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조화 현상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Regionalization of the RMB in Southeast Asia: Coupling or Decoupling of Local Currency/Dollar Exchange Rates with the RMB/Dollar Exchange Rate (동남아시아에서의 위안화 국제화: 위안화 환율에 대한 개별국가 환율의 동조화 또는 비동조화 현상을 중심으로)

  • RA, Hee-Ryang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3 no.1
    • /
    • pp.313-362
    • /
    • 2013
  •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지역화)는 중국경제의 성장 및 중국정부의 전략적, 정책적 지원에 따라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ASEAN과 중국 간 경제통합이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중국 위안화의 유통이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위안화 유통의 확대와 관련하여 위안화 국제화(지역화)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환율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동 지역에서 위안화의 유통의 확대(위안화 국제화)가 유의미하다면 달러화 대비 위안화 환율과 달러화 대비 동남아시아 개별국가통화 환율 간에 인과적 관계를 보일 것이다. 왜냐하면 환율정책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환율의 안정적 운영인데 환율결정에 있어 위안화의 비중이 크다면 그 만큼 달러화 대비 개별국가통화 간 환율의 영향도 커지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가설을 바탕으로 두 환율변수 간 공적분 분석 등 계량분석을 통해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2005.8~2008.6)에는 두 환율변수 간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는데 비해 그 이후(2010.7~2012.6)는 비동조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0년 이후 유럽의 재정 위기 등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환율 정책 우선순위가 환율의 안정적 운영에서 경기회복을 위한 수출증가 및 이를 위한 개별국가 통화의 환율절하로 전환하였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과의 국경무역 등 경제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GMS(라오스, 미얀마, 베트남)국가들의 경우 그 외 아세안 7개국들에 비해 두 환율변수 간 동조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이들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기타 국가들에 비해 위안화 국제화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경기가 회복되고 위안화의 국제화가 가속되면 두 환율 간 동조화 기조는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연계 동조 현상의 이해와 공학적 활용 방안

  • Choe, Hyeon-H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
    • /
    • pp.71-81
    • /
    • 2013
  • 본고에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조 현상을 이해하고 공학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동조 현상에 관한 대표적인 수학적 모델을 살펴보고 동조의 원리를 분석한다. 또한 동조 현상을 공학적으로 활용한 주요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자연계를 모방한 동기화 방식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자연계 모방 기술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아울러 동조 현상을 공학적으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향후 연구 이슈를 제시한다.

A Study on Synchronization of World Stock Market via Network Analysis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세계 증시 동조화 현상에 대한 연구)

  • Choi, Seung-I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807-809
    • /
    • 2010
  •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각국의 증시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조화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주가 동조화 현상은 주로 시계열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시가 총액이 큰 주요 국가들의 대표적 주가 지수들을 대상으로 상관계수를 구하고, 이러한 상관계수를 가중치로 설정하여 구성한 네트워크를 분석한다.

  • PDF

A Study on the Comovement of Industry Default (산업 부도의 동조화 현상 연구)

  • Jeon, Haehyun;Kim, So-Yeun;Kim, Changki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8 no.6
    • /
    • pp.1289-1312
    • /
    • 2015
  • This paper studies the comovement of industry defaults among listed companie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pearman's ${\rho}$ and Kendall's ${\tau}$ measure the concordance of default. These non-parametric coefficients do not require distributional assumptions and are easily used even with less data and extreme values. This study predicts a future financial crisis by looking at the comovement of industry defaults. We expect our analyses will aid market participants (including company executives) in making investment or risk management decisions.

An Analysis of Stock Return Behavior using Financial Big Data (금융 빅 데이터를 이용한 주식수익률 행태 분석)

  • Jung, Heon-Yong;Kim, Sa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708-710
    • /
    • 2014
  • 최근 금융 분야에서는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가예측 모형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특히 금융 시계열 자료의 변동성 집중 현상을 금융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세계 주식시장의 동조화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일별 주가지수수익률과 일중 주가지수수익률을 이용하여 이들 2개 국가의 대표적인 주가지수 시계열 데이터에 변동성 집중 현상이 존재하는지를 보다 세밀하게 추적하여 양국 주식시장의 동조화 현상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한국의 KOSPI와 중국의 Shanghai 종합주가지수의 지수수익률 시계열 자료는 단위근이 존재하지 않으며, 변동성 집중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보다는 중국 주식시장의 변동성 집중현상이 보다 강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은 일중 주가지수수익률 시계열 자료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

