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evaluation for Evalu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 Published : 2008.08.30

Abstract

The research attempted to propose directions for improving evalu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through its meta-evaluation.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responded by 25 representatives of 25 science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9 evaluation committee members in February 2008.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reference-criteria and categories for evaluation were abstract and did not reflect varie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nstitutions. Evaluation of outcomes mainly emphasized student number admitted by science high schools and science gifted school.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the sake of judging ranks. In addition, research capacity of institutions was not even considered as an evaluation element. For its improvement,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First, evaluation should be functioned as consulting. Second, evaluation criteria are presented as concrete as it can be. Third, on-site evaluation should be introduced Fourth, evaluation process and results should be publicized Fifth, satisfaction by student and parents should be also included. Furthermore, exemplary cases of science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identified and rewarded, and their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be disseminated with other institutions.

본 연구는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평가에 대한 메타평가를 통해 평가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8년 2월 전국 25개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관계자 및 평가위원 9명의 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평가는 총괄기능을 강조하여 획일적 평가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먼저 평가준거 및 평가요소는 구체적이지 않으며, 평가준거는 평가대상 기관의 설립연도, 지역인프라 등을 고려치 않으며, 과학고/영재학교 진학률이나 경시대회 수상실적으로 성과를 평가하는 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평가대상 기관의 연구역량을 평가하지 않았다. 평가위원의 전문성 부족과 평가기간이 너무 짧은 점, 순위를 결정하는 판단을 위한 평가, 평가결과와는 별개로 제시된 개선방향의 불명확성 등이 문제점이었다. 현행 평가의 개선안으로 컨설팅 평가 기능을 강화하며, 과학적 평가기획과 구체적 평가준거를 제시하고, 현장방문평가를 도입하며, 평가결과 및 평가과정이 공개피고 학생과 학부모 만족도를 평가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나아가 우수 운영사례를 발굴, 파급하고 과학영재교육원 별 자체적 특성과 성과에 따른 평가지표로 평가받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부.한국과학재단 (2007). 2007 과학영재인력양성사업 Data Book. 서울: 과학기술부.한국과학재단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새 정부의 영재교육 정책방향과 현안: 과학영재교육을 중심으로. 2008. 5. 웹페이지 참조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영재교육 기본 동계 보도자료 2007.7.12. 웹페이지 참조
  4. 김순남 (2000). 대학평가의 메타평가 준거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24(2). 371-402
  5. 배호순 (1994). 프로그램평가론. 원미사
  6. 서혜애, 조석희, 이은아, 한석실, 윤초희 (2003). 영재교육기관 평가체제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2003-2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 서혜애, 조석희, 김순남, 유길한 (2004). 영재교육기관 평가 모형 현장 평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2004-42.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이광형, 정현철, 심재영 (2007). 전주기적 과학영재발굴.육성제계혁신방안. 2007.01. 서울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9. 이기종, 김기완, 김현민, 권명화, 김진용 (2006). 과학영재교육 성과측정 지표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 서울: 한국과학재단
  10. 최돈형, 강완, 손연아, 전영석 (2001). 과학영재교육센터 운영 및 평가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2001-2.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4). 2004년도 대학종합평가인정제 시행을 위한 대학 종합평가 편람. 서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2. Chelimsky, E. (1985) Old patterns and new directions in program evaluatiom, In E. Chelimsky(Ed). Program Bvaluation: patterns and Directions, pp.1-35, Washington, DC: The American Society for Publie Administration
  13. Cook, T. D., & Gruder, C. L. (1978). Metaevaluation research. Bvaluation Quarterly, 2(1). 5-55 https://doi.org/10.1177/0193841X7800200101
  14. Larson, R., & Berliner, L. (1983). On evaluating evaluations. Pobicy Sciences, 16(2). 147-163 https://doi.org/10.1007/BF00138348
  15. Sanders, J. (1994). The program evaluation standards. London: Sage Pub
  16. Stufflebeam, D., Madam, G., & Kellaghan, T. (2000). Bvaluation models (2nd ed.). Boston, MA: Kluwer Academic Pub
  17. The Joint Committee on Standards for Educational Evaluation. (1994). The program evaluation standar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