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류제 건설 후 남대천 하구의 해안선 생성 및 변화

Evolution and Changes of Coastal Topography due to Jetty Construction at Namdae River Mouth

  • 김인호 (강원대학교 건설공학부) ;
  • 이성대 (한라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08.01.23
  • 심사 : 2008.04.03
  • 발행 : 2008.05.31

초록

최근 해안환경적 측면 뿐 만 아니라 사용자의 측면에서 도류제나 방파제와 같은 연안구조물에 의하지 않고 연안에서의 해빈을 보존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연안에서의 표사문제의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연안에서의 표사 뿐만 아니라 배후지의 하천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사량을 포함한 종합적인 토사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연안해역으로 유출되는 하천 유사와 이송, 하구에서의 사주발생과 발달 그리고 하구폐색과 연안으로 유출된 유사의 효율적인 저류문제와 홍수시 외해로 유출되는 유사의 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최근 강릉 남대천 하구에는 하구폐색과 하구사주의 발생에 따른 대책으로 2005년에 총연장 260 m의 도류제를 건설하였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류제 건설에 따른 남대천하구에서의 토사이동특성 및 해저지형 변동과 표사이동을 해석하기 위한 다양한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남대천 하구역에서 유출되는 유사량을 혼합입경의 관점을 가정하여 1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하천에서 유출된 유사의 이동특성과 하구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하천류의 유동특성과 바람장에 의한 취송류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파동장, 해빈류 및 해저지형변동을 수립하여 본 남대천 하구인근에서의 표사이동 특성을 해석하였다.

Recently, in the light of environments and utilization, countermeasures to preserve beaches in coastal area are required without depending on such as jetties and breakwater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sand management including not only coastal sediment but also sediment discharge from hinterland rivers is increased so as to establish long-term counterplan for sediment transport.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subjects are examined in this study; efficient ways for discharged sand to be transported from a river to the neighboring coast, the river terrace occurrence and its growth at the river delta, measures to improve storage efficiency of the discharged sand and measures to prevent the sand resource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deep sea during flooding. In recent, A jetty of 260 m length was constructed at Namdae River mouth in the year of 2005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occurrence of sand-bar at river mouth and its close. In this study, a series of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and morphological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jetty at the entrance of Namdae River mouth. Firstly, The sand discharge from Namdae River is quantified by on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ssuming the mixed sand of three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Th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port behavior of the sand discharge from river and river mouth phenomena the numerical experiments were then conducted to examine the flow behaviors of river efflux and wind generated circulations in coastal area. And, after establishing the numerical model system, which predicts the sea bed changes obtained from the flux model combining with the wave propagation, wave-induced currents and sediment transport models, the sediment transport in the vicinity of Namdae River mouth is analyz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인호, 이정렬(2004) 동해 안목항 주변 연안 토사이동.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6권 제2호, pp. 108-119
  2. 윤재옥(2004) 우리나라 연안침식현황과 대처방안에 대한 제언. 방재연구, 제6권 제3호, pp. 25-37
  3. 이성대(2006) 육상지형을 고려한 연안해역에서의 중규모 기상장 과 취송류에 관한 수치해석. 한국해양공학회지, 한국해양공학 회. 제20권 제5호, pp. 23-29
  4. 정승진, 김규한, 편종근(2003) 남항진 해안의 장기해안선 변화조 사 및 정확도 평가. 2003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 한토목학회. pp. 4976-4981
  5. 芦田和男, 道上正規(1972) 移動河床流れの抵抗と掃流砂量に關す る基礎的硏究. 土木學會論文集, 제206호, pp. 59-69
  6. Bailard, J.A. (1981) An Energetics Total Load Sediment transport Model for a Plane Sloping Beach. J. Geophysical Research, Vol 86, No. C11, pp. 10938-10954 https://doi.org/10.1029/JC086iC11p10938
  7. Itakura, T. and Kishi, T. (1980) Open channel flow with suspended sediments. Journal of Hydraulic Division, ASCE, Vol. 106, No. 8, pp. 1325-1343
  8. Koutitas, C. and Koutitas, M. (1986)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mathematical model for wind-generated circulation in coastal areas. Coastal Engineering, Vol. 10, pp. 127-138 https://doi.org/10.1016/0378-3839(86)90013-X
  9. Leendertse, J.J. (1970) A water-quality simulation model for well mixed estuaries and coastal seas: Principles of computation. Report RM-6230-RC, Rand Corporation, Santa Monica, CA
  10. Wongsa, S. and Shimizu, Y. (2001) Modelling pre-channelization and their impact on flood and sediment yield in Ishikari river basin. Ann. J. of Hydraulic Eng., Vol. 47, pp. 223-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