Synchronization Phenomenon and Correlation Analysis of Global Stock Market (글로벌 주식시장의 동조화 현상과 상관관계 분석)

  • Choi, Jeong-I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
    • /
    • pp.699-70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ncluding the Korea stock market and neighboring countries markets is seeing a look at the correlation and synchronization phenomenon. For this purpose, which is expected to have an impact on Korea's stock market, selectio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Japan, Germany on behalf of the European analyzed the data of the last 151 months. Any analysis, Korea market appeared to show a high correlation with the synchronization phenomenon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However Korea and Japan exhibited a low correlation. While the US market showed a very high correlation with Germany but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China. China has been judged by the proprietary market due to a low correl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 Japanese market has been more affected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than Asian markets. German market is analyzed to influence the US market under the influence of the Asian market.

Test and Analysis for Comovement-Locomotive Hypothesis (동조화 현상의 견인차 가설 검정과 분석)

  • Kim, Tae-H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4 no.2
    • /
    • pp.239-251
    • /
    • 2011
  • The need for statistical analysis to discern the existence and the type of international business comovement has increased as business and economic variations in one country is directly transmitted to business and financial market conditions in another without a long lag. This study performs the statistical tests for th locomotive hypothes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character of the long-run mechanism among Korea-US current and future business movements and the domestic stock market. The U.S. future business prospect, rather than the US current and the domestic current and future business conditions, appears to signi cantl a ect the domestic stock market movement.

경제 위기와 주식시장 동조화 현상에 관한 연구

  • Min, Jae-H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1
    • /
    • pp.117-138
    • /
    • 1998
  • 본 논문은 경제적인 위기에 기인한 세계 주식시장의 동조화 현상에 대하여 1993년 말에 발생한 멕시코 외환 위기를 전후(前後)로 북미 대륙의 주식시장과 뉴욕 증시에서 거래되는 중남미 국가펀드 가격들의 동반 움직임(Co-movements)현상을 예(例)로 들어 분석해 보았다. 본 논문은 이전의 실증 연구들과 몇 가지 점에서 일치되는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미국 시장에서 거래되는 중남미 국가펀드의 가격들은 페소위기 이후 더욱 동반 움직임 현상을 나타내었다. 둘째, 중남미 국가펀드는 그들이 거래되는 미국 시장의 움직임에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 셋째, 페소위기 이후 북미 대륙의 주식시장간 또는 중남미 국가펀드간의 움직임에 있어서 상관관계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자본 이동의 자유화에 따른 자본시장의 점진적인 통합은 국진적으로 발생한 경제 위기를 빠른 시간에 비슷한 위험 요소에 노출되어 있는 다른 지역으로 파급시킨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입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Synchronizing Relations among the Return Rate on Housing Markets and Stock Market (주택시장 및 주식시장의 수익률 동조화현상에 관한 연구 - 지역별, 주택형태별, 기간별 분석을 중심으로 -)

  • Kang, Won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125-126
    • /
    • 2013
  • 본 연구는 부동산 시장을 지역별(서울 강남, 강북지역) 및 주택형태별(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로 분류하여 주식시장 및 각 형태별 주택시장의 수익률 동조화현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각 자산 간의 수익률을 1998년도 외환위기와 2008년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로 비교하여 기간 간의 수익률 및 수익률 변동성 차이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구분된 시기별로 각 자산의 수익률은 첫째, 주택시장은 주식시장과는 동조현상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둘째, 지역별 및 주택형태별 시장은 서로 동조현상이 있으나 그 정도는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f Investment Behavior : From the Perspective of Capital Market Comovements (투자주체별 투자행태 분석 : 한미 주가동조화를 중심으로)

  • Jun, Sang-Gyung;Choi, Jong-Ye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0 no.2
    • /
    • pp.127-150
    • /
    • 2003
  • This study analyzes how capital market comovement can affect investors' decision making. We first analyze time-varying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tock indices of U.S.A. and Korea. and then, using our empirical results, attempt to draw implications on investors' behavior. We find that the tendency of comovement between Korea and U.S.A. equity returns has considerably increas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late 1997. Through the analysis of investors' behavior, we find that foreign investors, contrary to ITC's (Investment Trust Company) and individual investors, buy more shares in Korean markets as American stock prices go up. Foreign investors employ dynamic hedging strategy and give more weight on global economic factors than domestic ones. Our empirical results as a whole imply that investment behavior of foreign investors is most closely related to comovement of U.S.A. and Korea capital marke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