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류제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experimental study of control drift sand due to jetty in small river estuary (도류제 설치로 인한 사빈의 지형변동에 관한 연구)

  • Park, Sang-Kil;Yoon, Jong-Su;Kim, Byung-Dal;Kim, Do-Hoon;Lee, Si-Ho;Ji, 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24-528
    • /
    • 2008
  • 도류제 완성 후에 대한 100년 빈도 홍수시의 흐름(유향과 유속)을 기초로 하여 수치모형실험 결과의 일례를 그림에 나타내었다. 초록에는 오염물질 확산 수치모형실험결과를 시간별로 나타내지안했지만, 오염물질 확산에 대한 수치모형실험의 일반적인 결과를 평가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흐름은 임랑해수욕장 방향으로 형성되고 청정지역인 방향에서는 남측도류제 설치전보다 복잡한 와류가 형성되어 청정지역 방향으로의 흐름은 미약하다. 모델하천의 빈도별 유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큰 변화는 없고, 흐름은 모델하천 하구부 전면해역의 외해 방향으로 형성되며 빈도에 따른 흐름방향의 변화는 거의 없다. 보존성 오염물물 확산 계산 결과를 보면 평수시의 오염물질 영향범위는 양안에 도류제가 완성됨으로 인해 확산이 차단되어 도류제 내부의 오염물의 농도가 가중되고 도류제 전면해역으로의 오염물질의 확산범위가 확대됨을 알 수 있다. 모델하천의 빈도별 유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물질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 초기유출(3시간)에는 도류제 전면해역의 외해 방향으로의 오염물질 확산이 가속화 되며, 확산범위도 점차 확대된다. 오염물질의 농도가 감소하여 모델하천으로 부터의 오염물질 배출이 감소할 경우(15-24시간)는 오염물질 농도가 점차적으로 저감되며 청정지역으로 확산이 지연됨을 알 수 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nge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by the Training Wall (합류부에 도류제 설치에 따른 흐름 개선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Gye-Woon;Chae, Sin-Ae;Chang, Yun-Gyu;Hwang, Yo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61-564
    • /
    • 2010
  • 하천의 본류와 1개 이상의 지류가 만나는 합류부에서는 본류 흐름과 지류 흐름이 충돌함에 따른 흐름 정체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로 인하여 태풍이나 집중호우 시 유속저하와 수위증가로 통수능이 크게 저감되어 홍수피해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도류제는 흐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흐름방향을 조정해주는 인공구조물로서 수제의 한 종류이며, 합류부에서의 흐름 정체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도류제의 적용이 주로 해안의 사빈방지 등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천의 합류부에서의 적용사례를 찾아 보기는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합류구간을 지닌 자연형 사행하천을 대상으로 한 수리모형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도류제의 합류부의 흐름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의 조건은 도류제 설치 전 후, 도류제 길이 변화에 따라 구성되었으며, 실험결과 도류제의 설치는 본류흐름, 지류흐름, 합류 후 흐름의 수위, 유속, 흐름방향 등의 흐름 특성을 변화시켰다. 특히, 실험조건에 따라 하도의 통수능 증대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도류제 설치길이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하천 합류부에 도류제 등의 홍수저감시설을 적용할 시 합류부의 수위 및 유속 등의 수리특성 변화를 예측함으로 합류부 흐름개선을 위한 하천개수계획 등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금강하구의 퇴적환경변화

  • 서승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0a
    • /
    • pp.77-80
    • /
    • 1997
  • 서해연안 중에서 근년에 공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곳이 금강하구일 것이다. 금강하구는 하구둑의 수문이 닫히기 전까지 금강으로부터 유사 공급으로 퇴적환경이 지배적이어 군산항으로 입출항하는 선박의 주운 수심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준설을 실시해야만 했었다. 그러나 1994년 8월의 금강하구둑 수문의 닫음과 하구에 축조중인 북측도류제 및 남측도류제와 군장국가공단 조성사업 군산지구 개발에 따른 호안 축조 및 새만금 4호방조제 건설 등의 영향으로 금강하구 일대해역의 흐름이 급격히 변화되었고 이로 인한 퇴적환경의 변화가 불가피한 해역이다. (중략)

  • PDF

Evaluating changing trends for water depth of Geum River Estuary using GIS (GIS를 이용한 금강하구의 수심변화추세 분석)

  • Lee, Hyun-Hee;Um, Jung-Sup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57-164
    • /
    • 2005
  • 본 연구는 해양환경을 파악하는 데에 가장 기초적인 자료라고 할 수 있는 수심자료를 GIS 데이터로 구축하여 1979년부터 2004년까지의 금강하구의 수심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금강하구는 시간이 흐를수록 수심이 깊어지는 지역보다는 얕아지는 지역이 점진적으로 늘어가고 있으며, 금강하구둑의 수문 폐쇄, 남 북측 도류제 및 북방파제 축조, 서측호안 매립공사 등이 완공되거나 진행되어진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수심이 얕아지는 면적이 증가함과 동시에 얕아지는 정도가 보다 급진적으로 진행되어 2004년에는 하구둑 전면과 대죽사주는 저조시에 해수면 위로 노출되는 해저면의 높이가 4m이상에 이르는 부분이 확산되었다. 금강하구 내 수심변화특성은 지역적으로 다소 차이를 보이므로 5개의 세부지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하구둑-군산내항, 군산내항-군산외항, 개야수로, 대죽사주 지역은 현시점에 가까워질수록 수심이 얕아지는 경향이, 도류제 지역은 수심이 깊어지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서측호안 지역은 시기별로 얕아지는 경향과 깊어지는 경향이 교차되며 나타났다. 하구둑-군산내항, 군산내항-군산외항, 개야수로, 대죽사주 지역에서 꾸준한 준설공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심이 얕아지고 있다는 것은 퇴적작용이 매우 우세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Flow Improvement at a Channel Junction by Installation of Training Wall considering on Permeability (투수성을 고려한 도류제의 합류부 흐름 개선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Gye-Woon;Hwang, Young-Man;Chang, Yun-Gyu;Chae, Sin-A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59.2-59.2
    • /
    • 2010
  • 본 연구는 투수성을 고려한 도류제의 하천 합류부 흐름개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도류제의 투수성 재료 사용 여부,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 변화, 도류제의 설치 길이변화를 주어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은 고정상 및 이동상 실험을 수행함으로 도류제 설치에 따른 수위, 유속, 하장변화를 관측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도류제의 설치가 합류부 흐름의 수위를 크게 저감시키고, 유속을 증대시킴으로서 통수능 개선을 유도하여 합류부의 홍수피해위험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on Training levee Dimension for Reduction of River Mouth Occlusion (하구폐색저감을 위한 도류제 제원에 관한 연구)

