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ren with Disabilities

장애 아동

  •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박명화 (부산장신대학교 특수교육과) ;
  • 노진형 (부산대학교 영유아보육연구소)
  • Received : 2009.08.22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study examined some stat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levant research and education, and welfare policies undertaken for the last three decades. The changed perceptions regar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led education and legislation to great improvement. As a result, the number of children who are registered as having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ed. Also, children who received any benefits of education and welfare have been consistently risen. The noticeable features of the existing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 An increase in number, a variety of the contents, specification of the topics, and a close connection to the basic studies. In spite of the progression and improvement observed in the areas of education and welfare policy making, more practical approaches are needed in order to reflect various need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Keywords

References

  1. 가현자(1999). 한국의 장애아동복지 서비스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장애인 복지시설의 서비스의 만족도와 필요도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강경희.황정보.이선재.안병주.김청아(2007). 복지권으로서 교육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특수교육연구, 14(2), 123-146.
  3. 강영심(1996). Feuerstein의 중재학습경험(MLE) 수준에 따른 경도장애 아동의 인지능력 향상. 특수교육논집, 13(2), 129-148.
  4. 강창욱.임정미(2003). S-D-S 모형을 적용한 총체적 언어학습법이 읽기 학습부진아동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19(1), 73-99.
  5. 교육과학기술부(2008). 특수교육 연차보고서(2008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특수교육통계.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7. 구신실.박재국.조영석(2009). 뇌성마비유아 가족지원 실태 및 부모의 인식.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52(1), 377-396.
  8. 국립특수교육원(2003). 특수학급 운영 실태 분석 연구(등록번호11-1340458-000017-01). 서울 : 국립특수교육원.
  9. 국립특수교육원 편(2006). 발달장애학생의 중등교육이후 직업교육 : 원광복지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장특수교육, 13(5), 25-28.
  10. 국립특수교육원(2008). 2008 특수교육실태조사(등록번호 11-1341119-000004-01). 서울 : 국립특수교육원.
  11. 권희연.전병운(2009). 학교-가족간 협력에 대한 장애 학생 학부모의 인식.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52(1), 259-286.
  12. 김권섭.류호상.권영우(2007). 정신지체인의 신체훈련이 최대화 훈련시 혈중 면역글로불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8(3), 39-45.
  13. 김기룡(2009). 장애아동 재활치료서비스바우처 사업의 현황과 향후 과제. 월간복지동향, 19-22.
  14. 김남순(2005). 한국 통합교육 평가정책 방향. 지적장애연구, 7, 15-33.
  15. 김미옥.김용득.이선우(2006). 장애와 사회복지, 서울 : 학지사.
  16. 김세실.안동현.이양희(1998).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아동에 대한 약물-부모훈련 병합치료의 효과. 신경정신의학, 37(4), 683-699.
  17. 김양순(2002).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자녀 놀이치료 사례연구 : 발달장애 아동과 형제자매를 중심으로. 놀이치료연구, 5(2), 3-13.
  18. 김영태(2006). 특수교육 정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9. 김윤정(1997). 우리나라 장애인운동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고찰.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김진주(2005). 장애유형에 따른 아동과 교사간의 애착 안정성과 장애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특수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김현순(1985). 자폐아동 치료교육의 이론적 모형. 한국문화연구원논집, 45, 183-212.
  22. 김혜경(2004). 가족지원서비스 운영을 위한 발달지체유아부모의 지원요구조사. 지적장애연구, 6, 77-93.
  23. 남연희(2002). 장애아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신학과 사회, 16, 121-143.
  24. 박국영(2008). 시각 장애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모음집.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5. 박민수(2002). 장애인 복지시설의 만족도에 관한 실증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6. 박선희.이규식(2004). 총체적 언어프로그램이 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연구, 13(2), 143-158.
  27. 박수옥(2002). 상위인지 학습전략훈련이 읽기 지체 아동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8. 박승희(1999).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 실행방안. 특수교육학연구, 34(2), 29-71.
