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Improving of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using the Project-based Task

프로젝트 수행 활동을 통한 영재들의 창의성 신장에 대한 연구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odel for the gifted,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them in middle schools. Subjects were 126 gifted students, who were the 7th or 8th graders and have been taught in gifted classes of the adjacent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of Boryeong Education Districts, Chungnam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Divisions of gifted Classes were logical reasoning, mathematics, foreign language, science. After the instruction of project-based task, gifted students had improved creativity. Especially, instruction using project-based task was more effective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Most gifte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instruction using project-based task, and attractive in it.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instruction using project-based task should be actively used for the gifted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교 영재학급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재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이의 적용을 통해 창의성 신장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남교육청 지정 보령영재교육원 영재학급 학생 129명이다. 영재학급 학생들은 7학년과 8학년 학생으로 논리사고 분야, 과학분야, 수리분야, 외국어 분야로 구분하여 교육하였다. 영재교육 자료는 프로젝트 수행 활동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프로젝트 수행 활동 수업은 영재들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학분야의 경우 정교성, 유창성, 독창성 등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영재들과 교사들 모두 체험중심의 프로젝트 수행 활동 수업에 대해 큰 만족감과 흥미를 나타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의 수행 중심의 프로그램은 영재교육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현, 왕경순, 이경화, 이은화 (1999).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서울: 학지사
  2. 갬재은 (1993). 창의적인 인물들: 성격. 심리. 발달. 서울: 창지사
  3. 김종순 (2001).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의 문제 해결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11(2). 1-21
  4. 김흥원, 김명숙, 송상헌 (1996). 수학영재 판별도구 개발연구(I). 연구보고 CR96-26. 한국교육개발원
  5. 명서중학교 (2004). 자기 주도적 학습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영재성 신장 방안, 경상남도교육청 지정 영재 교육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6. 박성익, 조석희, 김흥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7. 박지연 (2006). 인반아동. 수학영재. 그리고 과학영재의 창의성 비교.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8. 손충기, 김명철(2007). 초. 중학생 창의성 영재 선발 검사에 나타난 창의성 요인별 특성 연구. 영재교육연구. 11(2). 307-337
  9. 서혜애 (2004).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영재교육의 방향. 영재교육연구. 14(1). 65-89
  10. 신방학중학교 (2002). 자기주도적 학습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영재 학급 운영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영재교육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11. 신세호 (1988). 영재교육. 서울: 박영사
  12. 심규철, 김현섭, 김여상, 최선영 (2004). 생물 분야 과학영재들의 학습 양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267-275
  13. 심규철, 소금현, 육근철 (2007). 프로젝트 기반의 과제 수향을 통한 초등학생의 창의력 신장 방안 모색.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1). 61-69
  14. 심규철, 소금현, 장남기, 김현섭 (2001).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 1. 영재와 일반 학생의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22-134
  15. 용동중학교 (2003). 방과후 영재학급 운영을 통한 중학교 영재교육 실시 방안. 경기도교육청 지정 영재교육 시범학교 운영 보고서
  16. 육근철, 이군현, 박정옥, 김명환, 하종덕 (1998).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 경연대회 평가 연구. 영재교육연구. 8(2). 31-67
  17. 임선하 (1993). 창의성에의 초대. 서울: 교보문구
  18. 임희준 (1999).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137-145
  19. 전경원 (1998). 교사를 위한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 서울: 창지사
  20. 전북과하가고등학교 (2005). 과학영재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통합교과적 교수. 학습 자료 개발 적용. 전라북도 교육청 지정 과학영재교육 연구 학교 운영보고서
  21. 조석희, 오영주 (1997). 영재 교육 정책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2. 조한국, 한기순, 박인호 (2001). 프로젝트형 탐구학습을 통한 영재들의 과학하기. 영재교육연구. 11(3). 23-44
  23. 주례여자고등학교 (2002). 일반계 고등학교의 영재학급 운영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영재교육 연구학교 운영 보고서
  24. 최송림 (1998). 프로젝트 접근법이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과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25. 충남과학고등학교 (2005). 사사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과학영재의 창의력 신장. 충청남도교육청 지정 영재교육 시범학교 운영보고서
  26. 한국교육개발원 (1996).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한구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27. 한종하 (1987). 과학영재교육론. 서울: 학연사
  28. Davis, S. M., Meyer, C., & Davis, S. (1999). Blur. New York: Warner Books
  29. Feldhusen, J. F. & Treffinger, D. (1980).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in gifted education, Dubuque. LA: Kendall/Hunt Publishing
  30. Guildford, J. P. (1967). The nature of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31. Qin, Z., Johnson, D. W. & Johnson, R. T. (1995). Cooperative versus competitive efforts and problem solv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2). 129-143 https://doi.org/10.3102/00346543065002129
  32. Renzulli, J. S. (1977). The enrichment trial model: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Creative Learning Press, USA
  33. Salvin, R. E. (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4. Torrance, E. P. (1992). A national climate for creativity and invention. Gifted Children Today, 15. 10-14
  35. Trefz, R. (1996). Maximizing your classroom time for authentic science: Differentiating science curriculum for the gifted. ED 400 188. Paper presented at the Global Summit on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San Francisco, CA
  36. Webb, N. M. (1982). 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in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3). 421-445 https://doi.org/10.3102/00346543052003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