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간자료

Search Result 76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How to Measure Daytime Population in Urban Streets?: Case of Seoul Pedestrian Flow Survey (도시 거리의 주간활동인구 측정과 해석: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 사례)

  • Byun, Mi-Ree;Seo, U-Seok
    • Survey Research
    • /
    • v.12 no.2
    • /
    • pp.27-50
    • /
    • 2011
  •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estimate daytime population for the sake of urban administration and urban economy. The estimation of daytime population using a census data on commute, however, has its own limits, particularly when applying to the metropolis such as Seoul which is dominated by the service industry. This study suggests a pedestrian flow as another estimate of daytime population and presents a methodology of Seoul Pedestrian Flow Survey. The data of pedestrian flow gives us a view into hourl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daytime population, which cannot be provided by the use of census data. In addition, comparing with a census-based daytime population on the borough level show some features of a pedestrian flow as another estimate of daytime population.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Program for Arthralgia in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의 관절통증 사례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 Lee, Moo-Si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474-478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 사용되고 있는 관절통증을 중심으로 한 사례관리를 수정 보안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관절통증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제안하며,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사업의 활성화와 완성도를 높이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007년 전국 12주 관절통증 사례관리 결과자료 분석하고, 전국 253개 보건소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인력에 대한 자료 분석과 전국 보건소 전문가 자문회의와 토론 결과를 통해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2008년도 충청남도 관절통증 12주 사례관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value가 0.05 미만과 0.01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전국자료는 빈도분석, wilcoxon 부호순위 검정과 McNemar's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12주의 관절통증 사례관리의 연구기간동안 수집된 자료를 1주와 8주간, 1주와 12주간, 8주와 12주간을 paired t-test 검정과 McNemar's 검정을 실시하여 유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2주 기간 동안 사전 사례관리 방문간호사의 교육을 통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강도의 조절 및 매주로 서비스의 횟수를 조절하여 사례관리를 실시한 결과 총 109개 항목에서 1주와 8주간에 유의한 항목은 TG(mg/dl)를 비롯한 51개 항목, 1주와 12주간에는 콜레스테롤(mg/dl)을 비롯한 53개 항목, 8주와 12주간에는 지난 48시간동안 관절통증 점수를 비롯한 3개 항목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1주와 8주간은 유의하나 1주와 12주간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는 항목은 TG(mg/dl)를 비롯한 3개 항목, 1주와 8주간은 유의하지 않다가 1주와 12주간은 유의하게 나타나는 항목은 콜레스테롤(mg/dl)를 비롯한 6개 항목, 1주, 8주, 12주간의 모든 기간에서 유의한 항목은 지난 48 시간동안 관절통증 점수를 비롯한 3개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추진되고 있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사업지침에 대한 보완을 위해 관절통증사례관리 프로그램에 있어 중재 서비스 또는 프로그램의 기간은 12주간에서 8주간으로 조정 되어야 하며, 추가가 필요한 항목으로는 교육, 자기역량 강화, 운동처방, 물리치료, 약물치료, 대체요법, 식이, 영양, 생활지도 등이며, 어골도 분석을 위한 기본 틀 및 주요 구성요소를 제시 및 기여 요인 및 결정요인을 위한 논리적 모형 제시가 필요하며, 개선목표를 위한 유지증진 및 관리능력, 지기 관리 수행도 개선과 대상자별 맞춤형 사례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행동 체크리스트 제작 보급 및 사례별 운동, 물리치료 지도 방법 계획 수립에 대한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of weekly rainfall-runoff model for drought outlooks (가뭄전망을 위한 주간 강우-유출 모형의 개발 및 적용)

