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한 멀티레이어 데이터베이스 개념

A Concept of Multi-Layered Database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Bridges

  • 김봉근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이진훈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이상호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발행 : 2007.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량정보의 통합 운용을 지원하기 위해 멀티레이어 데이터베이스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멀티레이어 데이터베이스란 표준화된 정보 레이어로 이루어진 논리적으로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표준화된 정보 레이어는 한 부류로 구분할 수 있는 데이터 집합을 나타내며, 정보모델에 의해 정의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량의 멀티레이어 데이터베이스 개념은 구조요소의 분류를 나타내는 정보체계를 기반으로 하며, 구조요소의 분류체계에 따른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여러 정보계층에 분포된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하였다. 또한 멀티레이어 데이터베이스 프레임워크의 한 축으로서 데이터 레벨을 설정하였다. 데이터 레벨은 정보계층에 포함된 데이터들의 재활용성에 따른 중요도를 의미하며, 이에 따라 정보모델의 세분화되는 정도를 정의하여 방대한 양의 교량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수립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시된 개념의 검증을 위해 객체지향개념의 3-D 형상정보 계층과 구조계산서 정보계층으로 이루어진 시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두 계층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의 일치여부를 자동으로 검토하는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멀티레이어 데이터베이스 개념이 교량정보를 관리하는데 있어 정보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음을 보였다.

A concept of multi-layered database is proposed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of bridge information in this study. The multi-layered database is a logically integrated database composed of standardized information layers. The standardized information layers represent the data sets that can be unified, and they are defined by standardized information models. Classification system of bridge component was used as a basis of the multi-layered database, and code system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employed as a key integrator to manipulate the distributed data located on the different information layers. In addition, data level indicating priorities of information layers was defined to support strategic planning of the multi-layered database construction. As a proof of concept, a prototype of multi-layered database for object-oriented 3-D shape information and structural calculation document was built. Data consistency check of the semantically same data in the two different information layer was demonstrate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concept can assure the integrity and consistency of information in the bridge information manag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6a) 건설정보분류체계 적용기준 (건설교통부 공고 제2006-281호), 건설교통부. p.59
  2. 건설교통부(2006b) 도로 및 하천공사의 설계. 준공도서 전자 납품 편람, 건설교통부. p.90
  3. 김봉근, 정연석 , 김동현, 이상호(2006) XML 스키마 매칭 기법 을 이용한 구조설계 문서 구조 표준화 방법론,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6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19(1). pp.200-207
  4. 김치경, 홍성목(2001) 객체-관계형 구조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모델링과 구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7(2). pp.3-12
  5. 이상호, 정연석 (2004) 강교량 설계정보 표현을 위한 데이터모델 개발,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17(2). pp.105-117
  6. 이상호, 정연석 , 김봉근(2005) ACIS 솔리드 모델러 기반의 CAD 시스템을 이용한 강교량 정보의 공유체계,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5(4A). pp.677-687
  7. 이상호, 정연석, 김봉근(2006) 교량 유지관리 지원을 위한 CAD/CAE 정보와 엔지니어링 문서정보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한국CAD/CAM학회논문집. 11(3). pp.183-196
  8. 이재철, 김영민, 김치경, 홍성목(1999) 구조설계 통합시스템을 위한 관점/계층 기반 데이터 모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5(3). pp.47-54
  9. 이재철, 김치경, 홍성목(2000) 구조설계정보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객체 모델의 설계의 활용,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6(2), pp.65-72
  10.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2004) 설계도서 등의 사본작성 및 관리지침,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p.19
  11. 한국표준협회(2005) KS F ISO 12006-2: 건설-건출 공사 관련 정보의 조직-제2부: 정보분류체계, 한국표준협회, p.20
  12. Chen, P.H., Cui, L., Wan, C., Yang, Q., Ting, S.K., Tiong, R.L.K. (2005) Implementation of IFC-based web server for collaborative building design between architectures and structural engineers, Automation in Construction, 14(1), pp.115-128 https://doi.org/10.1016/j.autcon.2004.08.013
  13. Faraj, I., Alshawi, M., Aouad, G., Child, T., Underwood, J.(2000) An industry foundation classes Web-based collaborative construction computer environment: WISPER. Automation in Construction, 10(1), pp.79-99 https://doi.org/10.1016/S0926-5805(99)00038-2
  14. Lebegue, E.(200S) IFC-BRIDGE V2 Data Model Edition R2, International Alliance for Interoperability, p.34
  15. Lee, S-H., Jeong, Y-S.(2002) Step-Bases Database for Information Management of Steel Bridge, Proceeding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Bridge and Structural Engineering (IABSE) Symposium, Abstract pp.74-75. (CD-Rom paper, 8 pages)
  16. Lee, S-H., Jeong, Y-S.(2006a) A system integration framework through development of ISO 10303-based product model for steel bridges, Automation in Construction, 15(2), pp.212-228 https://doi.org/10.1016/j.autcon.2005.05.004
  17. Lee, S-H., Kim, B-G., Kim, D-H., Jeong, Y-S. (2006b) Development of standardized semantic model for structural calculation documents of bridges and XML Schema matching technique,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ridge Maintenance Safety and Management, Life-Cycle Performance and Cost, pp.633-634. (CD Rom paper P-228, 8 pages)
  18. Sanvido, V.E., Medeiros, D.J.(1990) Applying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oncepts to construc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16(2), pp.368-379
  19. Tatum, C.B.(1990) Integration: emerging management challenge,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6(1), pp.47-58 https://doi.org/10.1061/(ASCE)9742-597X(1990)6:1(47)
  20. Teicholz, P., Fischer, M.(1994) Strategy for 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technolog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0(1). pp.117-131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4)120:1(117)
  21. Wright, R.N. (1988) 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IABSE Proceedings P-123/88. pp.17-25
  22. Yabuki, N., Shitani, T.(2003) An IFC-based product model for RC or PC slab bridges, The 20th CIB W78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pp.463-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