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3학년 수학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low-Basic Students in the Grade 3 National Diagnostic Assessment of Basic Competency

  • Ko, Jung-Hw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발행 : 2008.08.31

초록

기초학력의 부진은 교과 학습 및 사회생활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2002년부터 실시된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력 진단평가'와 '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제', 보정교육 자료 개발 등 교육의 복지를 실현하고자 일련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목적은 학습 결손 원인에 대한 정보 및 개인적 정보를 수집하여 이들을 지도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담기간 축적된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 나타난 미도달 학생들이 특징을 분석하였다. 미도달 학생들은 문항에 포함된 수치적 특징, 받아올림/내림의 여부, 문항의 배치 및 진술 방식, 정보 제시 방식, 개념의 전형적인 예, 친숙도, 일상생활에서의 사용 빈도 등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도달 학생들의 지도 및 보정교육 자료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이다.

A poor achievement of basic competency leads to obstacles of the same subject and other subjects from a series of accumulative losses and social life. The Grade 3 National Diagnostic Assessment of Basic Competency (NDAHC) dated from 2002, Teaching Plan Responsible to Basic Competency and compensational education materials for students of the below-basic level has marked a line in the chain of policy to realize educational welfare. The goal of NDABC is to collect information of the reason with regard to learning deficiency and individual student's information, and ultimately teach them on the basis of those inform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below-basic students in the basic mathematics with data from NDABC from 2003 to 2007. Students of the below-basic level were affected in achievement by numerical distinction, regrouping, arrangement and descriptive form of item, information-providing way, typical example, familiarity, frequency in use in daily life etc. This study provides a basic important information with regard to teaching below-basic students and suggestions with compensational education materials for th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