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량정보

Search Result 348,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LOD Application for Linking Bridge Information Model into GIS (교량정보모델과 GIS의 연계를 위한 LOD 적용 방안)

  • An, Hyun-Jung;Park, Sang-Il;Kim, Hyo-Ji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356-35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3차원 형상기반 표준정보모델을, 현실 세계와 유사한 3차원 가상공간에 표현함으로써 실제 공간에 대해 보다 정확한 분석을 수행 할 수 있도록 교량정보모델과 3차원 지리정보체계를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량의 표준정보모델은 기존에 개발된 STEP 기반의 교량정보모델을 활용하였으며, 3차원 지리정보체계는 지리정보상에 3차원 도시객체를 표현하기 위한 표준데이터모델인 CityGML를 활용하였다. 교량정보모델을 GIS와 연계하기 위한 핵심 요소인 교량구조물의 형상표현 LOD(Level of Detail)는 CityGML의 가이드라인을 준용하여 교량구조물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구성하였다. 즉, 빌딩구조물 위주로 정의되어진 기존의 CityGML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총 5단계의 교량구조물의 LOD를 작성하여 각 단계별로 지리정보 상에 교량 형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LOD를 정의하였다. 또한, 두 모델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계하기 위하여 기존의 STEP 기반 교량정보모델을 활용하여, GIS의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구성하였다.

  • PDF

XML Translation of Structural Calculation Document and Information Retrieval in 3-D View of Bridge Information Model (교량 구조계산서 XML 문서변환 및 3차원 모델에서의 문서정보 검색)

  • Kim, Bong-Geun;Park, Ang-Il;Kim, Se-Jin;Eom, In-Soo;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75-378
    • /
    • 2010
  • 본 논문은 엔지니어링 문서정보를 준구조화된 XML 문서로 변환하고 이를 3차원 교량 모델과 연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구조계산서의 세부 목차에 따른 문서구조를 추출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3차원 교량모델을 구성하는 각 부재와 매핑되는 구조계산서 문서의 일부를 프로그램 상에서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모듈을 개발하였다. 또한 3차원 교량모델의 정보를 운영하기 위해 IFC 기반의 교량정보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정보모델은 교량요소들의 논리적 구성체계를 공간적 요소, 물리적 요소 및 그룹 요소별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같이 개발된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교량모델 뷰어에서 구조계산서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시범 툴을 개발하였으며, 4개의 단위 교량으로 구성된 복합형식의 교량에 대한 3차원 모델을 구축하고 각 교량에 대한 구조계산서 또한 XML 문서로 변환하였다. 이와 같이 구축된 두 정보체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구성요소에 관한 세부 문서정보의 조회가 가능함을 보임으로써 제시된 방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Concept of Multi-Layered Database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Bridges (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한 멀티레이어 데이터베이스 개념)

  • Kim, Bong-Geun;Yi, Jin-Hoon;Lee, Sang-H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0 no.3
    • /
    • pp.393-404
    • /
    • 2007
  • A concept of multi-layered database is proposed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of bridge information in this study. The multi-layered database is a logically integrated database composed of standardized information layers. The standardized information layers represent the data sets that can be unified, and they are defined by standardized information models. Classification system of bridge component was used as a basis of the multi-layered database, and code system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employed as a key integrator to manipulate the distributed data located on the different information layers. In addition, data level indicating priorities of information layers was defined to support strategic planning of the multi-layered database construction. As a proof of concept, a prototype of multi-layered database for object-oriented 3-D shape information and structural calculation document was built. Data consistency check of the semantically same data in the two different information layer was demonstrate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concept can assure the integrity and consistency of information in the bridge information management.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Safety Bridge(ISB) Pole System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s (USN 기반의 지능형 안전 교량 Pole 시스템 개발)

  • Jung, Ji-Eun;Kim, Eun-Ji;Song, By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424-427
    • /
    • 2010
  • 2006년 서해대교 추돌사고에서 볼 수 있듯이, 장대교량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경우에는 육로와의 접근성 문제 등으로 인하여 보다 철저한 이용자 안전에 대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장대교량을 이용하는 차량과 사람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교량의 노면 상태, 기상 상황, 사고 발생 상황 등과 같은 다양한 위험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여 교량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관리 할 수 있는 ISB(Intelligent Safety Bridge) Pole 시스템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ISB Pole 시스템은 교량 안전을 위하여 가장 우선시되는 u-Safety 센서와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이중화 통신구조를 지닌 게이트웨이를 Pole에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교량의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 한다. 뿐만 아니라, 수집된 정보를 통해 교량 안전관리자가 손쉽게 사고 및 위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교량의 각 구간에 위험지수를 표시할 수 있는 u-Safety 복합안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와같은 ISB Pole 시스템은 실제 교량에 다양한 현장실험을 진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고, 인터페이스를 단일화하여 교량의다른 IT 시설물과도 통합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 교량의 안전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LOD Definition and Requirement Analysis for Bridge Information Model Delivery (성과납품을 위한 교량정보모델의 상세수준 정의 및 요구항목 분석)

