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기능

Search Result 1,09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Restoration Method of Waterside Ecosystem by Mattress/Filter (Mattress/Filter를 이용한 수질개선 및 수변생태계 복원기법)

  • Ko, Jinseok;Park, Kibum;Lee, Seungyun;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90-13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하천구조물에서 자연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생물과 공생을 목표로 한 다양한 접목시도를 통해서 Mattress/Filter시스템을 이용한 하천 본래의 기능인 환경생태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생태기능이 저하된 하천의 생태계 질을 향상시켜 건전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키는 Mattress/Filter의 수질개선시스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수변생태계 복원을 고려한 Mattress 시스템의 설계는 주위의 경관과 조화를 배려하여 도입을 결정하고, 법면구배 변화점의 모서리가 완만하도록 Mattress의 배치 및 크기를 결정하여 식생에 의한 피복이 가능토록 설계해야 한다. 이 치수 기능을 유지하면서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대안으로 생태복원구조물인 친환경 Mattress/Filter 의한 수질개선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존하천에 초본식물들이 식생됨으로써 수질이 개선되어 하천 본래의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늪지 조성, 하천의 친수성 확보, 수변식물에 의한 동식물의 서식처 제공 및 수변경관이 보전된 식생 수변공간에 조성에 필요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Functional and Ecological Features of Seoul Forest (서울숲의 기능과 도시림으로서의 생태적 요소 분석)

  • Kong, In-Gyu;Oh, Hyun-Suk;Lee, Hee-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30-83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도심공원이 증가하고 환경의 생태적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생태공원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국가에서도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생태공원이 점차 확대되어감에 따라 도시림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서울숲의 기능과 생태적요소를 알아보고 향후 도시림의 설치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 도시림의 문제점을 도출해 낸 후 서울숲의 기능과 생태적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국내의 도시림이 가져야할 기능과 요소들을 파악해 향후 도시림에 그러한 기능과 요소를 도입시켜 국내 도시림이 더욱 생태적인 공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seasonal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at Han River tributary vulnerability points (한강 지류 취약지점에서의 계절별 환경생태유량 분석)

  • Yeon jung Noh;Seong joon Kim;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6-146
    • /
    • 2023
  • 우리나라의 하천은 도시의 급격한 산업화와 공업화로 인해 이수, 치수 목적을 중심으로 관리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의 가속화와 댐과 같은 인공 구조물로 인해 하천의 수질 및 흐름이 위협받으면서 하천 환경개선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하천의 생태기능은 하천에서 살아가는 각종 생물의 서식 조건을 유지함으로써 하천이 환경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하천 환경개선을 위해서는 하천 생태기능 유지를 위한 최적 유량을 확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기능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최적 유량에 대한 평가에는 USGS(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 개발한 어류에 대한 유량과 서식지 가용성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물리적 서식처 모형 (Pysical HABitat SIMulation, PHABSI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HABSIM은 가중가용면적(Weighted Useable Area, WUA)과 유량의 관계곡선을 산출하여 생태유량을 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어류 건강성 평가에서 낮은 등급을 받은 탄천 대왕교 지점을 대상으로 PHABSIM을 이용한 어류의 계절별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했다. 연구에 사용된 유량자료는 2012부터 2021년까지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탄천의 대표 어종으로는 각 하천에서 우점종으로 선정된 Zacco platypus가 사용되었다. 각 연도별 그리고 계절별 하천 유량의 변화에 따른 환경생태유량 분석을 통해 제시된 각 하천의 최적 환경유지유량에 대한 결과는 한강권역 환경생태유량 산정 및 하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f Ecological Flow Assesment for Environmental Development in Natural River (자연형하천의 환경개선을 위한 생태유량산정 연구)

  • Hahm, Chang-Hahk;Kim, Gee-H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1
    • /
    • pp.47-53
    • /
    • 2010
  • The correct river discharge is a important item to keep a river role of using, controlling and ecology. Especially river role of ecology is very important for environmental development of river. In assesment of ecological flow, exact information of river life and topograph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the assesment of environmental flow is conducted using geo-spatial data of basin and river. The geo-spatial data is used as a important basic data in river restoration.

Evalu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Yield Service based on Precipitation and Population (강수량 및 인구인자를 반영한 수원함양서비스의 공간분포 평가)

  • CHO, Heun-Woo;SONG, Chol-Ho;JEON, Seong-Woo;KIM, Joon-Soon;LEE, Woo-K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3
    • /
    • pp.1-15
    • /
    • 2016
  • The study of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from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MA) and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TEEB). However, current assessments are limited to monetary assessments of ecosystem function and do not account for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socioeconomic status. This study proposes methods to evaluate ecosystem service based on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factors. The study assesses water yield function through the water yield model in InVEST Tool, and evaluates the overall ecosystem service of water yield as reflected by the amount of precipitation and population of the area. Results show that a difference exists between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ecosystem function of water yield derived from natural conditions such as land cover and soil,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cosystem service that accounts for climate and socioeconomic factors.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 increases for an area of higher population and lower precipitation with similar water yield. Thus, the ecosystem service of water yield should be evaluated not only by the water yield function, but also by climate and socioeconomic factors. The evaluation process described for this study should also be applicable to the evaluation of ecological services in other sectors.

