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ora and Life-form of the Uninhabited Islets, in Jeju-do

제주도 무인도서의 식물상과 생활형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is study was survey a flora and life form spectrum of 11 uninhabited islets, in jeju-do. The vascular plants of each uninhabited islets were summarized as Beomseom 159 taxa, Chagwi-do 136 taxa, Daryeo-do 81 taxa, Hyeongje-do 61 taxa, Jigwi-do 39 taxa, Munseom 147 taxa, Ran-do 58 taxa, Saeseom 65 taxa, Seogeondo 60 taxa, Seopseom 183 taxa and Wa-do 46 taxa. Floristic richness was in order analyzed to be Seogeon-do 28.62, Ran-do 19.24, Daryeo-do 18.53, Wa-do 16.42, Munseom 16.14, Hyeongje-do 14.76, Seopseom 13.32, Beomseom 13.24, Chagwi-do 6.15, Saeseom 5.86 and Jigwi-do 2.51. Life form spectrum was surveyed to H-$D_5$-$R_4$-e; hemieryptophyte(H) 26.8%, not production seeds($D_5$) 54.4%, clonal growth by stolons and struck roots($R_4$) 46.9% and erect form(e) 30.3%. According to the life form spectrum hemieryptophyte dominated high portions, which suggests islet in jeju-do has hemieryptophytic climate and similar to middle parts in Korean Peninsular. However, were noticed by that it has more therophytes. As a result, Partially shows the characteristics change from the temperate climate to the warm temperate climate or a semitropical climate by a climatic change.

Keywords

References

  1. 제주도, 2006, 제주도지, 1, 47-55
  2. http://jejudo.jejusi.go.kr/images/stat/2007spss_02.xls
  3. http://www.seogwipo.go.kr/files/Image/popup/chongmu;statistics/2008/2008_02.xls
  4. 강영제, 송국만, 송관필, 문명옥, 현화자, 임은영, 김문홍, 2006, 제주도 섶섬의 식생,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142-144
  5. 김문홍, 1990, 제주도주변 무인도의 식물상(제주무인도학술조사), 제주문화방송, 39-78
  6. 김문홍, 1991, 제주도 부속 주요 유인도서의 관속식물상(제주유인도학술조사), 제주문화방송, 51-103
  7. 김문홍, 1994, 관속식물상 및 식생('93 자연생태계 지역정밀조사 보고서-서귀포 문섬, 범섬, 숲섬 일대), 환경처, 27-48
  8. 김찬수, 송관필, 문명옥, 강영제, 변광옥, 김문홍, 2005, 제주도 범섬의 식생 식생구조, 한국기상학회지, 7(13), 201-210
  9. 김찬수, 송관필, 문명욱, 송국만, 김진, 이은주, 2005, 제주도 범섬의 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18(2), 285-301
  10. 서귀포시, 2005, 문섬 및 범섬 천연보호구역 육상 생태 환경 학술조사 보고서, 서귀포시, 256pp.
  11. 서귀포시, 2006, 제주도 삼도파초일엽자생지 학술조사 보고서, 서귀포시, 129pp.
  12. 양영환, 2001, 식물상 및 미기록종 보고(제주유인도 조사.가파도학술조사보고서),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103-114
  13. 환경부, 2002, 전국무인도서자연환경조사, 국립환경 연구원, 332pp.
  14. 현화자, 강영제, 송관필, 문명옥, 송국만, 임은영, 김문홍, 2006, 제주도 섶섬의 관속식물상,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145-147
  15. 이영노, 2001,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09pp.
  16.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1688pp.
  17.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하, 향문사, 901pp, 914pp.
  18. Melk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omtraeger, Berlin, Band II
  19. 여천생태연구회, 2005, 현대생태학실험, 교문사, 193-195
  20. Raunkiaer C., 1937, Plant life forms, Charendon press, 104pp.
  21. Numata M., 1970, Illustrated plant ecology (in Japanese), Ashakura Book Co, 33-43
  22. 방광자, 김광두, 강현경, 주진희, 2004, 제주도의 상록양치식물 자생지 환경특정 및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3), 64-72
  23. 김찬수, 고정군, 오장근, 김은미, 2007, 한라산 데이터 북 200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236pp.
  24. 김찬수, 고정군, 문명옥, 송관필, 현화자, 송국만, 김문홍, 2007,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의 식물상과 생활형, 한국환경과학회지, 16(11), 1257-1269 https://doi.org/10.5322/JES.2007.16.11.1257
  25. 임양재, 박기현, 심재국, 1982, 한국에서의 생활형의 지리적 분포, 생활과학연구소논문집, 9, 5-20
  26. 박근영, 모선진, 우종택, 류찬수, 2005, 해수온도가 호남서해안 지방의 기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 추계발표회, 2008, 354-382
  27. 윤성호, 2006, 기후변화와 식생, 한국자생식물보존회, 자생식물, 82, 8-13
  28. 김명현, 오영주, 김창석, 한민수, 이정택, 나영은, 2007, 독도(동도)의 식물상과 식생분포, 한국환경농학회지, 26(1), 85-93 https://doi.org/10.5338/KJEA.2007.26.1.085
  29. 박문수, 조계중, 2007, 여수 연도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6), 468-486
  30. 이중효, 홍성천, 2006, 울릉도 산림식생유형과 생활형 조성, 한국임학회지, 95(3), 282-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