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 주행환경에서 교통안전을 고려한 고속도로 진출입시설 설치간격 평가 방법론: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가속소음 분석을 중심으로

Methodology for Evaluating Freeway Interchange Spacing for High Design Speed based on Traffic Safety: Focused on Analysis of Acceleration Noise using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s

  • 오동욱 ((주)수성엔지니어링 교통부) ;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장명순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투고 : 2009.02.02
  • 심사 : 2009.09.01
  • 발행 : 2009.10.31

초록

우리나라에서도 도로이용자 중심의 패러다임의 전환과 요구수준에 부합할 수 있는 고기능, 초고속환경의 도로건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차세대 도로시장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초고속주행환경의 고속도로 설계기준에 대한 검토 및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시적 시뮬레이터 중의 하나인 VISSIM을 이용하여 초고속 주행환경에 부합하는 고속도로 진 출입시설 적정 배치간격 설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평가방법론을 정립하였다. 진출입시설 최소설치 간격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교통량, 설계속도, 차종비율, 진출입시설 이용 교통량 등을 고려하였다. 이에 따른 설치간격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교통상충,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속소음을 평가지표로 하여 각각의 설계기준에 따른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160kph 수준의 초고속 주행환경에서 교통안전을 고려한 진출입시설 최소설치간격 적정 값은 5km수준으로 평가되었다.

Although an interest in higher design speeds continues to increase to promote more efficient travel on expressways, the current Korean design guidelines do not provide criteria for design values. An arising issue associated with higher design speeds is how to effectively ensure traffic safety under such high speed traffic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safety issue would become more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interchange spacing.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determining freeway interchange spacing under higher speed traffic conditions.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 VISSIM,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interchange spacings on traffic conditions in terms of safety. In this study, the acceleration noise was used as an index to represent the stability of traffic conditions, which is a potential indicator to quantify the level of safety. It was found based on simulation evaluations that 5-km interchange spacing would be a feasible alternative under higher speed traffic conditions (around 160 km/h).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해설 및 지침), 건설교통부
  2. 김상구.심대영.허두완(2007), 신호교차로 영향에 따른 도시고속도로 유출연결로 최소이격거리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79-87
  3. 이의은.이재용(2006), 도시간선도로에서의 인터체인지 성능 비교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51-61
  4. Hassan Yasser, Sayed Tarek A(2006), Ahammed Alauddin M, Effect of Geometry of Entrance Terminals on Freeway Merging Behavior, TRB Annual Meeting, pp.1-14
  5. Gerlough DL, Huber MJ(1976), Traffic Flow Theory,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pp.102-105
  6. Jones T.R., Potts R.B.(1962), The measurement of acceleration noise-a traffic parameter, Oper. Res. 10(6), pp.745-763 https://doi.org/10.1287/opre.10.6.745
  7. Ko Joonho, Guensler Randall, Hunter Michael (2006), Variability in Traffic Flow Quality Experienced by Drivers : Evidence from Instrumented Vehicles, TRB 2006 Annual Meeting, pp.1-9
  8. Kim JinTae, Courage K.G., Washburn S.S., Bonyani G.(2003), A Framework For Investigation Of LOS Criteria And Thresholds On Rural Freeways, TRB 2003 Annual Meeting, pp.239-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