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the Number of the Unemployed Using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소지역 추정방법을 이용한 실업자 수 추정 사례연구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With the current sampling scheme, the sampling variance is getting larger in producing smaller regional statistics than the designed area, The larger sample size can make the variance reduced but the efficiency of sample survey lower. The desired confidence level of sampling survey can be obtained using the current sample scheme with the same sample size and administrative data. In this paper, the number of the unemployed of 5 regions in Daejon are estimated using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and the CV values in each estimation method is calculated and compared for their estimation efficiency as empirical study. Jackknife method is proposed to estimate the MSE of synthetic estimator and composite estimator more accurately.

정보화 사회에서는 목표지향적이고 세분화된 통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는 조사체계를 이용하면 추정 분산이 커져 생산된 통계의 정확도가 낮아진다. 표본크기를 늘리면 추정분산을 줄일 수 있으나 비용이나 시간 면에서는 비효율적이다. 현재와 비슷한 규모의 표본조사구 조사와 일반 행정통계를 이용하여 일정 신뢰수준을 갖춘 통계를 생산할 수 있는 소지역 추정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개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지역 추정법을 활용하여 대전광역시의 5개 구별 실업자 수를 추정하고 추정치의 CV 값을 계산하여 추정방법의 효율성을 비교하는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합성추정량과 복합추정량의 MSE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으로 잭나이프 방법을 제안하고 계산방법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