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Standard Operation System of Emergency Restoration for Railway Accidents

철도사고유형별 임시복구 표준운영체계(안) 개발

  • 박용걸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
  • 성덕룡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
  • 최승룡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한국철도시설공단, 호남지역본부)) ;
  • 서상교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건설공학과)
  • Published : 2009.10.30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to standardize railway accident restoration types as the code and standard operation system for efficient railway accident management. First of all, the damage types of have been carefully analyzed and reclassified. This study suggested the combination of 3 distinct code factors: restoration class, restoration object, and restoration location to standardize them.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procedures to make the standard operation system of emergency restoration, defined the worst case of emergency restoration and the important events. Therefore, the standard operation system of emergency restoration is developed. It shall play a major role as the database system for railway accident management, minimum of damage and rapid control of accident.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이고 신속한 철도사고처리를 위해 임시복구 표준화(code) 및 표준운영체계(안)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철도사고유형을 국내 외 철도사고유형별 피해종류로 재분류하였으며, 이를 관련분야, 복구대상, 사고위치의 3자리 표준화된 코드로 제시하였다. 또한, 임시복구 표준운영체계(안) 수립방법을 정립하고 표준화된 임시복구 유형별 최악의 경우(worst case)와 임시복구절차 수립을 위한 중요항목(event)을 도출하여 임시복구유형별 임시복구 표준운영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표준화(code) 및 표준운영절차는 철도사고 DB관리, 신속한 사고처리 및 피해최소화를 위한 철도사고 비상대응관리체계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철도공사(2007), "철도사고보고 및 조사에 관한 지침."
  2. 국토해양부(2008), "철도하고 및 비상대응 관리체계 구축 연구보고서."
  3. 철도청(2004), "고속철도 사고유형별 대응절차서."
  4. 철도청(2003), "철도사고 분석보고서."
  5. 서울지하철공사(2003), "재난/장애대비 역별 SOP 대피경로 및 조치요령,"
  6. 최승룡(2008), "일반철도 비상사태 유형별 임시복구 표준화 및 표준 운영절차 구축 방안," 한국철도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7. 김준형(2009), "철도사고 비상사태유형별 임시복구 표준화 및 표준운영절차 시스템 개발,"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8. 임광균(2006), "철도사고유형 분류 및 표준화 방안",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왕현주(2007), "도시철도 비상사태유형별 표준운영절차서 구축을 위한 대응 시나리오 설정방안,"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