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Trend of Explosion and Combustion Energy

폭발.연소 에너지의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신창용 (동서대학교 대학원) ;
  • 안명석 (동서대학교 에너지생명/건축토목공학부) ;
  • 조명찬 (동서대학교 에너지생명공학부)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In view of physics, energy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work. The use of natural gas and nuclear power have been increased since 1980s to replace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petroleum. Recently, solar energy, wind power, tidal power, and geothermal energy have been considered as promising alternative energy sources to overcome environmental pollution. However, their energy efficiencies are much lower than those of chemical energies such as nuclear power, explosive, and petroleum gas. In this study,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green energy was reviewed to seek out the way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environmental (alternative) energy. Also, purification, application and development trend of the highly efficient alternative energy sources were investigated.

물리학적 측면에서 에너지의 개념은 일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기존의 석탄 석유등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1980년 이후부터 천연가스 원자력 등의 사용이 증가하였으나 환경오염문제로 태양열 풍력 조력 지열 등 대체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이용효율 측면에서는 원자력 에너지와 화약 가스 등 화학에너지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대체)에너지의 한계점을 뛰어 넘을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그린에너지의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고효율 에너지원에 대한 청정화와 응용 및 개발방향에 대해 검토, 연구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헌서, 하상안, 2009 에너지 환경개론, 형설출판사, 서울, pp. 54, 68
  2. 이상철, 안명석, 2009, 대한화약발파공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서울, pp. 9-18
  3. 김술환, 1995, 화약학 (주)한화 인천
  4. 하백현, 2007, 에너지공학개론 자원 및 응용, 청문각, 서울, pp. 12, 43, 44, 73, 74, 88, 89
  5. 하백현, 2007, 에너지공학개론 자원 및 응용, 청문각, 서울, pp. 12, 43, 44, 73, 74, 88, 89
  6. 부산안실련.경남안실련, 2009, 그린에너지 정책방향에 대한 전문가 심포지엄, 부산, pp. 1-49
  7. James P. Diehold, Townsen and Crew, LLP, 2007,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modular, biomass power generation, pp.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