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imcho of Wooden Pagodas in Baekjae

백제의 심초 및 사리봉안

  • Jung, Ja Young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08.08.25
  • Accepted : 2008.10.10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excavation studies of wood pagodas from the Three Kingdoms and Unified Shilla periods and new data related to wood pagoda erection are being found bringing about progress in research on this field. In other words, studies on wooden pagodas in Korea were composed mainly of flat, axis construction techniques and sarijangeomgu, but by acquiring new data, it has now become possible to study not only the stylobate construction procedure and transition, but also studies on restoring wooden pagodas. Furthermore, pagoda sites similar to this were found in China and Japan as well, making it possible to make comparative studies among ancient wooden pagodas possible. In this paper, the main remains were set as Baekjae wooden pagodas, which we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and among the wooden pagodas, the simcho (central base stone) and sarira housing locations. In result, simcho can be found changing its position from underground ${\rightarrow}$ halfway underground ${\rightarrow}$ above ground. Baekjae wooden pagodas up until the mid sixth century located at Neungsan-ri saji (AD 567) and Wangheungsaji (AD 577) had its simcho located underground and later it was constructed halfway underground and then above ground.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7th century, it became customary to place above ground as seen in the Jaeseoksaji (AD639) and Hwangnyongsaji (AD645) wooden pagoda sites. The sarira was usually located on the south side of the simcho, but gradually changed to the center. In particular, sarira were combined in the simcho in the mid sixth century at the Wangheungsaji. This is approximately 11 years earlier than the Bijosa (AD 588) simcho found in Japan and this was not found even in the simcho of wooden pagodas in Yeongnyeongsa (AD 516) and Jopaengseong temple (AD 535~561) of China showing that the Wangheungsaji simcho was the earliest of its kind.

최근 들어 삼국~통일신라시대 목탑지 발굴조사가 증가되고 목탑 조영과 관련된 자료들이 새롭게 확인되어 이 분야의 연구 진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즉, 지금까지 우리나라 목탑 연구는 평면형태, 축기부 축조기법, 사리장엄구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러한 신자료의 확보를 통해 기단 구축과정 및 변천과정 더 나아가 목탑 복원 등의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중국과 일본 등지에서도 동일한 맥락을 보이는 탑지가 조사되어 한 중 일 고대 목탑 비교 연구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삼국시대 중 가장 많은 목탑이 조사 된 백제 목탑을 주요 대상유적으로 삼았으며, 목탑 가운데 심초와 사리기 봉안 장소에 대해 중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심초는 지하 ${\rightarrow}$ 반지하 ${\rightarrow}$ 지상으로 그 위치가 점차 변해가는 양상이 파악되었는데, 백제 목탑은 군수리사지, 능산리사지(A.D. 567), 왕흥사지(A.D. 577) 목탑 조영시 기인 6세기 중반까지 심초가 지하에 안치되다가 이후 반지하식, 지상식으로 구축된 것으로 판단되며, 제석사지(A.D. 639)나 황룡사지(A.D. 645) 목탑 조영시기인 7세기 전반기에 지상식으로 고착화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사리기는 초창기에 심초 이외의 장소에 봉안되다가 점차 심초 내부인 사리공에 안치되는데, 사리공 안치 위치도 심초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던 것이 점차 중심부로 옮겨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이 가운데 왕흥사지 축조 시기인 6세기 중반에 가서야 심초에 사리공이 결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일본에서 확인된 비조사(飛鳥寺 A.D. 588) 심초 보다 약 11년 정도 앞서는 것이며 중국에서 조사된 영녕사(永寧寺 A.D. 516)나 조팽성 불사(趙彭城 佛寺 A.D. 535~561) 목탑 심초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어 왕흥사지 심초가 이런 유형으로는 현재까지 가장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