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f Estimating Units of Deconstruction Waste by Each Parts for the Apartment

공동주택의 분별해체를 위한 부위별 원단위 산정사례연구

  • 김창학 (진주산업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경희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 Received : 2007.07.19
  • Accepted : 2007.12.10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Hereafter, the domestic housing industry has to give consequence to the redevelopment and rebuilding of existing housings rather than the supply by developing a new building site, and now those tendencies are rapidly spreading out. Also, because apartment buildings occupies 50% over of the existing housing, its maintenance, repair, remodeling and reconstruction got to be necessary area for the slumming prevention of a residential area and the disaster prevention occurred by durability lowering of the building. Accordingly, C&D waste is rising largely by reason of demolition works in city is increasing. The right management of C&D waste is being one of very important things,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stimate correctly C&D waste. In this study is to suggest standard units of C&D waste which can estimate demolition quantity of apartment. This units can estimate easily and correctly C&D waste in demolition works, also can possible use very important material to carry out policy of national waste management.

향후 국내의 주택건설 산업은 신규 택지개발에 의한 주택공급 방식보다는 기존 주택의 재개발 및 재건축에 더 큰 비중을 둘 수밖에 없으며, 현재 그러한 추세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또한 재고주택 중 공동주택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유지보수, 리모델링 및 재건축은 주거지의 슬럼화 방지, 건물성능 저하에 따른 재난방지 등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분야가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재개발 재건축 등의 활성화로 인하여 도심지 해체공사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이 대폭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폐기물의 적정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 되어 가고 있으나, 발생 폐기물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해체물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원단위 산정 기준을 제시한다. 이것은 해체공사시 발생 가능한 건설폐기물을 손쉽고 정확히 예측할 수 있으며, 이것은 국가 폐기물 정책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2005) 주택수요조사연구(중간심의자료)
  2. 건설교통부(1995) 건설현장 쓰레기 관리기법 개발
  3. 건설교통부(2002.1) 건설폐기물 리사이클의 품질기준 및 촉진방안
  4. 건설교통부(2004) 공동주택 철거잔재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해체 기술 및 시스템 개발, 건설핵심기술 연구개발 최종보고서
  5. 대한주택공사(1996) 구조물의 해체공법에 관한 연구(1)
  6. 대한주택공사(2005) 주택통계연람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5) 건축물폐재류의 적정처리 및 재활용방안
  8. 지바현(1986) 산업폐기물 감량화 재자원 추진 사업보고서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0) 부천상동지구 발생폐기물 재활용처리 방 안에 관한 연구
  10. 한국건설산업연구원(2002) 21세기 건설환경 변화와 중장기 건설 투자 전망
  1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4) 건설폐기물분리배출 및 발생원단위 산정 등에 관한 연구
  12. 환경부(2005) 폐기물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