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빈류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mparison of Wave Stresses in the Eulerian Nearshore Current Models (오일러형 해빈류 모형의 파랑응력 비교)

  • Ahn, Kyungmo;Suh, Kyung-Duck;Chun, Hwusub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9 no.6
    • /
    • pp.350-362
    • /
    • 2017
  • The Eulerian nearshore current model is more advantageous than the Lagrangian model in the way that numerical results from the Eulerian model can be directly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s by the stationary equipment. It is because the wave mass flux is not included in the computed mass flux of Euleran nearshore current model. In addition, the Eulerian model can simulate the longshore currents with depth varying parabolic profile. However, the numerical models proposed by different researcher have different forms of the wave stress terms. For example, wave stresses in Newberger and Allen's (2007) model is constant over the depth, while those of Chun (2012) are vertically distributed. In the present study, these wave stress terms were compared against Hamilton et al.'s (2001) laboratory experiments to see the effects of different wave stress terms performed on the computation of nearshore currents.

Studies on the Beach Deformation Mechanism of Haeundae Beach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빈변형기구에 관한 고찰)

  • 이종섭;김차겸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8.07a
    • /
    • pp.45-54
    • /
    • 1988
  • 현지해안의 해빈변형을 연구하기 위해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파랑과 해빈류를 관측하였으며, 또한 파랑과 흐름의 간섭효과를 고려한 파랑변형 및 해빈류를 수치계산하여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지형변동은 경험적 고유함수법에 의해 해석했다.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빈변형을 해빈류의 유황과 지형변동의 해석결과에 의해 분석하였다. 남서풍이 탁월할 때는 종단방향의 표사이동에 의해 침식이 일어났으며, 이 때의 표사이동 양상은 입사각이 180。일 때의 해빈류의 유황과 거의 일치하였다. 북동풍이 탁월할 때는 연안방향의 표사이동에 의해 침식이 일어났으며, 이 때의 표사이동 양상은 입사각이 160。일 때의 해빈류의 유황과 거의 일치하였다. 즉, 현지의 해빈변형은 입사파의 특성과 파랑에 의해 일어나는 해빈류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for Generation of Rip Current before and afterBeach Nourishment at Haeundae Beach (해운대 해수욕장 양빈 전후의 이안류 발생 변화 분석)

  • Kim, Dong Hee;Lee, Jung 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46-24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해운대 해수욕장 연안정비사업 전후의 지형변화에 따른 이안류 발생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atlab GUI (Graphical User Interface)로 개발한 HAECUM (HAE(海) Current Model)을 통하여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빈류를 모의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이상적인 경우와 실제 이안류가 발생한 상황에 대해 각각 적용하였으며, 상호비교의 효율성을 위하여 해빈류 장미도를 통해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해운대 해수욕장의 연안정비사업에 따른 해빈류 및 이안류에 대한 상관성 도출하였다.

  • PDF

Characterisitics of Wave-Induced Current in the vicinity of Wolpo Harbor (월포항 인근해역에서의 해빈류 특성)

  • Lee, Seong-D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6
    • /
    • pp.661-669
    • /
    • 2000
  • The accurate prediction of wave-induced currents is indispensible to analyze the beach deformation due to the sediment transport or dispersion in the surf zone, which often gives rises to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coastal region. Although many numerical models have been suggested up to now, it is not easy to properly simulate wave-induced currents, in particular, over a complex topograph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have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wave transformation and wave-induced currents, to compare results numerical models with those of field measurements, and to find the validity and the applicability of them. And, also the validity of the model has been confirmed by the field investigation.

  • PDF

Applicability of Boussinesq Models for Wave Deformation and Wave-Induced Current (파랑변형 및 해빈류에 대한 Boussinesq 모형의 적용성 검토)

  • Cho, Young-Jun;Park, Il-He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2
    • /
    • pp.185-193
    • /
    • 2010
  • In the present study, wave deformation and wave-induced current were calculated under the regular wave conditions using the Boussinesq model. The model results of the wave deformation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preceeding laboratory experiments of others. The wave-induced current of the fully developed sea state was calculated. For field application of model, the preceeding field data by others in the real scale of the water area were compared, the numerical result of wave deformation showed a relatively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 data. Although the numerical result of wave-induced current was underestimated over the longshore bar developed area, the Boussinesq model is generally suitable to predict the wave-induced current.

Investigation of the Calculating Methods for Waves and Nearshore currents behind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초대형 부유구조물 배후의 파랑 및 해빈류 계산에 관한 고찰)

  • Shin, Seung-Ho;Kyoung, Jo-Hyun;Hong, Sa-Young;Hong, Key-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1
    • /
    • pp.51-56
    • /
    • 2006
  • 부유식 해상공항과 같은 초대형 부체 구조물(VLFS)의 연안역 설치 후 발생할 수 있는 배후의 해빈변형을 예측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일정 사면을 가진 천해역에서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비교적 수심이 깊은 곳에 설치된 매립식 구조물 배후에서의 파랑 및 해빈류를 개관하였으며, 매립식 및 부유식 해상 구조물 설치 시 주변 해역의 파랑 및 해빈류장을 계산하였다. 파랑장에 있어서 라프라스 방정식 토대로 유한요소법을 도입한 3차원 파랑 변형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매립식 및 부유식 구조물 모두에 대해 적용 가능하였으며, 해상 구조물의 설치 형식이 매립식 및 부유식 경우에 대해 파랑, 해빈류 분포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under External Force in Haeundae Beach (해운대 해빈에서 특정 외력하의 표사이동 특성)

