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Origin/Destination of General Cargoes of GunJang Port - Focused on China's Ports -

군장항 일반화물 O/D에 관한 연구 - 대중국 항만을 중심으로 -

  • 조수원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장우준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김태원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곽규석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 ;
  • 남기찬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Due to the economic growth of China and the geographic advantage that Gunsan and Janghang ports are close to China, recently traffic of China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role of Gunsan & Janghang ports as a gateway port of west coast became more important. There, however, remains that Gunsan and Janghang port still don't equip with enough facilities and strategies to handle increasing traffi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O/D data of Gunsan.Janghang Port and present the result of O/D as preliminary data. O/D data of Gunsan and Janghang had been analyzed by kinds of general cargoes and from/to China's ports and this paper suggests to the competitive strategies of Gunsan and Janghang port to attract cargoes from/to China particularly.

중국 경제의 급격하게 성장함에 따라 서해안의 항만들의 중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 중국과 근접한 군산.장항은 지리적 이점과 증가하는 물동량으로 서해 관문항으로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하지만 군장항은 정기항로의 부재, 화주의 특정항 지정 및 타항 대비 물류비 과다 등으로 기업들이 군장항을 이용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한 국제항로의 부족이 군장항 활성화를 가로막는 저해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 5년간 발생했던 기종점(O/D)자료를 분석하여 대중국 주요 항만 및 주요 수출입 품목을 살펴보고 군장항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여기서 기종점 (Origin-Destination) 분석이라 함은 화물이 어디에서 얼마나 발했는가, 그 화물이 어떤 목적지로 향하는가 또는 어떤 경로를 통해 운송이 되는가를 파악하는 것을 말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