The Current Status of Ecosystem Diversity in Korean and Conservation Strategy (우리 나라 생태계 다양성 현황과 보전전략)

  • Lee, Sang-Don;Jung, Eung 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1 no.4
    • /
    • pp.259-269
    • /
    • 2002
  • 보전전략은 규모가 큰 지역을 설정하여야 하는 데 그 이유는 광역보전지역은 다양한 생물지리학적인 분포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보고서는 우리 나라의 다섯 개의 중요한 생태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다섯 개의 생태계는 산림생태계, 담수생태계, 연안 및 해양 생태계와 도서생태계 그리고 비무장지대생태계이다. 각각의 생태계 보전전략에 대해 물리적인 측면과 생물지리적 측면에서 기술되었으며 생태계 보전방안은 생태계의 기능과 가치뿐만 아니라 자연시스템을 유지하고 복원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생태계 보전을 위해 1) 지역주민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2) 연구와 교육 및 홍보의 기능을 강화하며, 3) 지역정보와 기술을 상호 교환하고, 4) 국제협력 증진을 도모, 5) 보전지역을 조성하기 위한 예산확보를 제안하였다.

Planting Improvement and Contribution to Greenspace Function by Use of Roadside Buffer Greens;In the Case of Songpadearo and Nambusunwhanno in Songpa-gu, Seoul (도심 도로변 완충녹지의 주변 토지이용을 고려한 녹지기능 재설정 및 식재방안;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 남부순환로틀 대상으로)

  • Kim, Yeong-Yong;Lee, Kyong-Jae;Choi, Jin-Woo;Han, Bong-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3
    • /
    • pp.39-51
    • /
    • 2008
  • This study focuses on the reconstruction of buffer greens which were installed to reduce environmental effects on roadsides constructed in the 1980s, in order to supplement various urban green functions. The subjects were buffer greens installed along the Songpadaero and Nambusunwhanro in Songpa-gu. Planting was suggesting to strengthen the buffer, landscape, shading and ecological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buffer green surroundings. The surroundings of the green axis subjects are high-rise apartment areas, neighboring commercial areas, commercial working areas, transportation facility areas, urban support facility areas, schools, parks, etc.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buffer greens were uniformed with Plantanus occidentalis and Ginkgo biloba and Zelkova serrata in the canopy layer and with Forsythia koreana and Ligustrum obtusifoliumin the shrub layer in lineal or alternate order, functioning only as buffer space. Therefore, the buffer greens need to be reconstructed, supplementing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land use, in order to improve the pedestrian walk area in terms of landscape and use of greens. In line with that, the planting improvement plans according to the land use patterns, and physical and ecological structure were classified into buffer and landscape, landscape and buffer, buffer and shading, and buffer and ecological function. In addition, improving planting function, species and facilities are suggested.

스마트 미디어 생태계

  • Kim, Do-H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0
    • /
    • pp.3-8
    • /
    • 2012
  • 본고에서는 스마트폰과 스마트TV 등과 같은 커넥티드 디바이스(connected device)에 관한 ICT 생태계(이하 '스마트 미디어 생태계')에 대해 알아본다. 스마트 미디어 생태계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가치가 창출되는 생태계라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양면시장(two-sided market)에서 관찰되는 직/간접적 네트워크 외부성(direct and indirect network externality)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단일 기능요소보다는 여러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기능요소들의 복합체인 플랫폼 연합체(platform coalition)로 출발한다. 이에 따라 생태계 초기에는 생태계 간 경쟁과 더불어 생태계 내에서 메타 플랫폼(meta platform)의 지위를 획득하려는 지배구조 경쟁도 전개된다. 스마트 미디어 생태계의 특성과 진화과정 및 운영원리에 대한 이해는 생태계 참여자들의 전략과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Securing the Ecological Flow of Gam River through Basin Water Budget Analysis and Optimum Dam Operation (유역 물수지 분석과 댐 운영을 통한 감천의 생태유량 확보방안 연구)

  • Young-Jun Kim;Sang-Hyeok Park;Seo-Yeon Park;Joo-He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37-237
    • /
    • 2023
  • 하천에 흐르는 유량을 활용하기 위한 인간의 요구는 끊임없이 증대되고 있으며, 댐 건설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건설은 인간의 수자원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증가시켜주었으나 본래 자연하천이 갖는 생태적 기능을 상실하게 만들고 다양한 생태 및 환경적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특히 유황의 변화는 수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커다란 변화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이·치수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살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하천 조성을 위해 적정량의 생태유량 산정 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유역은 댐 건설로 인해 유황변화가 발생하며, 하천유지유량이 고시된 낙동강 지류하천인 감천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감천의 생태계에 필요한 생태유량 확보 방안 마련을 위해서 1) 생태계 필요유량의 산정, 2) 유역 물수지모형 구축, 3) 적정 생태유량의 공급 및 확보방안 시나리오 마련의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생태유량 산정을 위해 수문학적 방법과 서식처 모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수문학적 방법은 Tennant, Aquatic Base Flow (ABF) 및 Smakthin 방법으로 생태유량을 산정하였고, 서식처 모의 방법으로는 서식처 모의 모델 중 2차원 수리해석이 가능한 River 2D를 활용하여 대상어종의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두 번째, 유역 물수지 분석을 위해 K-WEAP 모델을 활용하여 감천유역의 물수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김천부항댐의 방류량과 감천유역 하류에 위치한 구미시(선주교)의 유량과 비교를 통해 물수지 모델 결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여덟 가지 생태유량 공급 시나리오를 감천유역의 물수지 모형에 적용하여 생태유량의 확보 방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생태계의 건강성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생태유량을 다양한 학술적 방법으로 산정하여 연구 대상하천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향후 생태유량을 보다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산정된 생태유량을 확보하기 위한 물수지모델의 적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하천 및 유역의 수자원관리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