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ren in Residential Care

시설아동의 현황 및 쟁점에 관한 연구

  • 김경희 (국립목포대학교 아동학과) ;
  • 강현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안소영 (국립목포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09.08.24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Almost 18,000 children were protected in 285 residential facilities all over the country in 2008 in Korea. The recent trends of the residential care include downsizing, and emphasizing independent living programs for aging out youths. Since the 1990s when the active research on the children in residential facilities has begun, the study focus has extended to the issues of developmental status and outcomes of the children, and recently, to the independency of the youths discharged from the facilities. The practical and policy issues are development of therapeutic programs for the children in care, increase of counseling staff, extension of programs for restoring children's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ies, and planning of various policies to support the independence of discharged youths.

Keywords

References

  1. 강복정.이정덕(1999). 시설청소년의 가족상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3), 15-26.
  2. 국립보건원(2002). 시설보호아동의 자립지원정책 개선방안 최종보고서. 서울 : 보건건복지부.
  3. 김춘경.김기영(2004). 시설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놀이치료연구, 8(1), 19-35.
  4. 김통원.김경륜.김성천.박은미.이상균(2005). 아동복지시설 발전방안 개발연구 최종보고서. 서울 : 보건복지부.한국아동복지연합회.
  5. 김현용(1994). 요보호 아동을 위한 시설보호의 개선방안. 한국아동복지학, 2, 61-86.
  6. 김현용(1998). 아통복지시설 부문의 개정방향. 한국아동복지학, 7, 95-125.
  7. 김현용(2002). 보호시설아동과 아동복지법. 허남순.문선화.정영순.김현용.김미혜.이배근.조흥식.황성철.김재엽 공저(pp.151-188). 한국의 아동복지법. 서울 : 소화.
  8. 김희연.김형모.김정숙(2007). 아동복지시설 기능다각화 모델 구축 연구. 경기 : 개발 연구원.
  9. 노혜련.장정순(1998). 육아시설 아동의 생활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 65-92.
  10. 문혁준(2006). 시설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 정서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10), 1-8.
  11. 박은선(2004). 아동양육시설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생활 준비를 위한 일반주의 실천 접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실천, 4, 85-112.
  12. 보건복지가족부(2009a). 아동복지시설현황 2009.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13. 보건복지가족부(2009b). 아동.청소년백서 2008.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14. 배태순(1996). 양질의 아동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내 아동복지 영육아시설 운영의 내실화 방안. 아동복지학, 4. 109-134.
  15. 백숙경(2009). 북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보호아동의 정서지능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성미영.이순형.이강이(2001).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초기학교적응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9(1), 53-64.
  17. 손의목(1995). 아동수용보호시설의 서비스 개선방안. 한국아동복지학, 3, 63-83.
  18. 송순(1996). 사회적지원이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내적 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 육아시설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1), 91-108.
  19. 신혜령.김성경.안혜영(2003). 시설 퇴소아동 자립생활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6, 167-193.
  20. 신혜령.박은미.강현아(2008).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고서.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21. 양점도.변미희(2001). 아동복지시설의 양육환경이 아동.청소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3(2), 13-24.
  22. 오정수.이혜원.정익중(2006). 세계의 아동복지서비스 : 미국, 일본, 영국을 중심으로. 서울 : 나눔의 집.
  23. 원지영(2008). 아동복지시스템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 현황과 자립 지원 정책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5(7), 79-107.
  24. 유안진.민하영.권기남(2001). 시설 아동의 자아정체감과 심리, 사회적 적용 :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3), 135-149.
  25. 유안진.한유진.최나야(2001). 문장완성검사를 통한 시설 청소년의 자아 및 환경 지각. 한국아동복지학, 12, 42-76.
  26. 이배근(1993). 아동복지시설의 현황과 문제점. 아동복지학, 1, 46-57.
  27. 이배근(2000). 해체가정과 요보호아동들을 위한 Group Home 모형 개발. 한국아동복지학, 9, 289-312.
  28. 이선화(1999). 시설아동을 위한 음악활동 중심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교육, 8(1), 131-142.
  29. 이순형.이강이.성미영(2001). 시설아동의 가족관계망에 따른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지, 39(4), 79-89.
  30. 이영환(2001). 우리나라 아동복지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용교.이명묵.안경순.정경은.정민기(2006). 아동복지시설 인권평가지표 개발연구. 청소년복지연구, 8(2), 5-24.
  32. 이용환(2003). 아동복지시설 퇴소아동의 취업실태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15개 아동양육시설 퇴소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5, 115-136.
  33. 이선화(1999). 시설아동을 위한 음악활동 중심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교육, 8(1), 131-142.
  34. 이태수.함철호.이용규(1997). 소규모 아동복지시설의 운영실태와 활성화방안. 한국아동복지학, 5, 169-206.
  35. 이현주(1999). 아동시설의 프로그램 운영실태와 관련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8, 59-78
  36. 이혜연.서정아.조흥식.정익중(2007).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실태와 적응과정 연구. 서울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7. 이혜은.최재성(2008). 아동양육시설 퇴소청소년의 경제적 안정성, 거주 안정성,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5(2), 209-233.
  38. 원지영(2008). 아동복지시스템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 현황과 자립 지원 정책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5(7), 79-107.
  39. 정무성(2007). 사회복지시설평가 2007. 서울 : 숭실대학교.
  40. 정선욱(2002). 시설보호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 경험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14, 145-168.
  41. 정영순(2000). 시설보호아동의 가족재결합 촉구방안. 한국아동복지학, 9, 247-262.
  42. 참고사이트 http://www.fostercar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