  29. 박용원(2000). 초등학교 통합교육 내 장애아동의 복지 욕구에 관한 연구 : 학교사회복지 제도화 논의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박재우(2002). 웹기반 학습에서 자료제시유형이 경도 정신지체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1. 보건복지부(2003). 보육사업 안내. 서울 : 보건복지부.
  32. 보건복지가족부(2009a). 장애인 현황. http://www.index.go.kr에서 2009년 7월 31일 인출.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33. 보건복지가족부(2009b).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34. 보건복지가족부(2009c). 장애인정책의 변화. www.mw.go.kr에서 2009년 7월 30일 인출.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35. 송영미.조광순(2008). 장애유아 통합교육.보육기관 교사의 역할수행과 갈등. 유아특수교육연구, 8(3), 67-87.
  36. 심미연.염동문(2008). 장애아동 및 장애청소년 가족의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양육비 지출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13(2), 111-135.
  37. 신현석(2008). 장애인 복지론. 서울 : 공동체.
  38. 신혜영(2006). 상위인지학습훈련이 수학 학습장애아의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9. 어용숙.안혜경(2007). 뇌성마비 아동의 부모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49, 99-110.
  40. 여광응.송종원(2005).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상담모형 개발을 위한 특수교사와 학부모 상담욕구 분석. 발달장애학회지, 9(1), 1-16.
  41. 유수옥.임명환(2007). 장애전담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329-345.
  42. 윤점룡(1989). 우리나라 특수교육법 제정에 관한 연구. 전주우석대학교논문집, 14, 251-271.
  43. 이경숙.유윤정.안동현.신의진(1996). ADHD 아동과 외면화 증후를 공존질환으로 갖는 ADHD 아동간의 심리사회적 변인에 관한 비교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7(2), 203-212.
  44. 이나영.박은혜(2001). 장애 중학생의 사회과 통합교육에서의 또래교수 활용. 교육과정평가연구, 4(1), 79-91.
  45. 이민호.이원령.이상복.신윤희.서경희.변찬석.전헌선.김춘희(2005). 웹을 이용한 장애 아동의 사회화 촉진 총괄체계 구축 : Homi.Info 기록체계를 통한 발달장애 아동의 행동 분석과 평가. 정서.행동장애연구, 21(4), 189-212.
  46. 이상훈.최은옥(2000). 총체적 언어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아동의 언어학습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서.학습장애연구, 16(1), 97-115.
  47. 이석진.김삼섭(2004). 한국특수교육 행정조직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연구, 11(2), 5-26.
  48. 이소현(2003). 활동-중심의 통합유치원 교육과정이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37(4), 97-122.
  49. 이숙.이현정(2006). 반응성 애착장애유아에 대한 부모놀이치료 효과. 놀이치료연구, 10(1), 35-48
  50. 이우진.강수균(2004). 애니메이션 활용이 언어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재활과학연구, 22(1), 55-69.
  51. 이정섭.강민희.홍강의(1999). 자폐적 장애 및 발달적 언어장애 환아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뇌량, 시상, 소뇌 및 뇌교에 대한 구조적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38(1), 219-226.
  52. 이종운.나운환.정승원(2006). 지각된 부모의 양육 및 진로지도 태도가 청각장애 학생의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재활과학연구, 45(4), 273-300
  53. 이제화.이상복(2007).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 지원 프로그램 분석 : 1997년에서 2007년까지 국내외 연구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3(4), 29-52.
  54. 이지연(1993). 장애유아의 발달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치료사)와 어머니의 평가차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5. 이혜원(1992). 장애아동의 교육받을 권리에 관한 연구 : 미국과 우리나라의 관련 법령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6. 임수진(2003). 자기교시 전략훈련이 학습장애 아동의 나눗셈 과제 성취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7. 임장현(2004). ICT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활용능력에 관한 연구 : 서울시에 있는 지체부자유 학교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8. 임지향(2008). 미술치료가 뇌성마비아동의 소근육 발달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51(2), 141-155.
