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유공간

Search Result 1,120,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Design of VRML based Applications Sharing Engine for Supporting Multi-Participants (다중 참여자를 지원하는 VRML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엔진 설계)

  • 이원재;탁진현;이세훈;왕창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739-741
    • /
    • 1999
  • 공동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는 여러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는 개발도구와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다수의 참여자가 공간적으로 제약받지 않고 공동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가상공간에 개념을 둔 CSCW에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식을 적용하기에는 3차원이라는 공간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기존의 CSCW에 비해서 가상공간에 기반을 둔 CSCW 어플리케이션 개발은 가상 공간과 다중 참여자를 고려해서 개발하여야 하기 때문에 개발자에게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다중 참여자를 지원하는 VRML 기반 어플리케이션 공유 엔진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VRML 기반 어플리케이션 공유 엔진은 참여자 사이트로 에이전트를 이동시켜 웹 브라우져 내의 VRML 가상 공간에서 참여자의 어플리케이션 대한 3차원상의 이벤트를 2차원적인 상대값으로 바꾸고 실제 어플리케이션상의 이벤트로 변환하는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VRML 가상공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참여자 이벤트를 처리하는 스케줄러를 도입하여 참여자의 이벤트를 순서적이고 참여자 간의 충돌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가상환경이 VRML로 구성되기 때문에 운영체제에 독립적이고 웹상에서 어플리케이션 공유가 가능하였다. 그리고 가상환경을 위한 CSCW 응용 개발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이고 기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가상공간에 사용함으로서 기존 어플리케이션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orean Geospatial Data Clearinghouse (한국형 지형공간 데이타 Clearinghouse의 설계 및 구현)

  • Baek, In-Gu;Lee, Kang-Jun;Han, Ki-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6a
    • /
    • pp.131-145
    • /
    • 1999
  •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의 처리와 공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지만 기존 지리정보시스템(GIS)이 갖고 있던 상호 이질적인 지형공간데이타 포맷을 가지고는 효율적인 정보의 처리와 공유가 어려운 형편이다. 이러한 지형공간데이타 포맷의 문제로 인해 지형공간 데이터의 중복수집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많은 시간과 경비가 중복 투자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형공간 데이타 중복수집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이미 구축되어 있는 지형공간 데이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유통하기 위하여 KGDC(Korean Geospatial Data Clearinghouse)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KGDC를 통하여 ESRI와 Intergraph사의 상용 지리정보시스템들의 데이타를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공유할 수 있으며, 또한 OGC(OpenGIS Consortium)의 OpenGIS 구현명세에 기술되어 있는 표준 OpenGIS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지형공간 데이타 서버의 데이타도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특히, KGDC는 다양한 검색 기능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손쉬운 지형공간 데이타의 공유 및 유통을 가능하게 하며, 검색을 위한 정보와 검색의 결과로 이용하기 위해 ISO/TC211 표준 메타데이타를 부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PDF

The Spatial View Creation and Materialization Technique in Multi-Server Environments (멀티서버 환경에서의 공간 뷰 생성 및 실체화 기법)

  • 김태연;정보홍;조숙경;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12-114
    • /
    • 2001
  • 지금까지 구축 된 공간 데이터들을 각 서버끼리 공유하여 유사한 내용의 공간정보구축을 위만 중복투자를 막고 공간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이 시급하다. 멀티서버 환경에서의 공간데이터의 공유는 데이터의 보안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뷰로 제공되고 관리되어질 수 있다. 분산 된 대용량의 공간데이터에 대해 복잡한 공간연산 처리를 감안한다면 멀티서버 환경에서는 공간 뷰의 실체화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서버 환경에서의 공간데이터의 유통을 지원하고 공유 된 공간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과 네트웍 부하를 고려한 공간 뷰 실체화 기법을 제안한다. 확장 된 공간데이터 디렉토리 서비스(Extended Spatial Data Diretory Service)를 이용하여 각 서버가 공유하는 공간테이블에 대란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 된 징보를 바탕으로 로컬서버는 각 서버에에 직접 접속하여 필요한 영역의 데이터를 얻어 뷰를 생성한다. 이때 공유 공간데이터가 대용량 데이터임을 고려하여 로컬서버는 공간 뷰 성의에 대한 술어를 분리하여 뷰 질의 처리를 각각의 원격서버로 분산시켜 네트웍 부하와 서버의 질의처리 비용을 줄이고 공간 뷰 서버에 실제화 시킴으로써 뷰에 대한 질의처리시 각 서버로의 접근을 데비터의 접근을 줄여 사용자 응-답시간을 최소화한다.

  • PDF

Development of Reliable Object Space using JACE group communication system (JACE그룹통신시스템을 이용한 신뢰성 있는 공유객체공간의 개발)

  • 안건태;문남두;정현락;유양우;이명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18-220
    • /
    • 1999
  • 인터넷과 네트웍 기술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관리가 용이한 분산 어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네트워크 상에 분산되어 있는 자원, 서비스 및 객체의 공유와 이들 사이의 통신을 일관된 방법으로 지원하는 튜플스페이스(Tuple space) 시스템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시스템들은 서버를 통한 중앙 집중적인 공유공간(shared space)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서버의 실패(crash)나 네트워크의 분할(partition)과 같은 전산망의 결함이 발생하였을 경우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목적에 따라 그룹화된 공유공간의 생성이 가능하고 객체를 관련노드에 중복(replication)해서 저장할 수 있는 튜플스페이스 시스템인 ObjectSpace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설명한다. ObjectSpace는 객체를 공유하기 위하여 공유공간에 객체를 저장하는 기능과 공유된 객체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중복된 객체들에 대하여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룹을 지원하는 JACE 그룹통신시스템을 하부구조로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Storage Sharing Schemes in Queueing System with Finite Capacity Buffer (유한 용량의 버퍼를 가지는 대기행렬에서의 저장공간 공유방안 비교에 관한 연구)

