작방법이 단순하다는 이유로 연구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작 시기나 출토 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여러 형태의 소환두도 병부 부분의 제작 기법을 정확히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전라북도에서 출토된 마한 백제 가야시대(6C 이전) 소환두도의 병부를 X-선 촬영을 통하여 시대에 따라 변화되는 제작기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6C 이전의 마한 백제 가야시대 유적을 중심으로 출토된 환두도의 X-선 촬영을 이용하여 확인한 제작기법은 시기에 따라 일체형, 환두단접형, 이체형 순으로 제작공정이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체형에서는 환두를 별도로 제작하여 병부와 단접하고 도신을 '리벳팅'(못접) 또는 병목 등으로 연결하였다. 연결방법도 발전된 단접기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용하지 못한 이유는 상감이나 도금 등에 손상이 될 수 있어 '리벳팅'(못접)이나 병목으로 연결한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체형(二體型) 이 나타나는 시기에는 손잡이장식, 칼머리장식, 상감기법, 은판도금의 금속공예 기법이 등장하게 된다. 시대에 따라 변화되는 제작기법을 정확히 밝힘으로서 환두도 연구에 대한 기초적 학술 자료를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정광용 윤용현 이현상 공저 "문화재 복원 제작 기술" 서경문화사 p68, (2008).
  2. 송계현, "三國의 鐵器文化". 鍵의 역사, 국립청주박물관, p96, (1997).
  3. 盧泰天, "韓國古代 治金技術史 硏究". 學硏文化社, p405, (2000).
  4. 盧泰天, "韓國古代 治金技術史 硏究". 學硏文化社, p415, (2000).
  5. 李午意, "古代鐵製의 象嵌技去 및 材質에 대한 科學的 연구". 沽羅美術館硏究論文集, 1, 三星文化財團, (1996).
  6. 具滋奉, "三國時代의 環頭大刀 硏究". 嶺南大學校大學院 文化人類學科 考古學專攻 博十學位論文, p48, (2005).
  7. 鄭光龍 "5世紀 百濟時代 山月里遺跡 鐵器 硏究". 科技考古硏究, 11號, p84, (2005).
  8. 박장식 정광용 최광진, "천안 용원리 출토 철기 유물에 나타난 철기제작 기술체계 분석" 龍院里古墳群, 公州大學校博物館學術叢書 00-03, p837-838, (2000).
  9. 李健茂 李榮勳 尹光鎭 申大坤, "義昌 茶戶里遺跡 發掘進報告書(I)". 考古學誌, 弟1輯, 韓國考古美術硏究所. p53, (1989).
  10. 李健茂 李榮勳 尹光鎭 申大坤, "義昌 茶戶里遺跡 發掘進報告書(I)". 考古學誌, 弟1輯, 韓國考古美術硏究所. p53, p130, (1989).
  11. 국립대구박물관, "선사에서 조선까지 한국의 칼". p43, (2007).
  12. 국립대구박물관, "선사에서 조선까지 한국의 칼". p41, (2007).
  13. 具滋奉, "三國時代의 環頭大刀 硏究". 嶺南大學校大學院 文化人類學科 考古學專攻 博十學位論文, p12, (2005).
  14. 具滋奉. "三葉環頭大刀의 考察" 鎭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5-6, (1988).
  15. 국립대구박물관, "선사에서 조선까지 한국의 칼". p58, (2007).
  16. 국립대구박물관, "선사에서 조선까지 한국의 칼". p65, (2007).
  17. 국립대구박물관, "선사에서 조선까지 한국의 칼". p69, (2007).
  18. 全榮來. "南原月山里古墳環群發握調査報告". 圖光大學校, 馬韓百濟文化硏究所, (1983).
  19. 尹德香 郭長根, "斗落里 發握調査報告書". 全羅北道南原市 全北大學校博物館, (1989).
  20. 전주대학교박물관 한국도로공사, "서해안 고속도로(군산-고창)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고창 예지리 우평리-". p82-85, (2002).
  21. (재)호남문화재연구원 전라북도, "高敞 萬洞遺跡". 호남문화재연구원 학술조사보고서, 제31책, p176-177, (2004).
  22. 군산대학교박물관 군산시 문화재청, 2004, "군산 산윌리 유적". 群山大學校博物館 學術 叢書, 34. p179-193, (2004).
  23. 全榮來. "南原月山里古墳環群發握調査報告". 圖光大學校, 馬韓百濟文化硏究所, p71, (1983).
  24. 전라북도 (재)전북문화재연구원, "전북지역 백제 문화유산". p278, (2003).
  25. 국립전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도록". p21(도판 25), (1990).
  26. 국립전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우리나라 金屬 工藝의 精華 入絲工藝. p132-134, (1997).
  27. 尹德香 郭長根, "斗落里發握調査報告書". 全羅北道南原市 全北大學校博物館, p55-56,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