  • Kim, Gweon-Su;Ryu, Ha-Sang;Park, Hyoung-Su;Kim, Kang-M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6
    • /
    • pp.663-671
    • /
    • 2013
  • The width of Haeundae beach has been decreasing annually due to the loss of sand from land, high waves, reflected waves, etc.. The accurate prediction of wave-induced currents is indispensible to analyze the beach deformation due to the sediment transport. In the this study, Numeric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seasonal representative wave on the basis of a long term and comprehensive survey data. In summer, we found the deposition of Mipo by longshore current eastly by ordinary and S waves, and in winter, the deposition of Dongback-island by longshore current westly by ordinary and E waves. In addition, rip current occurs in the middle of Haeundae beach by 50 year return period wave and current westly along the coast by ESE directional wave.

연안류 분포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제 인자

  • 윤영호;김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142-145
    • /
    • 1993
  • 쇄파대 내에서는 여러가지 흐름이 상호 간섭하면서 작용하기 때문에 극히 복잡한 흐름장이 형성 된다. 해빈의 제반 동역학에 있어서 최우선되는 작용력은 파동 이지만, 흐름 또한 표사와 확산현상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쇄파대 내외의 천수역에서는 해류나 조류 등 지구 물리학적 크기의 흐름보다는 소위 해빈류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해빈류계는 그 평면적인 흐름의 형태에 따라 연안류계(longshore current system), 순환류계(symmetrical celluar system), 사행류계(meandering system) 등 3가지로 분류된다(Basco, 1982). (중략)

  • PDF

A Study on Drift and Sediment Transport near Heoya-River Estuary (회야강 하구에서의 표사 및 유사 이동특성)

  • Lee, Sueng Dae;Lee, Geun Il;Kim, Muen J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7-217
    • /
    • 2011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회야강의 하구폐색은 1990년대 중반부터 주목을 받아서 연구 되어오고 있다. 하천의 하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파랑류, 취송류와 하천류 뿐 아니라 해류나 조류 등의 영향도 받는다. 회야강 하구는 이러한 흐름과 더불어 독특한 지형이 영향을 주어서 더욱 복잡한 흐름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복잡한 흐름의 영향으로 회야강 하구에서 사주가 강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하구폐색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04년 진하 방사제를 설치하였으나 이후에도 하구폐색이 계속 진행되었기 때문에 정기적인 준설로 하구폐색을 막고 있는 실정이다. 근본적으로 하구폐색을 막기 위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하상변동특성과 표사 및 유사의 이동 특성에 대한 과학적인 해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해역에 가장 큰 영향인자로 예상되는 하천류와 해빈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하천류 검토를 위해서는 회야강에서 유출하는 유사량을 혼합입경의 관점에서 실험하였고, 도류제 설치 유무에 따른 하구역에서의 지형변동 및 하구폐색현상을 해석하였다. 해빈류 검토에서는 파랑에 의한 회야강 하구인근에서의 흐름장과 침퇴적 해석을 통해 하구 인근해역의 지형변동특성을 고찰하였다. 회야강 하구에서 혼합입경($d_{10}$, $d_{50}$, $d_{90}$)을 고려하여 하천류의 수치실험을 수행한 결과 유출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구역의 하상고가 점차 상승하여 하구사주가 발달하고 이로인하여 하구폐색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또 유송토사량에 대한 해석결과 홍수량 증가에 비례하여 유송토사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평수시에는 하천의 유출량이 미소하여 하구폐색현상의 주외력은 파랑에 의한 해빈류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같은 외력조건에 의해 하구에서 연안사주 발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파랑에 의한 해빈류가 회야강 하구에서 순환류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의 결과로 도류제 설치 후에도 하구부 인근해역에서 퇴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aracteristics of Wave-induced Currents using the SWASH Model in Haeundae Beach (SWASH 모형을 이용한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빈류 특성)

  • Kang, Min Ho;Kim, Jin Seok;Park, Jung Kyu;Lee, Jong Su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7 no.6
    • /
    • pp.382-390
    • /
    • 2015
  • To simulate a complicated hydrodynamic phenomena in the surf zone, the SWASH model is used in Haeundae Beach. The SWASH model is well known as a model competing with the Boussinesq-type model in terms of near shore waves and wave-induced currents modelling. This study is aimed to the detailed analysis of seasonal waves and wave-induced current simulation in Haeundae Beach, where the representative seasonal wave conditions was obtained from hourly measured wave data in 2014 by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Incident wave conditions were given as irregular waves by JONSWAP spectrum. The calculated seasonal wave-induced current patterns were compared with the field observation data. In summer season, a dominant longshore current toward the east of the beach appears due to the effect of incident waves from the South and the bottom bathymetry, then some rip currents occurs at the central part of the beach. In the winter season, ESE incident waves generates a strong westward longshore currents. However, a weak eastward longshore currents appears at the restricted east side areas of the be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