  • Park, Kun-Young;Park, Sang-Il;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235-23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필요한 수준의 성과품 납품을 위해 교량정보모델의 상세수준을 분류하고 각 상세수준에서 요구되는 세부정보를 분석하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교량 설계 업무가 단계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마다 성과품을 납품하도록 규정 되어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의 교량 설계준공단계 성과품 납품 항목 중 교량정보모델에 요구되는 항목을 분류하였으며 분류한 요구항목에 맞춰 3D객체와 속성정보수준을 정하여 업무 프로세스 단계별 상세수준을 정의하였다. 또한, 정의한 상세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각 상세수준에서 포함하도록 요구되는 세부정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된 세부요구정보는 성과품 납품에 활용가능하다.

  • PDF

Augmented Reality Based Bridge Information System using Smart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교량 정보 시스템)

  • Bae, Sung-Han;Lee, Gi-Yeol;Lee, Hwa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97-100
    • /
    • 2012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기술은 가상의 정보와 현실의 배경을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로, 현재 많은 분야에서 이 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건설 산업은 복잡한 설계와 시설물을 기반으로 모든 업무가 행해지는 특징으로 인해 증강현실 기술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증강현실 기술은 현재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구현되어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술을 통하여 교량의 내/외적인 정보들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 교량 정보 시스템을 제안한다. 교량 정보 시스템은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교량의 내/외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성능평가 기능을 통해 교량에 대한 유지보수를 원활히 할 수 있다.

Development of a Bridge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GIS (GIS를 이용한 교량재해관리시스템 개발)

  • Ahn, Ki-Won;Yoo, Hwan-Hee;Choi, Yun-Soo;Shin, Sok-Hy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7 no.2 s.14
    • /
    • pp.69-8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ridge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safety control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The constructed database includes several graphic layers such as basemap, road, bridge location, etc. and has related text attributes for 32 bridges and its facilities in Chinju City. Using the language of Visual Basic 5.0, personal computer based Bridge Disaster Management System which has several functions for bridge safety analysi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GIS based Bridge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s the functions of fast and efficient data searching, file management, searching and management of bridge characteristics, bridge related map viewing, searching and management of traffic survey, bridge inspection and repair work results, and evaluating the bridge safety grades, etc..

  • PDF

Database Architecture of Augmented Reality Based Bridge Information System using Smart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교량 정보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설계)

  • Bae, Sung-Han;Lee, Gi-Yeol;Lee, Hwa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810-813
    • /
    • 2012
  • 증강현실은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혼합한 기술로, 현재 여러 분야에서 증강현실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설 산업은 복잡한 설계와 시설물을 기반으로 모든 업무가 행해지는 특징으로 인해 증강현실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주목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교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 교량 정보 시스템(InfoBridge)은 사용자들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이 필요하다. 많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찾을 때 정보의 누락이 없어야 하고 빠른 검색을 통해서 정보를 제공 받아야 한다. 또한 관리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의 최신화가 필수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반 교량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제안한다. 우리나라에 있는 많은 교량들의 내/외적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담기 위해서는 적절한 설계가 필요하며 이러한 설계를 통해서 정보의 빠른 검색, 데이터베이스의 효과적인 유지보수를 제공한다.

A Study on Middleware for Realtime Bridge Control with Sensor-Network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량 실시간관리를 위한 미들웨어 연구)

  • Yu, Chun-Gun;Rhim, Chul-Woo;Kim, Chong-Gun;Kang, By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901-904
    • /
    • 2008
  •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량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미들웨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현재 미들웨어는 단순히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집한 자료를 처리하는 단순한 수준에 불과하다. 본 논문에서 실시간으로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수집/가공하고 센서 노드들과 전용 애플리케이션 및 웹 브라우저 간의 중재 역할을 하는 미들웨어를 제안한다. 또 데이터베이스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파일로 수집정보를 저장 하며 데이터베이스가 복구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사용률이 적을 때 파일로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교량정보등을 감시하여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켜 관리자가 교량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대하여 빠르고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Augmented Reality Based Bridge Information System using Smart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교량 정보 시스템)

  • Bae, Sung-Han;Lee, Gi-Yeol;Lee, Hwa-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696-699
    • /
    • 2011
  • 증강현실은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혼합한 기술로, 현재 여러 분야에서 증강현실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설산업은 복잡한 설계와 시설물을 기반으로 모든 업무가 행해지는 특징으로 인해 증강현실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주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교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 교량 정보 시스템(InfoBridge)을 제안한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제안하는 InfoBridge 시스템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얻고자 하는 교량에 대해 검색할 수 있으며,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교량의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InfoBridge 시스템을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