  • Choi, Chang Jin;Choo, Yean Moon;Kim, Sung Bum;Jee, Hong Ke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1
    • /
    • pp.139-151
    • /
    • 2014
  • In this study, virtual confluence of $30^{\circ}$, $45^{\circ}$, $60^{\circ}$, $75^{\circ}$ type flowing into main channel was designed to comprehend occlusion phenomenon of the mouth of river, then performed numerical analysis using the RMA-2 and SED2D model of SMS according to application of 40m, 60m, 80m, 100m Training levee corresponding to main channel width ratio. Results of simulation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Applying appropriate Training levee length determined by numerical analysis results, Training levee dimension for occlusion reduction was studied through the analysis of velocity, water level, bed variation at the Gamchen confluence and Wichen confluence.

A Study on Controlling Efflux Sediment Diffusion by Jetty Construction at Small Estuary (소규모 하구에서 토사유출 확산제어에 관한 연구)

  • Park, Sang Kil;Park, Hyun Su;Yoon, Jong Su;Lee, Si 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5B
    • /
    • pp.483-491
    • /
    • 2009
  • In this study, a jetty construction is taken into account for the reduction of sediment diffusive concentration incoming from the upstream river due to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and to minimize the effects on the coastal ecosystems. The field observation and numerical calculation a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usion zone of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small estuary and coastal area. The specification of the installed jetty which is able to control the sediment concentration was decided based on the prediction of the dispersion area changes in space and time. The selected size and layout for the jetty design were examined for the dispersion zone by numerical calculation and field observation. As a result, the jetties constructed in the estuary retarded the dispersion rate of sediment concentration, so that the effect area of sediment dispersion was obviously decreased. In addition, the measured field data indicated that the sediment deposition in the inside of dikes could be controlled and the right side area of jetties could be preserved without influx sediment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due to the Construction of Jetty at the Heoya-River Mouth, Ulsan (울산 회야강 하구 도류제 건설에 따른 표사이동 특성)

  • Lee, Seong-Dae;Kim, Bo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4
    • /
    • pp.477-486
    • /
    • 2014
  • Integrated sand control including sediment discharge from hinterland rivers is necessary to maintain coastal sand resources over a long term.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efficient ways to transfer discharged sand from a river to the neighboring coast, measures to improve storage efficiency of the discharged sand at the river delta and/or river terrace, measures to prevent the sand resource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deep sea during flooding. From the 1997 to January 2004, the jetty of 156 m length was constructed the Heoya-river mouth to protect the blockade of river mouth. Several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and morphological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jetty at the Heoya-river mouth. Firstly, The sand discharge from Heoya river is quantified by on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ssuming the mixed sand of three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Also the numerical mode system, which predicts the sea bed changes obtained from the Bailard's energy model(1981), was combined with the wave, wave-induced currents and sediment transport models. Then, to understand the changes to the blockade of the river mouth, several aerial photographs were compared, which showed that the changes were significant.

Evolution and Changes of Coastal Topography due to Jetty Construction at Namdae River Mouth (도류제 건설 후 남대천 하구의 해안선 생성 및 변화)

  • Kim, In Ho;Lee, Seong Da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B
    • /
    • pp.315-321
    • /
    • 2008
  • Recently, in the light of environments and utilization, countermeasures to preserve beaches in coastal area are required without depending on such as jetties and breakwater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sand management including not only coastal sediment but also sediment discharge from hinterland rivers is increased so as to establish long-term counterplan for sediment transport.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subjects are examined in this study; efficient ways for discharged sand to be transported from a river to the neighboring coast, the river terrace occurrence and its growth at the river delta, measures to improve storage efficiency of the discharged sand and measures to prevent the sand resource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deep sea during flooding. In recent, A jetty of 260 m length was constructed at Namdae River mouth in the year of 2005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occurrence of sand-bar at river mouth and its close. In this study, a series of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and morphological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jetty at the entrance of Namdae River mouth. Firstly, The sand discharge from Namdae River is quantified by on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ssuming the mixed sand of three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Th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port behavior of the sand discharge from river and river mouth phenomena the numerical experiments were then conducted to examine the flow behaviors of river efflux and wind generated circulations in coastal area. And, after establishing the numerical model system, which predicts the sea bed changes obtained from the flux model combining with the wave propagation, wave-induced currents and sediment transport models, the sediment transport in the vicinity of Namdae River mouth is analy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