  • Kwon Soo-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7 no.4
    • /
    • pp.15-22
    • /
    • 2004
  • 본 논문의 목적은 유한 저장공간을 가지는 대기행렬 시스템에서 완전공유(Complete Sharing), 완전분할(Complete Partitioning), 최소할당공유(Sharing with Minimum Allocation)와 같은 다양한 저장공간 공유방안들을 비교ㆍ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먼저 각각의 공유방안에서의 대기행렬 안정상태확률을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각각의 저장공간 공유방안을 특징짓는데 필요한 몇 가지 성질들이 규명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각각의 저장공간 공유방안에 대하여 시스템 성능척도인 생산률들을 도출하는 한편, 이들의 대소관계를 파악하고, 수치실험을 통하여 이를 입증하였다.

An Exploratory Study of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for the Quality of Information Commons (정보공유공간의 품질 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Park, Ji-Hong;Key, Sun-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6 no.4
    • /
    • pp.5-2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the quality of information commons. Information commons is a physical, technological, social, and intellectual place where library users can experience various educational, research, and cultural activities. It is recently gaining popularity and several libraries have implemented it to help users share knowledg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It also intends to provide a place for collaboration, learning, and rest. Despite its benefits and usefulness, there is no measurement tool explicitly designed for the quality of information commons. This study used in-depth personal interview, compared prior studies, and conducted a pilot study to elicit library users' perceptions on information commons and factors influencing on the perceived quality of information commons. Groups of initial items were emerged through classifying and clustering key concepts in the data. Then, the validity of the items were verified through a pilot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developing more reliable and valid survey measurement tool.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Space and Performance in Multi-Task Learning (Multi-Task Learning에서 공유 공간과 성능과의 관계 탐구)

  • Seong, Su-Jin;Park, Seong-Jae;Jeong, In-Gyu;Cha, Jeo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05-309
    • /
    • 2018
  • 딥러닝에서 층을 공유하여 작업에 따라 변하지 않는 정보를 사용하는 multi-task learning이 다양한 자연어 처리 문제에 훌륭하게 사용되었다. 그렇지만 우리가 아는 한 공유 공간의 상태와 성능과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유 공간과 task 의존 공간의 자질의 수와 오염 정도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여 공유 공간과 성능 관계에 대해서 탐구한다. 이 결과는 multi-task를 진행하는 실험에서 공유 공간의 역할과 성능의 관계를 밝혀서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MDA-based Subsurface Spatial Ontology Model for Semantic Sharing (시멘틱 공유를 위한 MDA기반 지하공간정보 온톨로지 모델 개발)

  • Lee, Sang-Hoon;Chang, Pyoung-Wuc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1
    • /
    • pp.121-129
    • /
    • 2009
  • Today, it is difficult to re-use and share spatial information, because of the explosive growth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and specific characters of spatial information accumulated by diverse local agency. A spatial analysis of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one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eeds related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ical map, geologic map, underground facility map, etc. However, current methods using standard format or spatial datawarehouse cannot consider a se-mantic hetergenity. In this paper, the layered ontology model which consists of generic concept, measuremnt scale, spatial model, and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has developed. Also, the current ontology building method pertained to human experts is a expensive and time-consuming process. We have developed the MDA-based metamodel(UML Profile) of ontology that can be a easy under-standing and flexiblity of environment change. The semantic quality of devleoped ontology model has evaluated by reasoning engine, Pellet. We expect to improve a semantic sharing, and strengthen capacities for developing GIS experts system using knowledge representation ability of ontology.

  • PDF

Development ofn Sharing Space Acc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bile Key and RCU(Room Control Unit) (모바일 키 및 RCU에 기반한 공유공간 출입관리 시스템 개발)

  • Jung, Sang-Jo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1 no.4
    • /
    • pp.202-208
    • /
    • 2020
  • Recently, the importance of non-face-to-face has been emphasized due to COVID-19, and the use of sharing spaces is also expanding. The use of uncontact check-in technology for access control of sharing spaces reduces waiting time and optimizes workers' efficiency, resulting in operational cost saving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haring space acc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mobile key and RCU (Room Control Unit), access to the facility using a mobile key, and monitor the facility using an RCU. Proposal system is for shared accommodation, rental field (residence, sale-selling hotel), shared office, etc. when there is a one-time visitor on a specific day and time, the corresponding password is delivered to the mobile platform to expose and key the existing password. It is supported by a field-adaptive system that can reduce discomfort such as delivery. In order to test the operation of the proposed integrated system,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scenarios to understand the overall status of the user's reservation, check-in, and check-out, and a 100% success rate was derived for each item by setting performance indicators to prove test reliability.

Partition-based Operator Sharing Scheme for Spatio-temporal Data Stream Processing (시공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를 위한 영역 기반의 연산자 공유 기법)

  • Chung, Weon-Il;Kim, Young-K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2
    • /
    • pp.5042-5048
    • /
    • 2010
  • In ubiquitous environments, many continuous query processing techniques make use of operator network and sharing methods on continuous data stream generated from various sensors. Since similar continuous queries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intensively occur in specific regions, we suggest a new operator sharing method based on grid partition for the spatial continuous query processing for location-based applications. Due to the proposed method shares moving objects by the given grid cell without sharing spatial operators individually, our approach can not only share spatial operators including similar conditions, but also increase the query processing performance and the utilization of memory by reducing the frequency of use of spatial operators.