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roximate Estimating of Plant Construction Duration Using a Standard Schedule Model

초기 사업단계에서 표준공정모델을 이용한 가스 플랜트 공사의 개략적 공사기간 산정

  • 문성우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상천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 권기남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e required level of detail in scheduling depends on the stages in the construction life-cyc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tandardized Schedule Model (SSM) with an aim to facilitate the estimating of construction duration in the planning stage. The SSM modularizes work items; establishes relations between preceding and succeeding activities; and calculates approximate construction duration. The estimated duration of the SSM was compared with the detailed duration from the commercial scheduling tool using actual work activities. The difference showed to be ranged between -3.1% and +15%, which demonstrates that the SSM can be feasibly applied to the approximate estimation of construction duration.

건설사업의 단계별 진행에 따라서 공정 스케줄의 정확도에 대한 요구수준이 달라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사업의 초기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표준공정모델을 제시하여 신속하게 전체 개략공기를 산정하는 체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표준공정모델을 적용하여 작업공정을 모듈화하고, Top-down 식 접근으로 상위레벨에서 공정모듈 간 작업연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신속하게 프로젝트의 공사기간을 산정할 수 있다. 표준공정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각 공정모듈의 작업기간이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가스 플랜트 공정에 대하여 적용시켰다. 그 결과 표준공정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한 개략 공사기간과 공정관리 툴을 사용한 상세 공사기간은 -3.1% 부터 +15.0%까지의 범위에서 차이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는 제시된 표준공정모델이 일정 수준의 신뢰성을 가지는 공정 스케줄 정보를 제공하고, 사업기획과 타당성 분석 등 건설사업의 초기단계에서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양택, 현창택(2000) '국내건설산업의공정-공사비통합모델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12), pp. 145-153
  2. 김정렬, 진경호, 김경주 (2001) '공공 도로건설사업 공정, 원가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1(5), 703-712
  3. 김희정, 김수정, 김재준, 김경래(2001) '공공-공사비통합관리를 위한 현장공사관리체계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6), pp. 113-122
  4. 박찬정, 최인성(2000) '건설시공단계에서의일정-원가의통합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9), pp. 83-90
  5. 우성권, 이종수 (2002) '건설공사 공기 및 공정관리 현황과 문제점', 건설산업동향 2002(10), pp. 2-16
  6. 정순오 (2002) '건설프로젝트 공정관리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경복논총 Vol.6, pp. 161-176
  7. Dzeng, R. J., Wang, W.C., Tsemg, H.P. (2004) 'Module-Based Construction Schedule Administration for Public Infrastructure Agenci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30(1), pp. 5-14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4)130:1(5)
  8. EL-Rayes, K. (2001) 'Objective-Oriented Model for Repetitive Construction Scheduling',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27(3), pp. 199-205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1)127:3(199)
  9.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2000)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Newtown Square, PA, pp. 65-81
  10. Shaked, O., Warszawski, A. (1992) 'CONSHED: Expert System for Scheduling of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18(3), pp. 488-506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2)118:3(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