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ting Improvement and Contribution to Greenspace Function by Use of Roadside Buffer Greens;In the Case of Songpadearo and Nambusunwhanno in Songpa-gu, Seoul

도심 도로변 완충녹지의 주변 토지이용을 고려한 녹지기능 재설정 및 식재방안;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 남부순환로틀 대상으로

  • Kim, Yeong-Yong (Landscape Office Seoul Metropolitan) ;
  • Lee, Kyong-J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Choi, Ji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Han, Bong-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viersity of Seoul)
  • 김영용 (서울시 녹지관리사업소)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최진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reconstruction of buffer greens which were installed to reduce environmental effects on roadsides constructed in the 1980s, in order to supplement various urban green functions. The subjects were buffer greens installed along the Songpadaero and Nambusunwhanro in Songpa-gu. Planting was suggesting to strengthen the buffer, landscape, shading and ecological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buffer green surroundings. The surroundings of the green axis subjects are high-rise apartment areas, neighboring commercial areas, commercial working areas, transportation facility areas, urban support facility areas, schools, parks, etc.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buffer greens were uniformed with Plantanus occidentalis and Ginkgo biloba and Zelkova serrata in the canopy layer and with Forsythia koreana and Ligustrum obtusifoliumin the shrub layer in lineal or alternate order, functioning only as buffer space. Therefore, the buffer greens need to be reconstructed, supplementing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land use, in order to improve the pedestrian walk area in terms of landscape and use of greens. In line with that, the planting improvement plans according to the land use patterns, and physical and ecological structure were classified into buffer and landscape, landscape and buffer, buffer and shading, and buffer and ecological function. In addition, improving planting function, species and facilities are suggested.

본 연구는 1980년대 도심 도로변 환경 영향 저감 기능 목적으로 조성된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다양한 도시녹지 기능 보완을 위한 완충녹지 재정비 방안 연구이다. 사례 대상지는 서울시 송파구내 송파대로와 남부순환로 도로변에 조성된 완충녹지이다. 완충녹지 주변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완충녹지 기능을 재설정한 후 완충, 경관개선, 녹음기회 제공, 생태적 기능성 등을 강화할 수 있는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송파구 녹지체계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송파대로, 남부순환로 주변 완충녹지 주변에는 고층아파트지역, 연립빌라지역, 근린상업지역, 상업업무지역, 교통시설지역, 도시부양시설지역, 학교 등 다양한 토지이용이 분포하였다. 그러나 완충녹지의 식재기능은 대부분 교목층에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 등이 교호식재되었고, 관목층에 개나리, 쥐똥나무 등을 열식하여 완충기능 일변도의 획일화된 패턴이었다. 현재 녹지의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채 대부분 차량 영향 저감 기능 일변도의 획일적인 식재기능 및 식재양식으로 조성되어 있었다. 이에 보도를 중심으로 보행자의 보행환경과 경관개선 요구가 증대되고 완충녹지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를 고려하여 차량 영향 저감 기능뿐만 아니라 주변 토지이용에 따라 다양한 도시녹지로서의 기능을 충족할 수 있도록 완충녹지의 재정비 방안이 필요하였다. 송파구 도심 내 완충녹지 주변 토지이용과의 관계성과 완충녹지의 물리적 . 생태적 구조를 고려하여 완충기능뿐만 아니라 도시녹지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완충+경관기능, 경관+완충기능, 완충+녹음 기능 완충+생태기능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다각적인 완충녹지 기능에 부합하는 식재기능, 식재종류, 식재양식, 시설물 등의 식재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완(1999) 서울 양재 시민의 숲 배식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봉일, 이준영, 신동인(1992) 도시계획. 기문당
  3. 김종엽(1999) 자연식생구조를 고려한 완충녹지 배식 모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태선(2003) 도시주거지역 완충녹지의 대기오염 저감효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달곤, 김용식(1995) 식생에 의한 소음 감쇄 효과. 한국조경학회지 23(2): 205-212
  6. 박은영, 유병림(2004) 환경친화적 완충녹지의 기준 설정. 한국조경학회지 103(2): 25-35
  7. 서울특별시(2000) 서울특별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1차년도). 서울시 보고서
  8. 송근준(1990) 조경식재 설계론. 한국조경학회
  9. 유인표(1999) 아파트단지 완충녹지 개선방향 연구 -서울 수서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경재(2005) 우리나라 신도시 대규모 완충녹지 조성 문제점 및 대책. 국회정책자료집
  11. 장정찬(1986) 소음완화를 위한 도로변 완충녹지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조현길, 안길원(2001) 도시생태계 수목의 대기정화 역할. 한국조경학회지 29(3): 38-45
  13. 한국조경학회(2006) 조경식재설계론. 문운당
  14. 환경부(2003) 환경친화적 완충녹지 기준설정 및 조성기법 개발. 환경부 보고
  15. 中島宏(2004) 綠化.植栽マニュアル -計劃.設計から施工.管理まで-. (財)經濟調査會, 東京都
  16. Pohl W., H. D. Schulze and M. Grobmann(1984) Gutachten: Werte fur die Landschaftplanung - Grunvolumenzahl und Bodenfunktionzahl. Schriftenreihe der Umweltbehorde Hambu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