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의 활동에서 본 쓰시마시의 지역 활성화 정책: 아리랑 축제를 사례로

Th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by Public-Private Activities: A Case Study of the Tsushima Arirang Festival, Tsushima, Nagasaki Province, Japan

  • 발행 : 2008.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쓰시마시의 아리랑 축제를 사례로, 쓰시마시는 어떠한 과정을 거천 아리랑 축제를 한국인을 겨냥한 장소마케팅의 수단으로 이용해 왔는지, 아리랑 축제의 역사를 통한 민과 관의 활동에 착안하여 고찰하였다. 쓰시마시는 기존의 축제에 조선통신사 행렬과 아리랑 축제의 타이틀을 추가함으로써, 한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려고 노력하여 왔으나, 독도문제 등으로 인한 일부 주민들의 항의에 부딪혔다. 이에 시는 협의회를 거쳐, 지역 활성화를 위해 축제를 중지할 필요는 없지만, 2007년부터는 아리랑 축제를 서브타이틀로 사용할 것에 합의하였다. 이처럼 지역주민들은 때로는 아리랑 축제의 개최를 둘러싸고 관과 첨예하게 의견대립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지만, 한편으로 그들은 축제의 운영에서 프로그램의 공연에 이르기까지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있어, 쓰시마시의 아리랑 축제는 지역주민의 아이덴티티에 기초한 그들의 축제이면서 동시에 장소마케팅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그 과정은 민과 관이 함께 만들어 가는 지역 만들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Tsushima has used the Arirang festival as a place marketing apparently targeting at Korean tourists, which has been historically achieved at the Arirang festival though public-private activities. Tsushima has tried to advertise Tsushima city to Korean tourists, with methods including the 'Chosen Agency Parade' and the title of the Arirang festival, but due to the Dokdo problem, the people of Tsushima objected to holding the Arirang festival. Therefore, Tsushima city had a meeting to solve it, and it was agreed that they need not stop the festival nor change of the title of the Arirang festival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but instead they decided that the title of Arirang festival is to be used as a subtitle from 2007. By deciding this, The residents of Tsushima are sometimes against the opinion of Tsushima government, but they have eagerly participated in everyth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festival to the performances themselves. In this sense, it is thought that the Arirang festival is utilized as a local identity and also a place marketing, and the process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is organized by public-private actors together.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숙희, 1999,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사의 경제적 효과: 단양온달문화축제의 분석,' 한국행정학보, 33(2), 199-215
  2. 김양주, 1998, '축제, 민주주의, 지역 활성화-축제의 사회이론과 세계의 축제: 일본의 마츠리 와 지역 활성화,'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98년도 학술대회 자료집, 45-73
  3. 김일림, 2003, '대마도의 문화와 문화경관,' 한국사진지리학회 사진지리, 13, 91-103
  4. 유종현, 2008, 대마도 역사문화 기행, 화산문화, 서울
  5. 이정록.안종현, 2004, '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곡성심청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3), 642-653
  6. 이훈, 2005, 대마도 역사를 따라 걷다, 역사공간, 서울
  7. 추명희, 2002, '역사적 인물을 이용한 지역의 상징성과 정체성 형성 전략: 영암 구림리의 도기 문화마을 만들기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3), 326-346
  8. 추명희, 2003, '지역축제를 이용한 지역상징의 문화적 재구성과 정체성: 장성군 홍길동 축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4), 576-591
  9. ア一リ, J., 著, 吉原直樹.大澤善監譯, 2003, 場所を消費する, 法政大學出版局. Urry, J., 1995, Consuming Places, Routledge, London
  10. 安藤直子, 2003, '地域文化の商品化と地域振興:盛岡市の祭りを事例として,' 日本民俗學, 236, 109-118
  11. 安藤直子, 2002, '地方都市における觀光化に伴う祭禮群の再編成:盛岡市の六つの祭禮の意味付けをめぐる葛藤とその解消,' 日本民俗學, 231, 1-31
  12. 嚴原町, 2004, 町報いづはら縮刷叛第二卷
  13. 嚴原町, 2004, 町報いづはら縮刷叛第三卷
  14. 加原奈穗子, 2003, '地域アイデンティティ一創出の核としての桃太郞:岡山における桃太 說の事例から,' 日本民俗學, 236, 109-118
  15. 川森博伺, 2003, '傳統文化産業とフォ一クロリズム:岩手県遠野市の場合,' 日本民俗學, 236, 103-108
  16. 九州大學文學部地理學硏究室, 2004, 對馬地域調査報告
  17. 申英根, 2008, '地域活性化政策による地域祭りの利用とその變容:大韓民國江原道春川市の 春川マイム祭りを事例として,' 地理學評論, 81(6), 491-505
  18. 親和經濟文化硏究所, 2007, Research and Information (72), 1-28
  19. 總務廳, 國勢調査報告1960-2005
  20. 長崎新聞社, 1984, 長崎県大百科事典
  21. 日本イベント産業振興協會, 1993, イベント.イノベ一ション - イベント白書 93
  22. 古田充宏, 1990, '都市近郊農村の混在化に關する社會地理學的硏究:舊島市近郊の一集落を事例として,' 人文地理, 42(6), 21-39
  23. 太田好信, 1993, '文化の客体化: 觀光をとおした文化とアイデンティティ一の創造,' 民俗學硏究, 57(4), 383-410
  24. 八木康幸, 1994, 'ふるさとの太鼓:長崎県における鄕土芸能の創出と地域文化のゆくえ,' 人文地理, 46(6), 23-45
  25. 對馬市役所, http://www.city.tsushima.nagasaki.jp/index.php/
  26. 對馬釜山事務所, http://www.tsushima-busan.or.kr/
  27. Atkinson, D., Cooke, S., and Spooner, D., 2002, Tales from the riverbank: place-marketing and maritime herit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8(1), 25-40 https://doi.org/10.1080/13527250220119910
  28. Kearns, G. and Philo, C., 1993, Selling Places: The City as Cultural Capital-Past and Present, Pergamon Press, London
  29. Hobsbawm, E. and Ranger, T., 1983, The invention of Tradition, Cambridge Univ
  30. Mitchell, D., 2000, Cultural Geography a Critical Introduction, Blackwell, Oxf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