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체형

Search Result 1,15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Operation test case for integrated CCR (일체형 CCR에 대한 동작 실험 사례)

  • Lee, Gi-Min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175-178
    • /
    • 2015
  • A-SMGCS(Advanced Surface Movement Guidance and Control system)의 ILCMS(Individual Light Control&Monitoring System) 고도화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체형 CCR(CONSTANT CURRENT REGULATOR)을 제작하고, 개발되어진 LCU(LOCAL CONTROL UNIT)모듈 및 LK CCR FILTER가 일체형 CCR의 실제 동작에 끼치는 영향과 일체형 CCR의 동작 상태를 실험을 통해 결과를 표현 하였다.

  • PDF

일체형 신형원자로의 증기발생기 개념 설계

  • 김용완;김지호;윤주현;김주평;김종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735-740
    • /
    • 1995
  • 일체형 원자로에는 노심지지원통과 원자로용기 내벽사이의 환형 공간을 나선으로 감는 형태인 일체형 관류식 나선형 증기발생기와 증기발생기를 여러 개의 모듈로 나누어 환형 공간에 배치하는 형태인 모듈형 관류식 직관형증기 발생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두 가지 형태에 대한 개념을 설정하였다. 일체형 관류식 나선형 증기발생기는 전열관 집합체, 지지구조물, 하강유로, 그리고 증기 및 급수 헤더로 구성되어 있다. 모듈형 관류식 직관형 증기발생기는 개개의 모듈이 별도로 운전될 수 있는 12개의 모듈로 구성되며, 원자로용기를 관통하는 배관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 급수관이 증기관의 안쪽에 있는이중배관 개념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모듈형 관류식 직관헝 증기발생기가설계 및 제작이 용이하지만 높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가지 개념이 조합된 모듈형 관류식 나선형 증기발생기도 검토하였다.

  • PDF

일체형원자로 모듈형 증기발생기 자연대류 현상 파악 연구

  • 이상민;김재학;이상원;박군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633-638
    • /
    • 1997
  • 중소형 일체형 원자로의 자연대류 실험 및 해석을 통해 일체형 원자로의 자연대류에 의한 잔열제거 기능의 특성 및 피동 안전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일체형 원자로 축소 실험장치를 이용한 자연대류 실증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RETRAN-03와 COMMIX-1B 코드 해석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일부 증기발생기의 열제거 기능 상실이 발생한 경우에도 노심으로 유입되는 냉각재의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하여 피동 잔열 제거가 원만히 일어남을 알 수 있었고 해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 PDF

Numerical Study on the Behavior of Ground and Structure in Geosynthetic-Reinforced Soil (GRS) Integral Bridges

  • Sim, Youngjong;Jin, Kyu-Nam;Hong, Eun-Soo;Kim, Hansung;Park, Jun Kyu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2 no.3
    • /
    • pp.97-108
    • /
    • 2021
  • In bridge abutment structures, lateral squeeze due to lateral stress of embankment placement and thermal movement of the bridge structure leads to failure of approach slabs, girders, and bridge bearings. Recently, GRS (Geosynthetic-Reinforced Soil) integral bridge has been proposed as a new countermeasure. The GRS integral bridge is a combining structure of a GRS retaining wall and an integral abutment bridge.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es which considered construction sequences and earthquake loading conditions are performed to compare the behaviors of conventional PSC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traditional GRS integral bridge structure and GRS integral bridge with bracket structures (newly developed LH-type GRS integral bridg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GRS integral bridge with bracket structures is most stable compared with the others in an aspect of stress concentration and deformation on foundation ground including differential settlements between abutment and backfill. Furthermore, the GRS integral bridge with/without bracket structures was found to show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seismic stability.

The Evacuation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ccording to Working of Single Unit Fireproof Shutter for Fires (화재 시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피난특성)

  • Lee, Seung-Chul;Hong, Yi-Pgo;Kim, Sang-Il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7 no.4
    • /
    • pp.35-40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vacuation characteristics of student of elementary school with single unit fireproof shutter. In particular, we gathered the data about fireproof shutter and checked the data. And we made comparison and did an analysis of the evacuation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ccording to working of single unit fireproof shutter for fires. As a result, it took the last occupant 130 seconds to escape from the school with no fire shutter case. But it took time 190 seconds to escape when the single unit fireproof shutter worked. Som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not open the door installed on the shutter when the single unit fireproof shutter worked. Considering this circumstance, it can be led to time delays of escaping when the single unit fireproof shutter work. And many students can be exposed to the fire hazards. Therefore, the study on the power to open the door installed on the shutter must be don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wheel motor drive system integrated into low-floor axle for the electric bus (전기버스용 초저상 액슬 일체형 휠모터 구동시스템 개발)

  • Cho, Sang-Joon;Yoon, Young-De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241-242
    • /
    • 2011
  • 교통 약자 승객의 편의성 증대, 도심의 매연 감소 및 온실가스 저감 등 대중 교통 선진화를 위해 친환경 초저상 전기버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초저상 전기버스는 초저상 액슬 일체형 휠모터 구동시스템을 탑재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며, 초저상 액슬 일체형 휠모터 구동시스템은 구동 모터를 액슬 허브에 일체화 시킴으로써 기존 구동시스템 대비 무게 및 사이즈가 대폭 줄어들고, 동력 전달 매커니즘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효율 향상 및 차량 연비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바퀴 중심과 액슬 출력 중심에 단차를 둠으로써 차량의 전방 바닥 뿐만 아니라 후방바닥을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교통 약자를 포함한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슬 일체형 휠모터 구동시스템은 각 휠의 분산 구동이 가능하므로 동특성 및 구동제어성이 뛰어나고,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VDC(Vehicle Dynamic Control) 등과 연계하여 통합적인 지능형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액슬 일체형 휠모터 구동시스템은 휠모터와 감속기 및 휠모터제어기 등으로 구성되며, 본 논문에서는 초저상 액슬 일체형 구동시스템용 120kW급 휠모터 및 휠모터제어기의 개발 및 다이나모 환경에서 T-N 특성 및 최대 출력 시험, 효율 시험을 통해 전기버스 등 대형 차량(Heavy Duty Vehicle)에 적용 가능한 전기동력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일체형 신형원자로의 기계구조 예비개념설계

