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chaeogenetic Research of Excavated Human Bones from the Ancient Tombs

분묘 유적지 출토 인골에 대한 고고유전학 연구

  • Jee, Sang Hyu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ung, Yong Jae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Seo, Min Seok (Research Planning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지상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
  • 서민석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기획과)
  • Received : 2008.09.12
  • Accepted : 2008.10.10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The paleogenetic analysis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subject of archaeological, anthropological, biological as well as public interest. Recently, scientific research for human skeletal remains was more activated because of increasing awareness of the valuable archaeological information by the ancient DNA analysis. State of preservation of organic remains vary in different soil and burying environmental condition. Almost all available tissue disappear to analysis ancient DNA of bone in acidic soil caused by climate and geological features in Korea. Many preserved human remains excavated in the 'Heogwakmyo'(limelayered tomb of Chosun Dynasty Period) is able to explai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burial conditions and bone survival form the burial method and ceremony. Ancient DNA analysis of excavated human bone form ancient tomb requires to remove contaminants such as microorganism's DNA and soil components that affect authentic results. Particularly, contamination control of contemporary human DNA is major serious problem and should verified by criteria of authenticity. In order to understand migration and culture of ancient population, when possible, ancient DNA studies needs to go abreast both radiocarbon and stable isotope studies because the dietary inferences will suggest ancient subsistence and settlement patterns. Also when the paleogenetic research supported with the arts and humanities research such as physical anthropology and archaeology, more valuable ancient genetic information is providing a unique results about evolutionary and population genetics studies to reconstruct the past.

198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발굴지에서 출토되는 인골 분석에 대한 고고학적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인골의 자연과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출토 인골의 고고유전학 연구가 점차 활성화 되어감에 따라 고대 DNA 연구를 위한 주요 방법 및 기술적 지식의 축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골의 보존 상태는 매장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국내에서 출토되는 인골, 동물 뼈 등과 같은 생물유체의 보존 상태가 좋지 못한 주요 원인은 우리나라의 토성(土性) 및 기후적인 특성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회곽묘(灰槨墓)에서는 대체로 보존 상태가 좋은 인골이 출토되고 있는데, 이는 회곽의 구조적 화학적 특성에서 기인된 것이다. 이것은 묘제(墓制)와 장법(葬法)이 피장자(埋葬者)의 매장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인골이 잘 보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인골의 미생물에 의한 오염, 물리 화학적 손상 등 다양한 원인은 고대 DNA 분석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DNA 분석법이 요구된다. 특히, 고대 DNA가 사람 DNA에 의하여 오염되지 않았음을 증명하기 위한 실험 절차가 체계적으로 검증되어야만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우리나라 고대 인류의 이동과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고대 DNA 분석과 더불어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인골의 골화학 분석 등 인골에 대한 자연과학적 분석이 종합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더불어 출토 인골의 고고유전학 연구는 형질인류학, 고고학과 같은 인문사회학적 연구와 동시에 수행될 때 가장 좋은 양질의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학제 간 연구는 더욱더 활성화 되어야 한다. 본고는 출토 인골 연구의 학문적 가치와 종합연구의 필요성을 자연과학적 연구의 입장에서 강조하였다. 또한 출토 인골의 DNA 연구 방법과 그 결과를 예로 소개함으로써 고고유전학 연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문화재연구소

Cited by

  1. 조선시대 구리 갈매유적 회곽묘의 조성 및 강도분석 vol.50, pp.2, 2008, https://doi.org/10.22755/kjchs.2017.5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