  • Kang, Shinuk;Chun, Gunil;Nam, Woosung;Park, Jinhy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4-214
    • /
    • 2019
  • 가뭄이 '심함' 단계 이상 도달 시에는 매주 수문분석을 수행하여 가뭄전망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상청의 강수량과 기온 등의 기상예측 자료가 필요하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3개월 기상전망으로 월단위 강수량과 평균기온을 매월 제공하고 있다. 1개월 전망에서 4주의 강수량합과 평균기온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4주간을 전망하는 1개월 전망에서는 1주단위의 강수량과 평균기온이 아닌, 4주간의 강수량합과 평균기온을 1주일 단위로 업데이트해 WINS에 제공하고 있다. 1주단위의 강수량과 평균기온을 취득하기 어려워, 평년 일단위 강수량과 평균기온 자료를 사용하여 4주간의 자료를 1주 단위로 분할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간단위 수문자료의 처리를 위해 국제표준기구(ISO)에서 제시하는 기준(ISO 8601)에 따랐다. ISO 8601은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를 1주로 정의하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날짜체계와 1대1로 대응되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1981년 2월 22일은 '1981-W07-7' 또는 '1981W077'로 표시한다. 표시된 형식은 1981년 7번째 주 일요일을 뜻한다. 이 기준에 따라 수문자료를 정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주간 단위 잠재증발산량 계산은 월잠재증발산량 프로그램을 1주단위로 계산할 수 있도록 수정 및 보완하여 개발하였다. 수정 및 보완한 부분은 외기복사(外氣輻射)량 계산부분이다. 외기복사량은 지구가 태양을 1년 주기로 공전하므로 특정 위도에서 특정날짜에 따라 복사량이 달라지므로 주간단위의 월요일부터 일요일에 해당하는 날짜의 외기복사량을 각각 계산하고 이를 평균하여 주간단위 대푯값으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계산된 주간단위 외기복사량과 최고 최저기온을 입력하여 Hargreaves식에 의해 잠재증발산량을 계산한다. 융적설을 포함한 주단위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해 전국 24개 지점의 수문자료를 사용하였다. abcd 모형과 융적설모듈의 초기값 포함 11개 매개변수를 SCE-UA 전역최적화 알고리즘으로 추정하였다. 추정된 유역의 매개변수는 토양배수, 토양심도, 수문지질, 유역특성인자를 사용한 군집분석 결과에 의해 113개 중권역에 할당하였다. 개발된 주간단위 강우-유출 모형은 비교적 단기 가뭄전망을 위해 사용된다. 계산된 유량은 자연유량이며, 전국 취수장 수량, 하수처리장 방류수, 회귀수를 반영하여 지점별 유량을 계산하여 가뭄전망에 사용되고 있다.

  • PDF

제34회 전국도서관주간 행사결과 보고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39 no.3 s.310
    • /
    • pp.70-75
    • /
    • 1998
  • 제34회 전국도서관주간(한국도서관협회 주관, 문화관광부 후원)이 4월 12일부터 18일까지 전국의 공공도서관을 비롯하여 각급도서관별로 다양하게 개최되었다. 우리 협회는 도서관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이해도를 높이고자 지난 ‘65년부터 매년 4월 12일에서 18일까지 1주일 간을 ’도서관주간‘으로 정하고 우리협회에 주관하에 전국 각급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다양한 도서관문화 행사를 전개해오고 있다. “도서관에 가서보면 길이 보인다”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도서관주간 행사에는 ’특별강좌. 강연‘ ’모범이용자표창‘ ’작가와의 만남‘ ’도서관 알기‘ ’동화구연‘ ’독서토론‘ 등과 같은 행사뿐만 아니라 경제위기로 인한 고실업사회의 대응책으로 ’창업 및 구직정보 관련코너‘설치 ’자녀 논술 및 독서지도 강좌‘등이 많은 공공도서관에서 실시된 것이 눈에 띄었으며 ’정보찾기대회‘ 컴퓨터강좌’ ‘영어동화들려주기’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도 정보화, 국제화 시대에 맞춰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에서 특히 눈길을 모은 것은 제주도 한수풀도서관에서 ‘창간호 특별전시회’로서, 이는 고병률 사서의 개인소장자료 전시회로 한 사서의 자료보존에 대한 애착을 엿볼 수 있었으며, 대구광역시립동부도서관의 ‘도서관주간 음악회’와 대학도서관에서는 드물게 개최된 계명대학교동산도서관의 초청강연회 ‘미국대학도서관의 업무처리와 정보 서비스: 연사 박혜옥(캘리포니아대학도서관사서)’등도 돋보였다. 이번 도서관주간에 개최된 각급 도서관별 행사 내역을 아래의 표는 정리한 것임.

  • PDF

Evaluating the Land Surface Characterization of High-Resolution Middle-Infrared Data for Day and Night Time (고해상도 중적외선 영상자료의 주야간 지표면 식별 특성 평가)

  • Baek, Seung-Gyun;Jang, D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2
    • /
    • pp.113-125
    • /
    • 2012
  • This research is aimed at evaluating the land surface characterization of KOMPSAT-3A middle infrared (MIR) data. Airborne Hyperspectral Scanner (AHS) data, which has MIR bands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were used to assess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retrieval and classification accuracy of MIR bands. Firstly, LST values for daytime and nighttime, which were calculated with AHS thermal infrared (TIR) bands, were compared to digital number of AHS MIR bands.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AHS band 68 (center wavelength $4.64{\mu}m$) was over 0.74, and was higher than other MIR bands. Secondly, The land cover maps were generated by un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the AHS MIR bands. Each class of land cover maps for daytime, such as water, trees, green grass, roads, roofs, was distinguished well. But some classes of land cover maps for nighttime, such as trees versus green grass, roads versus roofs, were not separated. The image classification using the difference images between daytime AHS MIR bands and nighttime AHS MIR bands were conducted to enhance the discrimination ability of land surface for AHS MIR imager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land cover map for zone 1 and zone 2 was 67.5%, 64.3%, respectively. It was improved by 10% compared to land cover map of daytime AHS MIR bands and night AHS MIR bands. Consequently, new algorithm based on land surface characteristics is required for temperature retrieval of high resolution MIR imagery, and the difference images between daytime and nighttime was considered to enhance the ability of land surface characterization using high resolution MIR data.

