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혼합구조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된 접합방식의 개발 (I) : 개선된 접합방식을 도출하기 위한 3차원 비선형 해석

Developments of Advanced Connection Type for Improvements of Mixed Structures(I) : 3D Nonlinear Analysis of the Various Connection Types for Deriving Advanced Connection Type

  • 윤익중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허택녕 (창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문겸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조성용 (GS건설(주).토목구조팀 기술본부)
  • 투고 : 2007.08.28
  • 심사 : 2007.10.02
  • 발행 : 2008.01.31

초록

서로 다른 부재로 이루어진 혼합구조물은 불연속면인 접합부에 강도저감, 응력집중이 발생하거나 응력전달이 확실하지 않게 되므로 접합부에 대한 연구는 이미 오래전부터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연구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 장대교량에 혼합구조를 적용하면, 경제성과 시공성이 확보되고 구조적 성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본, 유럽 등과 같은 선진국에서 혼합구조의 연구 및 시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술한 혼합구조의 접합부가 구조물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에 수행된 많은 연구결과를 검토하고,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후면판 방식의 접합부를 갖는 혼합구조의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여 그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혼합구조 접합부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접합부 방식를 제안하고, 이를 기존의 방식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객관적인 6개의 기준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개선된 모형으로는 형태를 개선안 모형 2개와 불연속면을 보강한 모형 1개 총 3개의 개선모형를 설정하였으며, 객관적인 비교기준으로 하중-처짐관계, 처짐곡선분포, 개구폭, 스터드축력, 소성변형 크기 및 위치, 접합부 응력분포 등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에 따라 기존 접합부 방식과 개선된 방식을 서로 비교검토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접합부 방식이 구조물의 성능개선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혼합구조의 새로운 접합부 방식으로 제안하였다.

The problem of interaction between the structures interconnected at discrete points as like composite structures, has a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Recently, mixed structures are applied for overcoming structural limits by developed countries. In this paper, advanced connection type of mixed structures are presented by numerical approach. Also it is performed 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from theoretical method to numerical analysis. For analysing behaviors of mixed structures according to connection type, 2 different connections and 1 reinforced connection are compared by 3D nonlinear numerical analysis. Nonlinear analysis of mixed structures is carried out by utilizing contact elements of a general purpose structural analysis computer program(ABAQUS). By using 6 criteria, each connections are investigated. From this result, proper reinforcing and well designed connection type are proposed. And results also show that the deflections which are induced by discontinuity on mixed structures, has a linear distribution that should decrease as applying proposed connection typ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희정(2005) 경계면 비선형 모델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혼합구조 체의 거동해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 김광수, 정광회, 심정욱, 유성원(200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강 혼합구조를 갖는 복합거더의 정적 휨 거동.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8-53
  3. 허택녕, 윤익중, 김문겸, 조성용(2006) 개선된 접합부 방식을 갖 는 혼합구조의 3차원 비선형 해석.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 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702-705
  4. Blondi, B. and Caddemi, S. (2005) Closed form solutions of Euler- Bernoulli beams with singular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lids and Structures 42, pp. 3027-3044 https://doi.org/10.1016/j.ijsolstr.2004.09.048
  5. Dias, A.M.P.G., Van de Kuilen, J.W., Lopes, S., and Cruz, H. (2007) A non-linear 3D FEM model to simulate timber-concrete joints. Advances in Engineering Software 38, pp. 522- 530 https://doi.org/10.1016/j.advengsoft.2006.08.024
  6. Diederichs, M.S. and Kaiser P.K. (1999) Stability of large excavations in laminated hard rock masses : the voussoir analogue revisited. International Journals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36, pp. 97-117 https://doi.org/10.1016/S0148-9062(98)00180-6
  7. Seyyedian, H. (2006) Effect of Internal Moment Release on the Eigenfrequencies of Combined Linear Systems.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Vol. 132, No. 8, pp. 823-829 https://doi.org/10.1061/(ASCE)0733-9399(2006)132:8(823)
  8. Yavari, A. and Sarkani, S. (2001) On applications of generalised functions to beam bending problems. International Journal of Solids and Structures 37, pp. 5675-5705 https://doi.org/10.1016/S0020-7683(99)002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