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xamination of Refractive Correction and Heterophoria and Monocular Pupillary Distance on Myopic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aring Glasses in Gwangju City

광주지역 근시안경 착용 초등학생의 굴절상태와 사위 및 단안PD에 대한 조사

  • Received : 2009.10.28
  • Accepted : 2009.12.08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refractive correction and heterophoria and monocular pupillary distance on myopic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aring glasses in Gwangju city. Methods: Subjective refraction and objective refraction were examined after investigating heterophoria and monocular pupillary distance on 145 (290ey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aring myopia-corrected glasses. Results: 1. Anisometropia > 2.00 D was present in 4 children (3%). 2. 9 anisometropia (47%) were present in 19 undercorrected visual acuity boy wearers. and 16 anisometropia (64%) were present in 25 undercorrected visual acuity girl wearers. 3. Among the 67 myopic glasses boy wearers, the distance between optical centers was coincided with the pupillary distance in 30% (Oculus Uterque), and discrepant in 70% (Oculus Uterque). Among the 78 myopic glasses girl wearers, the distance between optical centers was coincided with the pupillary distance in 23% (Oculus Uterque), and discrepant in 77% (Oculus Uterque). The mean optical center distance was longer than the pupillary distance on both boy and girl wearers 4. The result of measured heterophoria revealed 14% for orthophoria, 63% for exophoria, 23% for esophoria at far distance and 10% for orthophoria, 76% for exophoria, 14% for esophoria at near distance. Conclusions: Correct refractive test and monocular pupillary distance must be examined because incorrect refractive test and pupillary distance induce asthenopia and heterophoria.

목적: 광주지역에서 근시안경 착용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착용안경의 굴절상태와 사위 및 단안PD 상태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방법: 근시안경 착용 초등학생 145명(290안)을 대상으로 사위 및 단안PD 검사 후 자각적 타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1. 양안 2.00D이상 굴절성부등시에 해당되는 학생은 4명(3%)으로 나타났다. 2. 남학생 저교정 시력 19명 중 부등시는 9명(47%)이며 여학생 저교정 시력 25명 중 부등시는 16명(64%)으로 나타났다. 3.67명의 근시안경 착용 남학생중 동공중심과 안경의 광학중심점이 일치된 안경은 30%(양안), 동공중심과 광학중심점이 불일치된 안경은 70%(양안)이다. 78명의 근시안경 착용 여학생의 경우 동공중심과 안경의 광학중심점이 일치된 안경은 23%(양안), 동공중심과 광학중심점이 불일치된 안경은 77%(양안), 동공중심거리와 안경의 광학중심점 거리는 남녀 모두 안경의 광학중심점 거리가 더 크게 나타났다. 4. 사위검사결과 원거리에서 정위가 14%, 외사위는 63%, 내사위는 23%이다. 근거리에서 정위가 10%, 외사위는 76%, 내사위는 14%로 나타났다. 결론: 부정확한 굴절 검사와 잘못된 PD로 안경을 착용하면 안정피로 및 사위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굴절검사와 단안PD를 측정하여 안경을 착용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Keywords

References

  1. 성풍주, "안경광학 개정 6판, 대학서림, 서울", pp. 212-213, 307(2008).
  2. 이영달, 이영일, 배선량 "안경의 광학중심과 동공중심 불일치에 의한 유발 프리즘", 대한안과학회지, 30(4):1859-1864(2003).
  3. 김정희, "사위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 굴절이상, 동공중심과 광학중심의 일치에 따른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9(2):361-370(2004).
  4. 두하영, 심상현, 최선미, 장정운, 김현숙, "전북지역 대학생들의 사위에 관한 연구", 대한시과학회지, 9(3):291-299(2007).
  5. Garcia G. E., "Handbook of refraction", 4th ed, Boston/Toronto/London, Little Brown and Co, 1989, pp. 168-212(1989).
  6. Michaels D. D., "Visual optics and refraction", 3rd ed, St. Louis/Toronto/Princeton, The C.V. Mosby Co., pp. 560-575(1985).
  7. 이송은, 진용한, "안경광학중심과 동공중심의 일치에 관한 보고", 대한안과학회지, 40(4):216-219(1999).
  8. 김상균, 성아영, "고등학생 안경착용자의 착용상태에 관한 임상적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9(1), 19-26(2004).
  9. 김정희, 이동희, "사위를 가진 정시안의 안정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안광학회지, 10(1):71-82(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