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the Common Space in the Dormitory Buildings on Campus - Particular Reference of Newly Built Dormitory of A University -

대학기숙사 건축에 있어서 공유공간에 관한 사례연구 - A대학교 신축기숙사 계획안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sign data for planning university dormitories to meet the needs of the occupants' through field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at the sampled dormitories in A University in 2006.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gram of the suitable common space in the dormitory buildings on campus, especially referred to newly built dormitory of A university. In conclusion, Living space accounts for 56.17%, studying space accounts for 1.86%, well-being support space accounts for 2.49%, convenience support space accounts for 8.35%, management space accounts for 3.08% of the whole area in the program of newly built dormitory.

Keywords

References

  1. 남숙현,'대학기숙사 단위실 실내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1981.11
  2. 송병화, 노지웅,'기숙사에서의 만족도와 행태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4.1
  3. 오상훈외 1명,'대학기숙사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85.4
  4. 이병태 외 2인,'Y대학 학생기숙사 거주성능평가에 대한 연구',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01.2
  5. 이흥선,'정보통신의 확충에 따른 대학 기숙사 단위실의 건축계획적 연구', 아주대학교석사논문, 1998
  6. 정훈외 2명,'대학기숙사의 시설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전라도지역국립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005.9.
  7. 조긍연, 송종석,'대학 기숙사의 소규모 그룹 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1991.4
  8. 허진선, 양세화,'기숙사 단위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 및 영역성 지각과 거주만족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2.8
  9. '학생기숙사의 계획', 교육부,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