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재생계획 평가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의 설문조사내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Valuation Factor in Urban Regeneration Plan -Focused on he Questionnair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 발행 : 2008.10.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adapt the Valuation Factor of urban regeneration scientifically and synthetically, which is the basis of developing a rational plan for urban revitalization. For this, we have selected 37 factors relating to urban regeneration as outlined in preceding studies and inquiry about importance of factors. we analysed he Valuation factors influencing he importance of urban revitaliz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was completed by inhabitants and expert group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rom he results of he Factor analysis using SPSSWIN(VER.14.0),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importance of urban regeneration are Environment, Function, Resources and Policy Factors. Environment Factor comprises amenity, culture, beauty and convenience, The while the Function Factor comprises interchange, information, complexity and security. This classification has credibility because of the high factor loading through the Varimax Factor Analysis and is due to a high Cronbach's coefficien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classified factor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Finally, through AMOS (Analysis of Moment Structure) 16.0 it was found that the upper classification is credible because main suitability index confirms recommending an admission standar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동진(2007), 미국 지방도시의 역사적 중심가로 재활성화 방법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2(4), 75-94
  2. 계기석.김형진(2003), 지방대도시 도심의 기능 활성화 및 쾌적성 제고 방안, 국토연구원
  3. 광주광역시(2006), 2010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4. 국토해양부(2007), 도시재생 정책방향 및 추진방향, 도시재생사업단, 대한주택공사
  5. 국토해양부(2008), 더불어 사는 사회, 회생되는 주거공동체, 강화되는 도시경쟁력, 대한국토학회,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한국주거학회
  6. 김계수(2007), Amos 7.0 구조방정식 모형, 한나래 출판사, 113-137, 346-385
  7. 김광우(2002), 중심시가지 활성화-미.영.독의 18개 도시사례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8. 김대업(2008), AMOS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학현사, 34-52
  9. 김영환.최정우.오덕성(2002), 성장관리형 도심재생의 개념 및 계획요소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논문집, 399-412
  10. 김홍석.김범철.김유리(2005), 환경친화도시의 구성요소 중요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논문집, 1007-1016
  11.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2008), 21세기의 도시성장과 도시재생 국제세미나, 국토해양부
  12. 박수빈(2006), 지능형 주거 디자인을 위한 거주자 주 요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2), 83-94
  13. 배병렬(2007), Amos 7.0에 의한 구조방정식모델링, 도서출판 청람, 189-193
  14. 송지준(2008),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44-290
  15. 송태갑(2005), 광주시 정주환경에 대한 만족도 분석, 전남발전연구원
  16. 서의훈(2007), SPSS 12.0 한글판을 이용한 SPSS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233-247
  17. 성태제(2008),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335-336
  18. 신남수(1986), 물리적 계획의 형성적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박사학위논문
  19. 신중진.김태엽.남용훈(2004), 일본의 기성시가지 재생을 위한 공간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논문집, 211-222
  20. 안정근.이재희(2008),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주거 형제2종 지구단위 계획의 계획기준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1), 43-59
  21. 오덕성.염인섭(2004), 기존도심 활성화사업의 기초적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5), 135-144
  22. 유완.남해진.이주연.오선영(2003), 도심공동화와 도심으로의 이주의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논문집, 333-34
  23. 이만형.석혜준.이종근(2007), 도시공간구조분석을 통한 도심활성화방안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논문집, 257-264
  24. 이상준.이무용.이향란.김종만(2007), 중소도시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심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논문집, 228-238
  25. 이학식.임지훈(2008), 구조방정식모형분석과 AMOS 7.0, 법문사, 35-39
  26. 임양빈(2006), 국내 도심재생사업 및 관련제도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12), 231-238
  27. 정금호(2006), 여수시사택거주자에 대한 주거평가요소의 만 족도와 중요도-성취도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5), 49-56
  28. 정성원.장희명(2007), 기성시가지활성화 방안에 대한 사 용자 인식에 관한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논문집, 256-266
  29. 정재용.이주영(2007), 도심재생을 통한 현대 공공공간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논문집, 225-238
  30. 하재명.강민정.김주현(2008), 도심재생을 위한 상업지 역의 노후도 평가지표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2), 227-234
  31. 한국주거학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2008), 도시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국제심포지엄, 국토해양부
  32. 都市硏究會(2003), 都市再生フロヅェクトと都市再生施策の 現狀, エクスナレシヅ, 19-31
  33. 長尾秀樹(2003), 關西圈の都市再生と主要フロヅェクト動向, 日本政策投資銀行, 64-74
  34. Nobuaki FURUYA (2006), Hyper Complex Community Space in Japan WASEDA University, Tok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