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우회교통량 추정방법론에 관한 연구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Diversion Flows on Expressways

  • 최윤혁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교통연구팀) ;
  • 최기주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교통공학)
  • 발행 : 2008.02.28

초록

VMS에 의한 혼잡구간에서의 교통량 분산은 지체감소 및 혼잡완화효과가 크다. 이에 효율적인 교통정보제공 및 VMS 운영전략 수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효율적인 VMS 운영전략 수립의 기초는 제공메시지에 대한 운전자의 반응, 즉 우회율을 기반으로 하나, 실제 조사가 어려워 SP 혹은 컴퓨터를 이용한 간접적인 조사가 시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조사된 우회율이 실제 우회율과 같은지, 만약 다르다면 보다 쉽게 우회율을 추정하는 방법은 없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새로운 대안으로서 고속도로에서 영업소 출구차량 우회설문조사를 통해 조사된 출구차량 우회교통량을 FTMS 교통량과 비교하여 본선 우회율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법론의 검증을 위해 총 8개 지점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 문헌의 SP 조사결과와 같이 21%${\sim}$87%의 높은 우회율이 아닌, 평균 약 7%의 우회율을 보여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향후 교통정보제공시 이를 충분히 반영한 정보제공전략이 검토/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VMS based dispersion of traffic flows enables to decrease delay and congestion. Such being the case,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s in VMS operation strategy. The strategy is based on driver's behavior or diversion rate. However, it was not easy to obtain each in practice. The diversion rate, thus far, was investigated by stated preference analysis or simulators. As an alternative, in this paper, a new method to obtain diversion flow rate was suggested using the toll collection system and free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data. A large gap of diversion rate between stated preference analysis and field survey was observed. Out of surveyed 8 tollgate data, the diversion rate was about 7% and was quite lower compared with that of 21%${\sim}$87% from stated preference analysis or simulators. With this at hand, a more careful information provision strategy should be devised and employed to correctly account this kind of differ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규.정철훈(1999),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관리를 위한 가변전광판 정보 제공 방안 평가,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91-102
  2. 권 혁.이승재.신성휘(2004), 베이지안 게임이론에 근거한 전략적 VMS 제공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7호, 대한교통학회, pp.71-78
  3. 김숙희.최기주.유정훈(2006), VMS 실시간 운영전략 구축을 위한 운전자 경로선택모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26 No.3D, 대한토목학회
  4. 김혜란.전경수.박창호(2004), 관측 교통정보를 이용한 통행중 경로전환행태 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137-144
  5. 박은미(2002), VMS 자동제어 알고리즘 설계,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7호, 대한교통학회, pp.177-183
  6. 박은미(2004), VMS의 과도반응과 통행집중 문제를 고려한 예측적인 운영전략,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07-116
  7. 백남철.김병관.이상협(2006), Bi-Level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최적의 VMS 통행시간 정보제공 전략,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26 No.4D, 대한토목학회, pp.559-564
  8. 이상훈.김성환(2003), 퍼지 비가법 제어를 이용한 도시 교통망의 경로 탐색,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03-113
  9. 이준.정진혁(2007), 이용자 대안노선을 고려한 가변정보표지판(VMS)의 정보표출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27 No.6D, 대한토목학회, pp.691-696
  10. 이 준.임강원.이영인.임용택(2004), 동적 경로안내전략수행을 위한 다계층 통행배정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7호, 대한교통학회, pp.91-98
  11. 이창우.정진혁(2006), 운전자 행태를 고려한 VMS의 실시간 경로안내 정보제공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7호, 대한교통학회, pp.65-79
  12. 이청원.권병철.고승영(2002), ATIS 환경하에서 운전자경로선택 분석 시뮬레이터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83-191
  13. 임용택(2004), 일반가로망에서 교통정보제공을 위한 n-path 알고리듬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35-146
  14. 장정아.문병섭.최기주(2005), 고속도로에서의 우회(국도)교통정보 제공에 따른 경로전화효과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35권 2D호, 대한토목학회
  15. 정영근.박창호(2005), 퍼지 추론을 이용한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8호, 대한교통학회, pp.171-179
  16. 조준한.김성호.최재원(2003), 도시고속도로 VMS 운영전략 및 알고리즘 개발, 대한토목학회 2003년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17. 최기주.장정아.김성현.김종식(2004), VMS 우회정보 제공에 따른 우회율 분석(국도3호선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4권 6D호, 대한토목학회
  18. 최기주.장정아(2004), 게임이론에 기반한 VMS 운영모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24 No.2D, 대한토목학회, pp.155-165
  19. 최병국.김갑수.석종수(2004), 인터넷 기반의 경로선택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운전자 행태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4권 1D호, 대한토목학회
  20. 최윤혁.최기주.오승훈(2007), 운전자 경로전환 의사결정에 작용하는 정보이용매체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27 No.6D, 대한토목학회, pp.705-712
  21. Chanyoung Lee, Keechoo Choi, Soobeom Lee(2004), Evaluation of Driver's Responses to ATIS: A Practical VMS based Analysi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8 No.2
  22. Bernard-Gely(1998). A., Building on a data foundation, Traffic Technology International
  23. Khattak, A. J., Koppelman, F. S., Schpfer, J. L.(1993), Stated preferences for investigating commuter's diversion propensity, Transportation Research A, Vol.20
  24. Kraan Mariette, Zijpp Nanne van der, Tutert Bas Vonk, Tanja Megen Dorry van(1999), Evaluating Networkwide Effects of Variable Message Sign in the Netherlands, Transpor- tation Research Record 1689
  25. M. Wardman, P. W. Bonsall and J. D. Shires (1997), Driver response to Variable Message Sign; a stated preference investig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C, Vol.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