  59. 양민옥(2008). ADHD 아동에 대한 통합치료와 약물치료 간의 효과 비교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0. 장관식(1986). 장애아동 어머니가 갖는 문제점과 사회 사업 개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어머니의 양육 태도에서 니타난 문제점 중심으로. 숭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1. 장수경.안성우.백유순(2003). 상급학생 또래교수가 청각장애 학생의 진로교과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38(1), 315-333.
  62. 장미경(2005), 0-3세 영유아 정신건강 및 발달장애 조기진단 척도 제작 연구. 아동학회지, 26(1), 47-59.
  63. 전현숙(2008). 지체부자유학교 ICT 활용 교육의 문제점 및 교사 요구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4. 전혜인.박은혜(1998). 장애아동의 형제를 위한 형제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교육과학연구, 27, 129-144.
  65. 정계숙(1994). 유아교육현장의 특수 요구가 있는 유아를 위한 한 지도 방안 : 활동에 기초한 중재의 적용. 유아교육논집, 4(1), 71-94.
  66. 정계숙.고지민(2001).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따른 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 행동 연구. 유아교육논집, 10(1), 211-237.
  67. 정계숙.구강민(2009).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특성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 간 평정 일치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317-338.
  68. 정계숙.김경숙(2004).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연구 동향과 과제. 유아교육연구, 24(7), 181-204.
  69. 정동렬(2005). 특수교육 정책의 효과 분석 : 발달장애 교육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70. 정민정(2007). 우리나라 장애아동 가족복지 정책의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2(1), 37-59.
  71. 정보인.유은영(2003). 발달장애아 부모를 대상으로 인터넷 재활상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1(1), 19-31.
  72. 정영숙(2002). 장애아동 가족의 빈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22, 279-300.
  73. 정혜윤(2007). 장애아동 가족의 빈곤실태와 복지정책 방안.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4. 조윤주(2008).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8(1), 159-180.
  75. 조추용.오정옥.한성심.이채식(2006). 가족복지론. 서울 : 창지사.
  76. 주혜영(2005). 장애아동 인권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통합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77. 추연구(2007). 정신지체 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가결정 기술에서 자기규칙의 촉진 방안. 발달장애연구, 11(1), 1-21.
  78. 최성규(2008). 소음환경에서 착용한 두 개 마이크로폰 배열 보청기와 세계 마이크로폰 배열 보청기가 청각장애아동의 어음 변별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43(2), 199-215.
  79. 최성희(1997). 장애청소년의 복지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 직업재활 서비스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0. 최은주(2009). 학습장애아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 상호 작용성 설계 전략.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1. 최은영.이은혜.장현정(2007). 지체부자유 아동의 심리적 재활을 위한 미술치료.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49, 261-276.
  82. 최홍식(1998). 보톨리눔독소 주입에 의한 음성장애 및 언어장애의 치료. 음성과학, 3, 5-17.
  8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6). 3단계 장애범주 확대방안 연구(정책보고서 2006-61). 서울 : 국립특수교육원.
  84. 허경하(2002). 장애 영유아에 대한 가족지원 정책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5. 황보명(2003). 형제 참여 언어중재가 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음성과학, 10(3), 65-78.
  86. 황상심.김화수(2008). 다문화환경 조음음운장애아동과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변동 패턴 연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9(4), 329-348.
  87. 황순택.정재홍.조연규.오동렬.김창현.양병환(1999). 성격장애 진단준거 목록의 타당화 연구. 정신건강연구, 18, 167-174.
  88. 황인철(2008). 새 정부의 특수교육 정책과 방향. 현장특수교육, 15(2), 36-39.
  89. Kavale, K. A. (2001). Meta-analysis : A primer. Exceptionality, 9, 177-183. https://doi.org/10.1207/S15327035EX0904_2
  9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2000). Special needs education : Statistics and indic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