An Estimation of the Equilibrium Error by the Short Term Disequilibrium Relations between the Markets (시장간 단기적 불균형 관계에 따른 균형오차의 추정)

  • Kim, Tae-H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2
    • /
    • pp.221-231
    • /
    • 2008
  • This study attempts to perform the statistical tests for the comovement of the stock prices between Korea and U.S. by using the weekly data instead of the usual daily data. The restoring pattern, from the short-run disequilibrium to the long-run equilibrium point, is also carefully estimated if the long-run relationships exist between the stock prices. The cointegrating relations between the stock prices appear to begin to hold during the period of the financial crisis. It is found to be consistently estimated that the equilibrium error is slowly eliminated till the end of the financial crisis, while quickly removed after the period.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Sleep on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우울, 불안, 수면의 질이 주간과다졸림에 미치는 영향)

  • Lee, Eunh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2
    • /
    • pp.148-156
    • /
    • 2019
  •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Sleep on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 in nursing students. Totally, 213 students of a nursing college located in C do, Korea, were enrolled for the study, which was accomplished through a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 to 30,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compiled using the SPSS/WIN 25.0 statistic program by applying Chi-square test, Paired t-test, Pearson's Coefficien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mean score for EDS was 8.95(±4.56), and Prevalence of EDS was determined to be 40.8%. The mean scores obtained for the affecting factors were Depression 10.05(±7.85), STAI-S 46.09(±9.50), STAI-T 46.47(±9.93), and Quality of Sleep 6.51(±2.95). Depression, STAI-S, STAI-T, and Quality of Slee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DS and Non-EDS students (t=1.955, p=0.024; t=5.446, p<0.001; t=1.716, p=0.007; t=12.168, p<0.001; respectivel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vealed that factors associated with EDS were STAI-S and Quality of Sleep (adjusted odds ratio=1.04, 95% Confidence Interval=1.01-1.08; adjusted odds ratio=1.16, 95% Confidence Interval=1.04-1.29; respect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and manage anxiety alleviation of nursing students, to reduce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and Activation Plan of Library Week (도서관주간의 비교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Sim, Hyojung;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6 no.2
    • /
    • pp.157-177
    • /
    • 2022
  • This study, in relation to the decision to designate April 12 as the Library Day and the week from that day as the Library Week starting in 2023 in accordance with the amendment of the Libraries Act, suggests ways how the Library Week could be activation pla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and history of the Library Week which started in 1964 and cases of the use of library week at home and abroad. The uses of library week at home and abroad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implications drawn, suggestions for promoting the Library Week, were made in terms of three aspects - efficient methods for using the Library Week, changes in programs, diversification of promotional strategies. This paper suggests in order to promote the Library Week, various ways of running events, online and offline platforms, honorary ambassadors, unique commemorative events, national campaigns, archiving and all-year-round promotional channels and system are needed.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promoting the Library Day and Library Week that will start in 2023.

산업보건세미나 종합토론 발표자료1 - 유해 폐기물 취급 근로자의 선제적 건강관리방안

  • Jo, Gi-Hong
    • 월간산업보건
    • /
    • s.327
    • /
    • pp.63-66
    • /
    • 2015
  • 협회는 '제48회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을 맞이하여 "유해 폐기물 취급 근로자의 선제적 건강관리 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주제발표 자료는 협회에서 배포한 자료집이나 안전보건공단에서 제작한 CD에 수록되어 있다. 종합토론 자료는 토론자의 수정을 거쳐 '산업보건'에 게재하기로 했다.

  • PDF

Relati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Metabolic Syndrome in Daytime Workers (주간근로자의 건강증진 실천행위와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 Ko, Dae-Sik;Park, Bu-Yeon;Seok, Gyeong-Hyu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12
    • /
    • pp.1941-1948
    • /
    • 2013
  • This study aims discover the relations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metabolic syndrome in daytime workers, in order to present importance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Based on Year 1 data of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mrolled were 1,034 daytime worker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prevalence rate of metabolic syndrome of the Korean daytime wor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as they got older, they had less education level and smoking more, increasing number of health promotion practice behavior were decrease the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Effective appropriate lifestyle intervention were considered to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daytime workers with the metabolic syndrome for low-cost and effici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