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Promotion of International Intermodal Transportation Route from Northeast 3 Provinces in China

중국 동북3성 기점 국제복합운송루트 개발과 발전 방안

  • 이충배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 상경학부) ;
  • 박선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cargoes from and to China are growing significantly. The 3 Northeast Provinces of China(named Liaoniang, Jilin, Heilongjiang provinces), bordering the Korean Peninsular, is not exception in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trade. However long distance from the 3 Northeast Provinces to seaports generates huge transit time and costs because Dalian port is far away almost 1,000km from Jilin and Heiloongjiang Provinces. The new intermodal transport route through the port of Jarubino located in the Russian Far East is under way to reduce the costs incurred from inland transpor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new international intermodal transport route from the 3 Northeast Provinces in terms of transit time and transport cos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international intermodal transport with development of Jarubino por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rade cargoes from the 3 Northeast Provinces while Korea has a good opportunity to join the port development in the Russian Far East. Futhermore the port of Busan is also benefited the growing transit cargoes from the new intermodal transport route.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추세는 물동량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와 중국 국내뿐만 아니라 동북아 나아가 국제물류시장의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은 동북아는 물론이고 전 세계적으로 물류수요를 창출하는 원천이며, 이에 따라 글로벌 물류네트워크가 중국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중국의 동북3성(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은 중국의 동북부, 동북아 지역의 중심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한반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국제무역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동북3성은 지리적 환경의 제약으로 물류환경이 열악한 상태이며, 중국 동북부에 위치한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은 항구가 없는 내륙지역으로 두 성은 대외거래화물의 대부분을 랴오닝의 다롄항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두 성으로부터 다롄항까지는 거의 1,000km이상 되기 때문에 많은 운송시간과 비용이 들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 극동지역에 위치한 자루비노항을 통한 새로운 국제운송모델은 내륙운송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시켜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송 단계별 비용과 시간을 추정하여, 새로운 국제복합운송루트의 경쟁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자루비노항의 개발을 통한 새로운 국제복합운송의 구축은 동북3성의 화물에 경쟁력을 증가시켜 줄 것이며, 또한 우리나라는 극동러시아의 항만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게다가 부산항은 새로운 국제운송루트로부터의 증가하는 물동량의 이익을 얻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