  • 김지호;김용완;김긍구;김종인;문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741-746
    • /
    • 1995
  • 일체형원자로는 노심, 증기발생기, 가압기, 펌프 등 1차측 주기기들을 하나의 압력용기 안에 모두 포함하고 있고 또 1차측 냉각재가 원자로 안에서만 순환하므로 기존의 분리 형에 비해 구조특성상 상당히 다른 설계개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중에 있는 일체형 열병합원자로에서 채택한 설계개념은, 먼저 증기발생기는 많은 수의 전열관들이 나사선처럼 노심지지원통을 감고 올라가는 일체형 관류식 나선형을 사용하였으며, CEDM은 지진하중과 같은 동적하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자로용기 외부로의 돌출부분을 최소화하는 설계개념을 채택하였다. 또한 가압기는 별도의 부품없이 원자로용기 헤드의 빈공간을 활용한 자기가압방식으로 대체하였고 냉각재 펑프는 Canned Motor Pump를 원자로벽에 직접 부착하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개념설계된 일체형 신형원자로의 기계구조설계상의 특징들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간략히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casualty Evacuation characteristics of Primary School with single unit fireproof shutter (일체형방화셔터가 설치된 초등학교 재실자의 피난특성에 관한 연구)

  • Lee, Seung-Chul;Kim, So-Young;Hong, Yi-Pyo;Park, Young-Rok;Kim, Ya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389-39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일체형방화셔터가 설치된 초등학교 재실자의 피난특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 먼저 일체형방화셔터를 포함한 방화셔터 전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 검토하였으며, 초등학교에 설치된 일체형방화셔터 작동 유무에 따른 재실자 피난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화재 모의실험 결과, 일체형방화셔터 미작동시 최종 대피완료 시간은 130초이며,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시 에는 190초가 소요되었다. 또한 일체형방화셔터 작동시 피난대피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이 셔터내의 출입문을 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 한다면 일체형방화셔터 작동시 최종피난완료시간은 상당히 지연되었을 것이며 대다수의 대피자들이 화재위험에 노출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일체형방화셔터 출입문 개폐력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f Digital Broadcast Reciever Set (일체형 디지털 방송수신기개발에 관한 연구)

  • Song, Chai-Jong;Lee, Sek-Ph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0b
    • /
    • pp.213-215
    • /
    • 2005
  • 본 논문의 목표는 일체형 디지털 방송 과 데이터 방송 그리고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일체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 구현과 일체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아날로그 방송과 영상을 입력 받았을때 화질저하의 원인이되는 De-interlace 알고리즘과3-D Noise를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가 목표이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된 컨텐츠를 다른 저장매체로 불법적으로 복사, 재생을 막기 위한 디지털 컨텐츠 복사를 방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고품질 디지털 방송 서비스을 위한 디지털 방송이 시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만을 위한 수신기는 아직 시기상조이며,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근 일체형 수신기가 필요하다. 일체형 수신기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인코딩한 후 화면에 뿌려줄때 Even Field와 Odd Field를 분리하여 뿌려주기 때문에 많은 영상의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스템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SoC로는 Zoran의 G9 Ellete 채택하였고 아날로그 영상의 Decoder로는 AMI의 ADV7401을 선택하였다. 이에 대한 운영체제는 실시간 운영체제인 Thread-X를 선택하였다.

  • PDF

신형원자로로서의 일체형 가압경수로 설계특성 분석

  • 김용완;이두정;장문희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2
    • /
    • pp.269-279
    • /
    • 1995
  • 가압경수로에서 증기발생기와 같은 주기기를 원자로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계한 원자로를 일체형 원자로라고 분류하며, 기존 상용원자로와 같이 모든 주기기가 별도의 압력용기로 설계되어 배관계통에 의해 원자로 외부에 순환회로를 갖는 형태의 원자로를 분리형원자로라고 한다.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한 부류의 신형원자로에서는 원자로 및 계통의 단순성 추구와 계통의 높은 신뢰성으로 안전성 향상을 위해 동력원 사용 등의 능동적 안전개념 보다는 자연현상을 이용하는 피동안전개념이 널리 도입되고 있다. 본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신형원자로의 노형으로서 일체형원자로의 특성을 전통적인 분리형원자로와 비교, 분석, 평가하였다. 일체형원자로의 가장 큰 장점은 모든 주기기가 단일 압력용기 내에 위치하므로 일차계통이 매우 단순하고 대구경 배관이 없기때문에 대형 냉각재 상실사고가 근본적으로 방지되어 안전계통이 매우 단순하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일체형원자로는 대단히 많은 일차냉각재 용량, 매우 큰 가압기 용량및 긴 운전원 조치시간등의 설계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안전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일체형원자로는 모든 주기기가 단일 압력용기 내에 설치되므로 대형 원자로 용기가 요구되며, 원자로 압력용기의 제작성 및 운송 능력이 원자로의 용량을 제한하는 주된 요인이 된다. 일체형원자로의 활용으로 열병합 발전, 지역난방 및 선박용 원자로등의 중소형 원자로에 매우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뛰어난 안전성으로 인하여 사회적 수용성 이 강조되는 상용발전로로서도 적합한 노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