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stimation of the Equilibrium Error by the Short Term Disequilibrium Relations between the Markets

시장간 단기적 불균형 관계에 따른 균형오차의 추정

  • Kim, Tae-Ho (Dept. of Information Statistic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perform the statistical tests for the comovement of the stock prices between Korea and U.S. by using the weekly data instead of the usual daily data. The restoring pattern, from the short-run disequilibrium to the long-run equilibrium point, is also carefully estimated if the long-run relationships exist between the stock prices. The cointegrating relations between the stock prices appear to begin to hold during the period of the financial crisis. It is found to be consistently estimated that the equilibrium error is slowly eliminated till the end of the financial crisis, while quickly removed after the period.

본 연구는 통상적인 일일자료 대신 주간자료를 사용하여 구제금융시대 전후 한국과 미국의 주식시장 동조화논란에 대해 통계적으로 검정해 보았다. 특히 양국의 주가간에 장기적 균형관계가 존재할 때 단기적 불균형에서 장기균형으로 복귀하는 성향에 대해 기간별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를 추정하였다. 양국의 개별 주가간 장기적 균형관계는 구제금융기간이 시작되면서 뚜렷해지고 그 이후는 더욱 다양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제금융기간이 끝나기 전까지는 단기간의 불균형이 해소되는 속도가 느렸지만 기간 종료 이후는 장기균형이 빠르게 회복된다는 사실이 일관성있게 추정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인무, 김찬웅 (2001). 한국, 일본, 미국 주식시장의 정보전달: KOSDAQ, JASDAQ, NASDAQ과 거래소 시장을 중심으로, <증권학회지>, 28, 481-513
  2. 김태혁, 강석규 (2002). 나스닥증권시장이 한국증시의 각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증권학회지>, 30, 366-389
  3. 유태우, 김춘호 (1997). 미.일 주가의 한국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증권.금융연구>, 3, 1-20
  4. 장국현 (2002). 주식시장 종조화와 다운사이드 리스크,<재무연구>, 15, 189-216
  5. 장호윤 (1996). 한국 주식의 New York증시 상장과 주식가격 정보의 이전, <증권.금융연구>, 2, 105-131
  6. 조담, Bauer, R. J. (2002). 미국 주가병동에 대한 아시아 신흥시장의 주가반응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재무관리연구>, 19, 135-158
  7. 지청, 조담, 양채열, (2001). 우리나라 주가변동에 대한 미국 주가의 영향, <증권학회지>, 28, 1-19
  8. Dickey, D. A. and Fuller, W. A. (1979). Distribution of the estimators for autoregressive time series with a unit root,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4, 427-431 https://doi.org/10.2307/2286348
  9. Dickey, D. A. and Pantula, S. G. (1987). Determining the order of differencing in autore-gressive processes, Journal of Business & Economic Statistics, 5, 455-461 https://doi.org/10.2307/1391997
  10. Engle, R. F. and Granger, C. W. J. (1987).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55, 251-276 https://doi.org/10.2307/1913236
  11. Granger, C. W. J. (1986). Developments in the study of co-integrated economic variables,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48, 213-228 https://doi.org/10.1111/j.1468-0084.1986.mp48003002.x
  12. Gujarati, D. N. (2003). Basic Econometrics, McGraw Hill Companies, New York
  13. Hall, S. G. (1986). An application of the Granger and Engle two-step estimation proce-dure to the United Kingdom aggregate wage data,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48, 229-239 https://doi.org/10.1111/j.1468-0084.1986.mp48003003.x
  14. Johansen, S. (1991). Estimation and hypothesis testing of cointegrating vectors in gaussian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Econometrica, 59, 1551-1580 https://doi.org/10.2307/2938278
  15. Johansen, S. and Juselius, K. (1990).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inference on cointegration with applications to the demand for money,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52, 169-210 https://doi.org/10.1111/j.1468-0084.1990.mp52002003.x
  16. Maddala, G. S. and Kim, I. M. (1998). Unit roots, cointegration and structural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